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시한부 3개월은 거짓말 : 암 전문의사의 고백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近藤誠, 1948- 박은희, 역
Title Statement
시한부 3개월은 거짓말 : 암 전문의사의 고백 / 곤도 마코토 지음 ; 박은희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영림카디널,   2013   (2014)  
Physical Medium
257 p. : 도표 ; 21 cm
Varied Title
余命3カ月のウソ
ISBN
9788984011793
General Note
부록: '암'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69024
005 20150521175525
007 ta
008 130917s2013 ulkd 000c kor
020 ▼a 9788984011793 ▼g 13510
035 ▼a (KERIS)BIB000013276468
040 ▼d 211044 ▼d 244002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616.994 ▼2 23
085 ▼a 616.994 ▼2 DDCK
090 ▼a 616.994 ▼b 2013z3
100 1 ▼a 近藤誠, ▼d 1948-
245 1 0 ▼a 시한부 3개월은 거짓말 : ▼b 암 전문의사의 고백 / ▼d 곤도 마코토 지음 ; ▼e 박은희 옮김
246 1 9 ▼a 余命3カ月のウソ
246 3 ▼a Yomei sankagetsu no uso
246 3 ▼a 시한부 삼개월은 거짓말
260 ▼a 서울 : ▼b 영림카디널, ▼c 2013 ▼g (2014)
300 ▼a 257 p. : ▼b 도표 ; ▼c 21 cm
500 ▼a 부록: '암'에 관한 설문 조사 결과
700 1 ▼a 박은희, ▼e
900 1 0 ▼a 곤도 마코토, ▼e
900 1 0 ▼a Kondō, Makoto,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6.994 2013z3 Accession No. 121233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994 2013z3 Accession No. 1513173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616.994 2013z3 Accession No. 1212332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Call Number 616.994 2013z3 Accession No. 1513173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여 년 동안 일본 게이오대학병원 방사선과에서 암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이 책의 저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암과 치료법에 관한 상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시한부 진단의 허구성을 낱낱이 밝히고 있다.

특히 암의 90%는 위암, 폐암, 자궁암 등 덩어리를 만드는 ‘고형암’으로 암의 병소를 제거하는 절제수술은 수명 연장 효과가 확실하지 않고, 오히려 심각한 후유증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너무나 위험한 수술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항암제 치료 역시 이를 통해 암이 낫는 경우가 드물고, 수명 연장 효과조차 실증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각종 부작용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이외에도 암의 조기검진, 자궁경부암 백신, CT검진을 통한 의료피폭, 면역요법 등의 문제점 등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암과 암치료법에 대한 상식에 반하는 사실을 각종 데이터와 임상자료를 통해 주장하는 저자는 암도 역시 ‘자연의 섭리’인 노화현상의 일부로 받아들여 가능하면 사이좋게 공생하는 방법을 찾아 삶의 질을 높이는 인생을 살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사람을 잡는 것은 암이 아니라 잔혹한 암 치료이다!’
‘최소한의 치료인 <방치요법>으로 환자의 삶을 지켜라’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
출간 2개월 만에 28만 부 돌파!


누구나 의사로부터 암 진단을 받으면 세상이 끝장 날 것 같은 절망감에 빠진다. 환자 자신은 물론 가족, 친지들은 “앞으로 얼마나 살게 될까?”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엄습하는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게 된다. 이 때 담당 의사가 내리는 ‘시한부 3개월(더 길게 말할 수 있지만 1년을 넘지 않는다)’ 선고는 환자의 불안 수치를 최상으로 끌어 올린다. 의사는 이어 “치료하면 몇 년을 더 살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던지고, 환자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믿겠습니다”를 외치며 의사의 손아귀에 들어간다.
환자는 이후 간이나 폐, 식도의 상당 부분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아 정상인으로서의 삶을 잃게 된다. 여기에 깡마른 몰골에 온갖 통증에 시달리고 구토까지 해가며 독약이나 다름없는 항암제 치료를 받다 보면 살아도 살아있는 목숨이 아니다. 물론 항암치료를 견디지 못해 숨지는 경우도 왕왕 있다.
30여 년 동안 일본 게이오대학병원 방사선과에서 암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곤도 마코토 박사는 이 책에서 병원 의사들이 흔히 시행하는 암 치료법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의료는 종교나 교육과 마찬가지로 공포산업이며 불안산업이라면서 의사들의 ‘시한부 3개월’ 선고도 환자를 겁에 질리게 하여 자신들이 의도하는 치료로 몰아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되도록 수술을 자제하고 항암제 치료를 최소화해 환자의 삶의 질을 살려가며 수명을 연장하는 식으로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특히 암이라는 병 역시 노화현상의 하나이기 때문에 환자에게는 얼마나 오래 사느냐보다는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이른바 암 환자의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 dying)에 환자 자신이 관심을 갖는 것은 물론 암 치료의 방식이나 절차도 거기에 맞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의사가 시한부 기간을 짧게 말하는 이유는?
의사들이 흔히 암 환자에게 시한부 기간을 3~6개월로 짧게 말하는 이유는 환자가 예상보다 빨리 사망했을 때 환자의 가족에게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환자를 손아귀에 넣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치료하기 위한 훌륭한 수단이기도 하다. 물론 환자는 치료를 받지 않으면 그 기간 안에 죽게 된다는 의미로 의사의 시한부 선고를 받아들으며, 결국 초죽음 상태에 놓인 채 형극의 치료를 감수하게 된다.
저자는 말기 암 환자라도 멀쩡하게 병원에 들어온 사람이 허망하게 쉽사리 죽는 경우는 드물다고 전한다. 의사들이 말하는 시한부 수명은 평균치가 아니라 그 집단의 절반인 50%의 환자가 사망하기까지 걸리는 ‘생존기간 중앙치’이며, 시한부 3개월 선고를 받아도 1년 전후를 살거나 길게는 5년 이상 생존하는 환자도 있다고 한다. 저자는 시한부 3개월 선고를 받고 서둘러 수술에 들어가 항암제 치료를 받은 다음 불과 몇 개월 사이에 숨진 환자들의 사례를 소개한다.

암 수술 성공이 생명 연장 보장하지 않는다… 최소의 치료로 환자에게 웰빙을
일반적으로 암을 방치하면 암세포가 점점 더 커지고 전신으로 전이되면서, 심각한 통증에 신음하다 죽음에 이른다는 고정관념이 널리 퍼져 있다. 사람들이 암 진단을 받으면 빨리 절제수술을 해야 한다며 조급해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수술용 칼을 들이대는 순간 암세포가 날 뛰기 시작해 몸은 부자연스러워지며, 이로 인해 설사 수술이 성공한다 해도 생명의 연장을 장담하지 못하게 된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암을 제대로 알게 되면 암을 제거하는 수술이 얼마나 위험천만한지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암은 그 자체가 독소를 내보내거나 통증을 일으키는 병이 아니다. 암이 사람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폐, 식도, 간, 뇌 등의 중요 장기에서 응어리가 커지면서 장기나 기관을 막아,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 활동에 지장이 생겼을 때이다. 따라서 수술이나 항암제 치료로 몸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면 마지막까지 비교적 정신이 또렷한 상태에서 통증을 조절할 수 있고, 몸도 의외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저자는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없다면 무리한 치료가 오히려 환자의 생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저자는 지금까지 암을 치료하지 않고 생활하는 150명 이상의 환자를 최장 23년에 걸쳐 진료하고 있다고 한다. 암의 종류나 진행상태도 다양한 이 환자들 중에서 자각증상이 없는 환자는 환자가 원하는 대로 경과만을 관찰하고, 통증이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들은 완화치료만을 하고 있다. 저자는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지 않는 암 환자의 경우 치료하지 않고 상태를 지켜보면 평온하게 오래 살며 인생을 마감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전이되지 않는 ‘유사암’에도 가혹한 치료
조기 암을 방치하면 점점 커져 진행 암으로 발전되고,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서 말기 암이 되며 결국 환자의 생명을 빼앗는다는 것이 기존의 ‘암 일원론’이다. 이 이론대로라면 가능하면 빨리 암을 발견해서 확실히 도려내야 전이를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생존율이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저자가 숱한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접한 결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암 발생 부위를 확대해서 잘라 내고, 또 축소해 잘라낸 경우를 놓고 비교해 보니 암의 전이율이나 생존율에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에 대해 암에는 전이를 일으키는 ‘진짜 암’과 그렇지 않은 ‘유사암’이 있지만 치료법을 달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암세포가 보통 검진을 통해 발견될 때까지 평균 10~30년이 걸리고 발견시점에는 10억 개 전후로 늘어나 있는데 이런 암에 걸리면 ‘암 일원론’에 따라 목숨을 잃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암과 비슷한 세포 구조임에도 전이되지 않는 유사암에 걸려 있는 환자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런 환자에게 자르고 째는 수술을 감행하고 항암제 치료까지 병행해 삶을 망쳐놓는다면 의사로서 엄청난 죄를 짓는 것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항암제 치료는 생체실험이다!
저자는 항암제가 맹독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항암제로 고칠 수 있는 성인 암은 급성백혈병, 악성림프종, 고환암, 자궁융모암 등 4가지로 전체의 약 10% 정도이다. 나머지 90%의 암인 위암, 폐암, 유방암 등의 덩어리를 만드는 ‘고형암’에 대해서는 항암제가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임상자료도 없고, 고통스러운 부작용과 수명을 단축시키는 작용밖에 없다고 한다.
그런데도 항암제가 남용되는 원인 중 하나는 값이 매우 비싸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병원의 수입이 늘고, 제약회사도 돈을 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의학은 과학이지만 치료법을 결정하는 동기의 상당 부분이 ‘수익’에 치중되어 있다. … 항암제 개발과 판매로 돈을 버는 제약회사, 그 제약회사로부터 많은 액수의 기부금 등을 받아 치료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학회 간부, 그 가이드라인을 통째로 암기해서 전문의 자격시험을 통과하는 암 전문의사,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하지 않으면 의료분쟁이 발생했을 때 불이익을 당하기 때문에 치료 역시 맹목적으로 가이드라인을 따른다.(본문 중에서)

저자에 따르면 진행기 폐암에 대한 항암제 치료 개시 후의 생존기간 그래프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어떤 항암제를 쓰더라도 생존곡선은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고 한다. 한마디로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의사들이 자주 쓰는 항암제가 ‘효과가 있다’는 말은 단지 ‘암 덩어리가 일시적으로 작아졌다’는 의미에 불과하다며, 암은 반드시 되살아나서 다시 커진다고 한다.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는 ‘환자를 부르는 의학.’
오늘날 예방의학이 크게 유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환자를 부르는 의학’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암의 조기발견과 조기수술이 확대되었지만 1960년대 이후로 인구 대비 암 사망률은 줄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서양에서는 위암과 폐암 검진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하여 실시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에서 실시한 폐암에 관한 비교실험에서는 검진을 하거나 하지 않거나 상관없이 사망률이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에서 실시한 유방암 검진군 대조실험에서는 오히려 검진군의 사망률이 더 높게 나왔다고 한다.

다트머스 의대의 길버트 웰치 박사 연구진도 “마모그래피로 150만 명의 여성이 조기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그러나 말기 암 환자수가 줄어든 사실은 없다.”라고 단언했다. … 웰치 박사 연구진은 “건강한 50세 여성 1천 명이 10년 동안 정기적으로 마모그래피를 받으면 0~1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4~10명이 검진을 통해 건강을 해치지 않는 암을 발견하고 유방절제 등의 불필요한 치료를 받는다.”라고 보고하고 있다.(본문 중에서)

저자는 현대의학으로 발견할 수 있는 ‘조기 암’은 직경이 1센티미터 전후의 크기로 자란 ‘노인’ 단계의 암으로 이것이 진짜 암이라면 ‘전이되어 마지막에는 환자의 생명을 빼앗는’ 성질을 갖는다고 말한다. 때문에 아무리 최신 장비로 ‘조기발견’을 해도 이미 전이된 후라서 암을 성급하게 잘라 내거나, 항암제로 자극해보았자 환자에게 이로운 점이 없다고 한다.

암, 노화와 공생하는 삶
세포의 유전자에 상처가 나고, 그것이 쌓여서 몸 여기저기에서 질환을 일으키는 육체의 변화가 노화현상이다. 저자는 암도 역시 노화현상의 일부이기 때문에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이고, 가능한 한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평범한 일상과 하루하루가 기적이기 때문에 오늘 하루를 감사히 여기며 살기를 당부하고 있다.

전신으로 전이된 암이 사라질 확률은 10만 명 중에서 한두 명. 나도 아직까지 진행 암이라는 죽음의 늪에서 살아 돌아온 사람을 본 적이 없다. 그러나 진행 암을 안고 10년을 넘게 산 환자는 많이 알고 있다. … 우리 모두 오늘 하루를 소중하게 살아가자. 태풍의 밤에도 결코 희망을 잃지 말기를 바란다.(맺음말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곤도 마코토(지은이)

암 전문의로 50여 년간 4만 명 이상의 암 환자를 진료했다. 1948년생. 1973년에 게이오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해에 의사국가시험에 합격했다. 1976년부터 동 대학병원의 방사선과에서 근무하면서 1983~2014년에는 동 대학 의학부 강사로 활동했다. 게이오대학병원에서 ‘암 방치 요법’으로 40여 년간 암 환자를 돌봤으며, 2013년에 도쿄 시부야에 ‘곤도 마코토 암 연구소·세컨드 오피니언 외래’를 설립해 8년간 1만 건 이상의 상담에 응해왔다. 현재도 암 표준치료를 받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암 표준치료를 거부한 채 암의 상태를 지켜보는 사람들을 진료하고, 암이 진행되는 과정을 관찰하며 그들이 여생을 편안히 보내도록 안내하고 있다. 1988년에는 게이오대학 전임강사의 신분으로 <유방암은 유방 절제를 하지 않고도 낫는다>를 문예춘추에 기고함으로써 일본에서 최초로 ‘유방 온존요법’을 주장했다. 2012년에는 유방 온존요법의 선구자로서 ‘암 수술의 위험성, 항암제의 독성 등의 암 표준치료(3대 암 치료)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고 계몽’한 공적을 인정받아 일본 최고 권위의 문화상 제60회 기쿠치칸상을 받았다. 곤도 마코토가 다른 의사들과 다른 점은 ‘암의 조기 발견, 조기 치료’는 암 사망률을 줄어들게 하지 못하며, 오히려 치료가 필요 없는 암까지 발견해 표준치료를 하게 함으로써 암이 더 날뛰게 한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알렸다는 점이다. 또한 최선의 암 치료 방법은 ‘암 방치 요법’임을 설파한다. 실제로 게이오대학병원에 근무하던 시절에도 암을 방치한 수백 명의 환자들을 돌봤으며, ‘암 방치 요법’으로 암 환자를 가장 길게는 24년간 정기적으로 진료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 《환자여, 암과 싸우지 마라》, 《암 방치 요법의 권유-환자 150명의 증언》, 《의사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는 47가지 마음가짐》 등 다수가 있다. 이 저서들은 모두 일본 내에서 베스트셀러에 등극했으며, 특히 《의사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는 47가지 마음가짐》은 130만 부나 판매됐다. &#61599; 곤도 마코토 암 연구소·세컨드 오피니언 외래 https://kondo-makoto.com/ (환자가 최선의 치료방침을 정하고자 담당의사 외의 제2의 의사에게 의견을 듣는 것이다.)

박은희(옮긴이)

강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일본 KCP 랭귀지스쿨을 수료했으며 현재는 일본어 통·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호흡력》 《천국의 세계》《세계사 속의 미스터리》 《사람은 믿어도, 일은 믿지 마라!》 《우리가 잊고 지낸 것들》 《말린 채소 레시피》 《허리베개 다이어트》 《봄 여름 가을 겨울 북유럽 핸드메이드》 《여성 호르몬 파워》 《시한부 3개월은 거짓말》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6
제1장 거짓말투성이인 시한부 선고
 의사가 시한부 기간을 짧게 말하는 이유 = 19
 시한부 선고의 역사 = 24
 시한부 진단에만 3개월 이상이 걸린다. = 27
 5년 생존율과 20년 만의 전이와 재발 = 30
 사례 연구 : 암을 치료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 33
 사례 1 : CT검사에서 폐암 발견, '이미 4기에 전신 전이'→3년 9개월 생존 = 35
 사례 2 : 수술 후 4개월 만에 세상을 떠난 나카무라 간자부로 씨 = 39
 진단을 잊는 편이 오래 산다 = 41
 방사선 치료를 하면 식도는 남기면서 생존율은 수술의 경우와 비슷하다 = 44
 치유율은 12% = 48
 끊임없이 수술에 대한 불안을 토로했다 = 50
 수술은 대성공, 그러나… = 52
 치료를 일체 거부하고 7년을 살다 사라지듯 떠나다 = 55
 사례 3 : 유방암의 유방전적수술을 거절한 후, 23년 동안 이상 없음 = 57
 절대 수술 하지 않겠다고 선택했다 = 59
 사례 4 : 경성위암 '치료를 하지 않고' 10년 가까이 평범한 일상을 보내다 = 61
 증상이 없어서 수술을 거절하다 = 63
 암이 9센티미터가 되어도 증상이 없다 = 65
 완화치료를 받으며 러시아와 오키나와를 여행하다 = 67
 수술만 받지 않으면 평온하게 죽을 수 있다 = 69
제2장 남은 수명이란 무엇인가
 남은 수명의 폭은 매우 넓다 = 75
 생존기간 중앙치란? = 78
 리드 타임 바이어스라는 구조 = 80
 데이터의 함정에 속지 말자 = 82
 겉만 번드르르한 수명 연장 효과 = 86
 의사가 데이터를 보여주지 않는 이유 = 89
 '남은 수명을 묻지 않겠다'고 선택했다 = 92
제3장 암이란 무엇인가
 왜, 진짜 암은 낫지 않을까 = 97
 암은 애매하다 = 100
 암과 싸우는 터무니없는 행동 = 102
 고통에 시달리다 죽음에 이르는 암 치료 = 104
 정상세포는 품행방정, 암 세포는 폭주족 = 106
 발암 양동이가 가득차면 어떻게 될까? = 108
 전이와 남은 생 = 110
 어떤 상태에서 남은 삶을 살아갈까 = 112
 암 수술로 설마 이렇게 될 줄은… = 114
 암을 제거하는 수술은 위험천만하다 = 117
 칼이 들어가면 암이 날뛰고 몸은 부자연스러워진다 = 119
 '수술이 성공했다'는 것은 '나았다'는 것이 아니다 = 121
 수술을 지나치게 많이 하는 일본인 = 123
 진화한 방사선 치료 = 126
 '단번에 암을 태운다.' 중립자선 치료의 위험 = 128
 면역력으로는 암을 막을 수도, 고칠 수도 없다 = 131
 적극치료에서 방치요법으로 = 134
 암의 조기발견과 조기수술은 무의미하다 = 137
 조기위암은 암이 아니다? = 140
 암의 진행에 대해서 = 143
 마모그래피도, 자궁경부암 백신도 무의미하다 = 146
 서양과 일본에서의 암의 정의는 다르다 = 150
 2∼3년 이내에 암의 전이가 발생하는 이유 = 152
 '유사암 이론'이 탄생하게 된 계기 = 154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않는 암은 생명을 빼앗지 않는다 = 156
 의사에게 속지 않기 위한 9가지 사항 = 158
제4장 남은 수명을 단축시키는 항암제의 정체
 일본은 항암제 후진국 = 167
 항암제로 암이 사라져도, 반드시 다시 살아난다 = 170
 효과 없는 항암제가 만연하는 장치 = 173
 항암제는 돈이 된다 = 175
 항암제의 생명 단축 작용 = 178
 '항암제=독'은 서양의 상식 = 181
 항암제는 NO라고 말하자 = 184
 이레사로 인한 사망자 857명, 수명 연장 효과 없음 = 186
 죽음도 부작용 중 하나이다 = 188
제5장 예방의학이 수명을 갉아먹는다
 백해무익한 암 검진 = 193
 조기발견은 예방이 아닌 '환자를 부르는' 의학 = 195
 일본에서만 성행하는 암 검진 = 198
 유방암 검진군 쪽이 단명한다 = 200
 자궁경부암 백신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은 '암 비슷한 것' = 202
 원폭사고보다 무서운 의료피폭 = 205
 CT 스캔의 피폭 선량은 엑스레이의 200∼300배 = 208
 비만건강검진은 수명을 단축시킨다 = 211
 암, 노화와 공생하는 삶 = 215
제6장 한정된 남은 인생을 어떻게 살까 = 
 태도를 결정할 자유 = 221
 마음을 기댈 수 있는 요새 = 223
 사람은 죽어도, 주변 사람들의 가슴 속에 남는다 = 226
 어떻게 인생을 마칠까 = 228
 내가 만약 진행암에 걸렸다면 = 231
 치료법을 스스로 선택한다 = 233
 치료법을 결정하는 방법 = 235
 병원 밖에서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 날을 3일만 주세요 = 239
맺음말 = 243
Q&A. 남은 생에 관한 의문 사례 연구 = 254
부록. '암'에 관한 앙케트 결과 = 25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수면학회 (2022)
대한비과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Razzaque, Russell (2023)
Greenberg, Leslie 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