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23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769080 | |
005 | 20140916174614 | |
007 | ta | |
008 | 130905s2013 ulk 000c kor | |
020 | ▼a 9788998266066 ▼g 23590 | |
035 | ▼a (KERIS)BIB000013248579 | |
040 | ▼a 249002 ▼c 249002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5.232 ▼2 23 |
085 | ▼a 155.232 ▼2 DDCK | |
090 | ▼a 155.232 ▼b 2013z8 | |
100 | 1 | ▼a Greenspon, Thomas S., ▼d 1942- ▼0 AUTH(211009)118636 |
245 | 1 0 | ▼a 아이와 완벽주의 : ▼b 부모가 반드시 찾아내 고쳐줘야 할 단 한 가지 / ▼d 톰 그린스펀 지음 ; ▼e 이영미 옮김 |
246 | 1 9 | ▼a Moving past perfect : ▼b how perfectionism may be holding back your kids (and you!) and what you can do about it |
260 | ▼a 서울 : ▼b 엑스오북스, ▼c 2013 | |
300 | ▼a 223 p. ; ▼c 21 cm | |
650 | 0 | ▼a Perfectionism (Personality trait) |
650 | 0 | ▼a Perfectionism (Personality trait) ▼v Case studies |
650 | 0 | ▼a Child rearing |
700 | 1 | ▼a 이영미, ▼e 역 ▼0 AUTH(211009)140434 |
900 | 1 0 | ▼a 그린스펀, 톰,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32 2013z8 | 등록번호 1117235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5.232 2013z8 | 등록번호 1513172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32 2013z8 | 등록번호 11172350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5.232 2013z8 | 등록번호 1513172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이가 인생을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부모가 해결해줘야 할 딱 한 가지는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는 ‘완벽주의 버리기’라고 말한다. 미국의 가정심리 전문가 톰 그리스펀은 그 이유를 “완벽주의자는 뭘 해도 행복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못을 박는다. 완벽주의자는 무슨 일이든 완벽하게 해내는 사람이 아니라, 애시당초 완벽할 수 없는 것들을 완벽하게 만들려고 기를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공부든, 일이든, 인간관계든 심지어 자기 감정조절이든 세상에서 완벽한 것은 거의 없는데도 그 모든 것을 완벽하게 만들려다 보니 자신을 들볶고 타인을 못살게 굴게 된다는 것이다. 그것도 평생 동안.
이 책은 그런 완벽주의가 어떻게 아이에게 스며들어 아이를 얼마나 어떻게 괴롭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를 위해 저자는 완벽주의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부터 시작한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완벽주의를 그저 뭐든 열심히 꼼꼼히 끝까지 하는 좋은 습성 정도로만 여기다 보니 우리가 모르는 완벽주의 행태는 무시하고 넘어가기 쉽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부모 자신이 의도치 않게 아이를 완벽주의란 덫에 빠뜨린다는 점이다.
이 책은 우리 아이가 완벽주의자인지 아닌지를 꼼꼼히 체크할 수 있는 리스트를 제시하면서, 완벽주의자들의 다양한 행태들을 일상의 사례에서 찾아내 소개한다. 그 행태들은 전혀 예상치 않은 것들이어서 부모들을 놀라게 한다. 완벽주의 진단이 끝나고 나면 저자는 완벽주의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지, 그 과정에서 부모의 영향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일깨운다.
이 책의 핵심은 저자가 40여 년 동안의 상담치료 경험을 총동원해 찾아낸 ‘완벽주의 극복법’이다. 아이는 물론 부모, 나아가 가족 전체가 완벽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자아를 구속하는 집요하고도 무서운 굴레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그것이야 바로 인생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중요한 방법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완벽주의라는 ‘덫’
이 책은 ‘평생의 덫’이라고 할 만한 완벽주의의 실체를 보여주면서, 아이와 가족을 그 덫에서 구해내는 법을 제시한다. 완벽주의는 흔히 바람직한 태도나 생활방식쯤으로 잘못 알고 있다. 하지만 40년 넘게 가족 심리를 연구하고 현장에서 가족 심리 치료를 해온 이 책의 저자이자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 톰 그린스펀은 완벽주의야말로 우리가 반드시 털어버려야 할 단 한 가지라고 주장한다. 완벽주의는 죽는 날까지 자신은 물론 주변의 타인까지 괴롭히는 무서운 덫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완벽주의란 무엇일까?
완벽하지 못한 어떤 것도 인정하지 않으려는 성향.
특히 비현실적으로 힘든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는 데 실패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는 일로 여기거나 혹은 개인적 무가치의 징표로 여기는 성향.
<메리엄 웹스터 의학사전>의 정의처럼 ‘모든 것이 완벽해야 하고 목표를 비현실적으로 세운다’는 말은 ‘비현실적인 목표를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는 모순과 다르지 않다. 다시 말해 절대로 이뤄질 수 없는 일을 이루려고 죽어라고 애를 쓴다는 뜻이다. 문제는 실패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끊임없이 자신을 들볶을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 못살게 군다는 점이다. 게다가 도저히 이룰 수 없는 목표 달성에 실패한 자신을 무가치한 존재로 자학하는 상황으로 몰고가다 보니 세상 모든 게 부정적으로만 보인다는 것이다.
완벽주의자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완벽주의자일까? <완벽주의자의 행동>은 그야말로 여러 방식으로 나타난다. 저자가 오랜 임상경험을 통해 뽑아 놓은 목록을 보자.
과도한 목표를 세운다.
다른 사람들에게 일을 잘 맡기지 않는다.
결정을 하는 데 곤란을 겪는다.
모든 것이 통제되어야 한다.
치열하게 경쟁한다.
일을 하나 더 하느라 약속에 늦는다.
약속에 결코 늦는 법이 없다.
항상 벼락치기를 한다.
세부사항에 지나치게 몰두한다.
자신이 한 일에 만족하는 법이 없다.
항상 뭔가 하느라 바쁘다.
다른 사람들을 자주 비판한다.
자신에 대한 비판을 듣고 싶어 하지 않는다.
긍정적인 말보다 부정적인 말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다른 사람의 일을 꼼꼼히 확인한다.
일을 완벽히 끝내지 못하면 스스로 ‘멍청하다’고 여긴다.
일을 미룬다.
이 목록을 읽고 뜨끔해 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약속 시간에 늦는 것, 벼락치기를 하는 것, 다른 사람을 자주 비판하는 것, 부정적인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 일을 미루는 것 등은 완벽주의와 거리가 먼 행동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 왜 그런 성향이 완벽주의자에게서 나오는지 실제 사례를 들어 설득력 있게 밝혀준다. 이를 위해 <완벽주의자가 생각하는 방식>을 세세하게 제시한다.
어차피 완벽하게 해낼 수 없는 일이면 도대체 왜 해야 돼?
난 무슨 일이든 잘 해야 해.
항상 남들보다 앞서야 해.
한 가지 일을 끝내기 전에는 다른 일을 할 수 없어.
일의 세세한 부분이 모두 완벽해야 돼.
일은 한 번에 제대로 끝내야 돼.
일을 제대로 하려면 반드시 정해진 방식으로 해야 돼.
일을 잘하는 나는 근사하지만, 일을 잘 못하는 나는 형편없는 인간이야.
난 언제나 일을 잘하는 축에 들지 못해.
난 어리석어.
난 어떤 일도 제대로 할 수 없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싫어해.
내가 실수를 하면 사람들은 나를 똑똑하지 않고 일을 잘 못하고 능력 없다고 생각할 거야.
멍청한 실수를 하다니 난 뭔가 잘못된 인간이야.
사람들이 나를 비판해서는 안 돼.
모든 것은 흑 아니면 백이야.
완벽주의자가 생각하는 방식
이같은 <완벽주의자가 생각하는 방식>을 하나하나 읽어나가다 보면 완벽주의가 얼마나 사람을 힘들게 하는지 저절로 알게 된다. 하물며 어린 아이가 이런 방식으로 생각하게 된다면 그 고통을 어떻게 감당해낼까? 우리 아이가 이런 고통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시달린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저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완벽주의자가 느끼는 방식>까지 제시하면서 우리가 왜 완벽주의를 무심코 흘려 넘기면 안 되는지 보여준다.
자신의 실수를 무척 부끄러워한다.
타인에게 비판을 받으면 자신을 혐오하거나 화를 낸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할 때 불안해한다.
세부사항에 대해 극도로 예민하다.
세부사항을 지나치게 걱정한다.
일상적인 습관에 방해를 받으면 화를 낸다.
주변 일들이 복잡해지면 불안해한다.
두려움에 휩싸이거나 불안해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자기혐오로 괴로워한다.
어리석어 보일까봐 염려한다.
무능해 보일까봐 두려워한다.
거부당할까봐 걱정한다.
두려워한다는 것을 부끄러워한다.
의기소침해 있다.
다른 사람을 실망시킨 것에 죄책감을 느낀다.
완벽주의는 어떻게 생기는가
이렇게 끊임없이 집요하게 사람을 힘들게 하는 완벽주의는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 놀랍게도 완벽주의는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 즉, 가족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태생적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갖는 경우가 전혀 없지는 않지만 대부분은 가족 특히 부모의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완벽주의는 부모에게서 사랑받지 못 한다고 느낄 때, 신뢰받지 못할 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생각할 때 생긴다는 게 저자의 결론이다. 저자는 자신의 사례를 포함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인, 수많은 임상 사례를 통해 그것을 증명해 보인다. 그 사례를 듣다 보면 망치로 뒤통수를 한 대 맞은 듯한 느낌이 들 때가 많다. 우리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아이에게 행하는 모든 것이 알게 모르게 아이를 완벽주의자로 만들고 있다는 걸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책이 부모의 책임을 추궁하는 데 그치는 것은 아니다. 부모의 행위도 사실은 갈수록 도를 더해 가는 승자독식의 문화, 우리의 행동과 사고 하나하나를 지배하는 자본주의 문화 등 사회문화적 조건에 커다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완벽주의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이처럼 완벽주의에 대한 진단을 하고 난 뒤 저자는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대단히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완벽주의는 머리로만 이해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 매우 세심하게 실천해야 할 자세한 처방전을 매뉴얼북처럼 내놓는다. 책 곳곳에 <메모> 코너와
‘건전한 완벽주의란 없다’는 시각에서 저자는 아이의 문제점을 발견했으면 아이와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부모 자신의 반성적 성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부모 자신이 완벽주의자여서 그 습성이 그대로 전달될 경우가 많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부모라도 그들의 행태와 말이 완벽주의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완벽주의 탈출을 위한 사전 작업과 각오를 정리해주면서 저자는 실생활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그런 행동은 부모나 아이의 상호작용으로 이뤄져야 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가족 간의 상호 신뢰와 이해와 협조가 필수적이다. 저자는 마지막으로 완벽주의를 극복할 때 얻게 되는 것과 잃게 되는 것을 열거하면서 완벽주의에서 벗어났을 때 자기 자신을 위한 삶을 살 수 있으며 그렇게 됐을 때 비로소 인생이 행복해진다고 결론 내린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톰 그린스펀(지은이)
미국에서 40여 년 동안 가족 문제와 관련된 심리치료를 연구해온 저명한 심리학자. 동료 학자이자 아내인 바바라와 함께 축적해온 연구와 임상과 본인들의 경험을 살려 심리치료 상담과 강연과 집필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자녀교육, 청소년 문제, 결혼과 부부 관계, 갱년기 문제 등 가족 안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면서 논문과 저서를 쓰고 있으며 베스트셀러 <우리가족 완벽주의에서구출하기>로 ‘전미육아도서’ 금상과 ‘부모의 선택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심리치료 현장에 뛰어들기 전에는 예일대학을 졸업한 뒤 일리노이대학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로체스터대학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앨라배마대학병원에서 강의와 연구를 했다. 가족 심리치료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심리학회 정신분석학 총회 공동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영미(옮긴이)
자녀 교육과 심리학, 뇌과학 분야에 관심이 많은 열정적인 엄마 기자. 국민일보에서 사회부, 교육생활부, 문화부 등을 거친 뒤 현재는 정책기획부에서 보건복지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연세대 노어노문과와 미국 오리건대학 특수교육과 석사를 마쳤으며 <당신의 뇌를 믿지 마라> <스프링> <리리딩-깊이읽기의 기술> 등을 번역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데이비드 월시 박사 = 5 들어가는 말 = 15 1부 제1장 완벽주의 제대로 알기 완벽주의란 무엇인가? = 32 완벽주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33 완벽주의 체크 리스트 = 35 완벽주의의 다양한 얼굴 = 38 완벽주의자는 어떻게 생각하나 = 47 완벽주의자의 희한한 사고 방식 = 50 완벽주의의 정의 = 61 불가능한 꿈, 완벽주의 = 62 제2장 어떻게 완벽주의자가 되는가? 비판할까 격려할까 = 67 완벽주의의 심리적 기원 = 71 완벽주의와 생물학적 요인 = 76 완벽주의의 수많은 요인 = 77 결손 가정에서 생기는 완벽주의 = 80 부모의 방치가 낳은 완벽주의 = 82 영재는 완벽주의자인가 = 83 칭찬의 부작용 = 84 아이마다 제각각 = 87 부모와 아이의 상호 작용 = 88 2부 제3장 뛰어들기 배우기 완벽주의에 대한 두려움 = 93 편안하게 그리고 서서히 = 95 혼자 뛰어들면 안 된다 = 96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는 법 = 98 일단 뛰어들어라 = 100 제4장 격려의 위대한 힘 가족은 나의 힘 = 102 격려의 효과 = 103 고마움 표현하기 = 113 작은 것도 축하하라 = 113 제5장 힘겨루기 그만두기 자존심의 문제 = 115 주도권 싸움은 백해무익 = 116 밧줄을 놓아라 = 118 당신의 분노를 인정하라 = 122 분노를 드러내라 = 124 왜 분노하는가? = 126 사과하기 = 128 문제 해결을 위한 분위기 = 131 제6장 유대를 만드는 공감 행동의 동기를 발견하라 = 135 공감의 힘 = 137 아이의 느낌 알아내기 = 139 받아들인다는 마음을 전하라 = 140 제7장 내면 들여다보기 터놓고 말하기 = 148 가족 스트레스 = 156 부모의 다툼이 낳는 결과 = 157 제8장 완벽주의 문화 극복하기 승자독식 문화 = 163 압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 170 가족과 문화적 환경 = 174 제9장 완벽주의와 먼 친척들 완벽주의는 정신장애인가? = 176 완벽주의와 다른 몇 가지 정신장애 = 177 정신장애를 발견했을 때 = 181 심리검사 = 182 전문가를 만날 때 알아야할 것들 = 183 정신 장애는 실패가 아니다 = 186 제10장 완벽주의에서 벗어날 때 얻는 것과 잃는 것 무엇을 잃게 되나? = 189 실제로 잃는 것과 상상으로 잃는 것 = 192 미래 바꾸기 = 194 무엇을 얻게 되는가 = 196 제11장 함께 계획하기 멀리 보고 가기 = 200 실수에 대처하는 법 = 202 자녀를 돕기 위한 계획 = 205 나오는 말 완벽주의와 완전히 절연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 216 태도를 교정하라 = 217 진척을 기대하되 완벽은 기대하지 말라 = 218 불완전이 흥미롭다 = 218 옮긴이 말 =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