000 | 00575namc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69530 | |
005 | 20131015180231 | |
007 | ta | |
008 | 131014s2013 ulk 000c kor | |
020 | ▼a 9788994963952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1.09519 ▼2 23 |
085 | ▼a 301.0953 ▼2 DDCK | |
090 | ▼a 301.0953 ▼b 2013z15 | |
100 | 1 | ▼a 최태섭 ▼0 AUTH(211009)3243 |
245 | 1 0 | ▼a 모서리에서의 사유 : ▼b 청년 문화연구가 최태섭의 삐딱하게 세상 보기 / ▼d 최태섭 지음 |
260 | ▼a 서울 : ▼b 알마출판사, ▼c 2013 | |
300 | ▼a 298 p. ; ▼c 23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53 2013z15 | Accession No. 1117042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0953 2013z15 | Accession No. 1513202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53 2013z15 | Accession No. 1117042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1.0953 2013z15 | Accession No. 1513202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청년 문화연구가 최태섭의 신작. ‘미숙함’이라는 단어는 ‘2030’이라는 꼬리표가 붙은 젊은 논객들에게 항상 따라붙는 편견이다. 그러나 그의 글은 전혀 미숙하지 않다. ‘기성’이 보여줄 수 없는 자기만의 시선으로 대한민국이라는 스펙트럼의 층층을 보여준다. 편들기와 쏠림에 흔들리지 않는 그의 칼럼들을 통해 대한민국의 또다른 면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청년 문화연구가 최태섭,
결코 평평하지 않은 총천연색 3D 대한민국을 말한다
<경향신문> <프레시안> <자음과 모음R> <나·들> <당비의 생각> <디자인 정글> <인물과 사상>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편들기와 쏠림에 흔들리지 않는 새로운 시선을 보여주다
“최태섭의 장점은 사물에 대한 특유의 시선을 잘 다듬어낸다는 것이다. 언어는 정확하고 사유는 명징하다. ‘2030 필자군’으로 묶이긴 하지만, 그의 칼럼들은 ‘젊은 혈기’만으로 이뤄진 것은 아니다.”_이택광(문화평론가)
“최태섭에게 젊다는 것은 입각점일 뿐 한계가 아니다. 그의 글은 지질학적 연대가 층층이 새겨진 지층의 단면이다. 그의 1차 독자로서의 경험이 내겐 행운이었다.”_안영춘(<나·들> 편집장)
“그의 글에서는 편들기와 쏠림에 흔들리지 않는 용기를 볼 수 있다. 뜨거운 이슈일수록 자기중심을 잃지 않고 이성과 평정심, 냉정함을 유지하는 뚝심도 발견할 수 있다.”_이대근(<경향신문> 편집국장)
‘미숙함’이라는 단어는 ‘2030’이라는 꼬리표가 붙은 젊은 논객들에게 항상 따라붙는 편견이다. 그러나 그의 글은 전혀 미숙하지 않다. ‘기성’이 보여줄 수 없는 자기만의 시선으로 대한민국이라는 스펙트럼의 층층을 보여준다.
편들기와 쏠림에 흔들리지 않는 그의 칼럼들을 통해 대한민국의 또다른 면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 5 1장 검열된 근대화 싱가포르가 어쨌다구? = 13 '졸업식 사건'을 보는 시선 = 17 진실 대신 욕망만 남은 천안함 = 20 공정과 평등 = 23 징병제와 고통의 평등주의 = 26 G20과 이벤트 정치 = 30 전쟁불사의 한국과 도덕의 함정 = 33 한복과 한국의 부르주아 그리고 근대성 = 36 김정일의 카섹스는 어떻게 남한의 안보 위기를 유발하는가? = 39 앵그리버드가 학교폭력을 막는다고? = 42 법 앞에 선 세 사람 = 45 학벌과 학력, 그 심오한 차별 = 48 축지법과 카섹스 = 52 학부모 파시즘 = 56 소수성에 대하여 = 60 마라톤이 '중2병'을 막아줄까요 = 63 넘치는 사건사고 = 66 2장 문화, 정체성, 욕망 홍대의 범람과 표현의 위기 = 71 착하게 살기의 어려움 = 75 취향은 우리를 구원할 것인가? = 80 Pen = 89 그대에게 즐거움을 허하노라 = 93 잉여를 위하여 = 96 중2병의 시대 = 99 창작과 비평 그리고 악몽 = 102 궁극의 질문 = 105 문화거지들 = 108 3장 우리들의 찌질한 섹스게임 한국사회와 섹슈얼리티 = 113 걸그룹 시대에 대한 부질없는 메모 = 129 180센티미터, C컵 그리고루저의 난 = 134 '실패한농담'이 남긴 뒷맛 = 139 죽일 년의 귀환 = 150 잡년행진이 던진 '물음' = 156 아저씨 = 159 4장 노동은 반드시 죽어야 한다 열정노동과 그 딜레마들 = 165 《삼성을 생각한다》에 관한 명상 = 177 삼성과 나 = 184 당신을 향하는 국가와 자본의 선전포고, 영화〈당신과나의 전쟁〉에 대해 = 188 파괴의 정치 = 192 알바, 고객 그리고 서비스업 = 195 쌍용과 용산 = 198 당신이 필요 없는 세상 = 201 끝없이 '두 개의 문'이 생겨나는 도시 = 204 컨택터스, 티아라 그리고 올림픽 = 208 5장 민주화당한 세계 전자정의의 탄생, 사이버 공간의 정치 없는 정의의 기원 = 213 민주화의 종언, 한국 민주화와 민주주의에 관한 단상들 = 236 닥치고 대중,〈나는 꼼수다〉에 대한 부질없는 첨언 = 261 좌파와 유혹의 문제 = 279 트위터의 정치학 = 283 '우리 편'이라는 괴물 = 286 20대 = 289 우리가 환멸에 빠지는 이유 = 292 1980년5월의 광주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