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계열 분석과 예측 : 이해와 응용

시계열 분석과 예측 : 이해와 응용 (7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우리
서명 / 저자사항
시계열 분석과 예측 =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 이해와 응용 / 이우리 저
발행사항
서울 :   탐진,   2013   (2014)  
형태사항
xiv, 356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88955403213
일반주기
부록: 통계분포표  
서지주기
참고문헌(p. 339-340)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68201
005 20150723103154
007 ta
008 131004s2013 ulkad b 001c kor
020 ▼a 9788955403213 ▼g 933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519.55 ▼2 23
085 ▼a 519.55 ▼2 DDCK
090 ▼a 519.55 ▼b 2013
100 1 ▼a 이우리 ▼0 AUTH(211009)39583
245 1 0 ▼a 시계열 분석과 예측 = ▼x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 ▼b 이해와 응용 / ▼d 이우리 저
260 ▼a 서울 : ▼b 탐진, ▼c 2013 ▼g (2014)
300 ▼a xiv, 356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0 ▼a 부록: 통계분포표
504 ▼a 참고문헌(p. 339-340)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519.55 2013 등록번호 1117038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519.55 2013 등록번호 1212337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519.55 2013 등록번호 1117038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519.55 2013 등록번호 1212337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우리(지은이)

<회귀분석 입문 및 응용>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시계열분석과 예측 입문
 제1장 시계열분석과 예측 = 3
  1.1 시계열의 이해 = 3
  1.2 예측의 의의와 필요성 = 9
  1.3 예측의 종류 = 10
  1.4 시계열의 예측방법 = 12
  1.5 예측의 평가 = 14
 제2장 시계열분석을 위한 기초 통계학 = 18
  2.1 기초개념 = 18
  2.2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 19
   2.2.1. 확률변수 = 19
   2.2.2. 확률변수의 기대값과 분산 = 20
   2.2.3. 확률분포 = 22
  2.3 상관계수와 편상관계수 = 22
   2.3.1. 상관계수 = 23
   2.3.2. 편상관계수 = 25
  2.4 정규분포 및 관련분포 = 26
   2.4.1. 정규분포 = 26
   2.4.2. 정규분포와 관련된 분포 = 27
  2.5 통계적 추정 및 가설검정 = 30
   2.5.1. 표집분포 = 30
   2.5.2. 추정량의 특성 = 31
   2.5.3. 신뢰구간 추정 및 가설검정 = 32
 제3장 지수 = 35
  3.1 개별지수 = 35
  3.2 종합지수 = 35
   3.2.1. 단순지수 = 35
   3.2.2 가중지수 = 37
  3.3 주요경제지수 = 39
 제4장 평활법에 의한 시계열분석 = 42
  4.1 수평적 시계열의 분석을 위한 평활법 = 42
   4.1.1. 수평적 시계열 = 42
   4.1.2. 단순이동평균법 = 43
   4.1.3. 단순지수평활법 = 46
   4.1.4. 사례분석 : 한국의 월별 소비자물가지수 증감율의 예측 = 50
  4.2 추세성을 갖는 시계열의 분석을 위한 평활법 = 53
   4.2.1. 추세성을 갖는 시계열 = 53
   4.2.2. 선형이동평균법 = 53
   4.2.3. 선형지수평활법 = 55
   4.2.4. 이차지수평활법 = 58
   4.2.5. 사례분석 : 경기종합지수 시계열의 예측 = 59
  4.3 계절성을 갖는 시계열의 분석을 위한 평활법 = 64
   4.3.1. 계절성을 갖는 시계열 = 64
   4.3.2. 계절지수평활법 = 65
   4.3.3. 사례분석 = 66
  〈부록 4.1〉SAS/ETS를 이용한 지수평활법 = 70
 제5장 시계열의 분해와 계절조정 = 72
  5.1 시계열의 분해와 예측 = 72
  5.2 시계열분해를 위한 이동평균 = 72
  5.3 분해법에 의한 예측 = 77
  5.4 계절변동조정과 센서스 국법 = 82
   5.4.1. 계절변동 조정이란? = 82
   5.4.2. 계절변동의 조정방법 = 83
   5.4.3. 센서스 국법에 의한 계절변동조정 = 83
   5.4.4. X-11-ARIMA와 X-12-ARIMA = 85
   5.4.5. 사례분석 : 월별 건축허가면적 계열의 분해 = 87
  연습문제 = 90
제2편 ARIMA 모형에 의한 시계열분석
 제6장 정상 시계열 모형 = 95
  6.1 정상 시계열이란 = 95
   6.1.1. 확률과정과 정상성 = 95
   6.1.2. 자기상관함수와 편자기상관함수 = 97
   6.1.3. 백색잡음과정 = 102
   6.1.4. 연산자 = 104
  6.2 일반선형모형 = 105
  6.3 자기회귀 모형 = 107
   6.3.1. AR(1) 모형 = 108
   6.3.2. AR(2) 모형 = 113
   6.3.3. AR(p) 모형 = 117
  6.4 이동평균 모형 = 119
   6.4.1. MA(1) 모형 = 119
   6.4.2. MA(2) 모형 = 123
   6.4.3. MA(q) 모형 = 127
   6.4.4. AR 모형과 MA 모형과의 관련성 = 128
  6.5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 = 131
   6.5.1. 자기회귀이동평균[ARMA(p, q)] 모형 = 131
   6.5.2. 1차 자기회귀이동평균[ARMA(1, 1)] 모형 = 133
  6.6 상수항을 갖는 ARMA 모형 = 137
  〈부록 6.1〉엄격한 의미의 정상성 = 140
  〈부록 6.2〉확률과정들의 ACF와 PACF 비교 = 141
  〈부록 6.3〉ARMA 모형의 특성 요약 = 142
  〈부록 6.4〉AR(2) 모형의 정상성 조건 유도 = 144
   연습문제 = 145
 제7장 비정상 시계열 = 146
  7.1 비정상 계열의 정상화 = 146
   7.1.1. 분산의 정상화 = 147
   7.1.2. 평균의 정상화 = 148
  7.2 확률적 추세와 단위근 검정 = 151
   7.2.1. 단위근의 개념 = 152
   7.2.2. 단위근 검정 방법 = 152
  7.3. 확률보행 모형 = 156
  7.4. 누적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 = 161
   7.4.1. ARIMA(p, d, q) 모형 = 161
   7.4.2. ARIMA(0, 1, 1) 모형과 지수평활법 = 163
  연습문제 = 165
 제8장 계절 시계열 모형 = 166
  8.1 정상 계절 AR 모형과 MA 모형 = 167
   8.1.1. 계절 MA 모형 = 167
   8.1.2. 계절 AR 모형 = 170
  8.2 승법계절 ARMA 모형 = 173
  8.3 비정상 계절 ARIMA 모형 = 177
  연습문제 = 181
 제9장 모형의 식별 = 183
  9.1 Box-Jenkins에 의한 시계열 모형의 분석 = 183
  9.2 모형의 식별과정 = 185
   9.2.1. ARMA 모형의 식별 = 186
   9.2.2. 계절 ARMA(p, q)(P, Q) 모형의 식별 = 187
  9.3 모형의 식별을 위한 통계량 = 188
  9.4 모형 식별 예제 = 190
  연습문제 = 196
 제10장 모형의 모수 추정, 진단 및 확정 = 198
  10.1 모수 추정 = 198
   10.1.1. 적률 추정법(Method of Moments) = 198
   10.1.2. 최우추정법(Maximum Likelihood Method) = 202
   10.1.3. 최소제곱추정법(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ion) = 204
  10.2 모형의 진단 = 209
   10.2.1. 잔차의 독립성에 대한 진단 = 209
   10.2.2. 잔차그림 분석과 과다적합 = 213
  10.3 모형의 재형성 = 213
  10.4 모형의 확정 : 좋은 모형의 기준 = 214
  10.5 모형의 모수 추정, 진단 및 확정 예제 = 217
  연습문제 = 227
 제11장 시계열 예측 = 228
  11.1 최소평균제곱오차 예측 = 228
  11.2 AR(p) 모형 예측 = 230
  11.3 MA(q) 모형 = 236
  11.4 ARMA(p, q) 모형의 예측 = 239
  11.5 비정상 ARIMA 모형의 예측 = 241
   11.5.1. 경향을 가진 확률보행의 예측 = 241
   11.5.2. 비정상 ARIMA 모형의 예측 = 243
  연습문제 = 247
 제12장 실증적 분석 사례 = 248
  12.1 ARIMA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연간 저축률 계열의 분석 = 249
  12.2 ARIMA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일별 주식거래량 계열의 분석 = 254
  12.3 ARIMA 모형을 이용한 월별 대미환율 계열의 분석 = 258
  12.4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월별 건축허가면적 계열의 분석 = 263
  12.5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한국의 분기별 전산업생산지수 계열의 분석 = 269
  12.6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월별 내국인 출국자수 계열의 분석 = 276
제3편 ARIMA 모형의 확장 및 예측을 위한 다른 방법들
 제13장 전이함수 모형 = 285
  13.1 전이함수 모형이란 = 285
  13.2 단일 투입변수 전이함수 모형 = 286
  13.3 교체상관함수와 전이함수 모형 = 288
  13.4 전이함수 모형의 식별 = 293
  13.5 전이함수 모형의 추정과 검진 = 297
  13.6 예측 = 299
  13.7 사례분석 : 전이함수 모형에 의한 판매액의 예측 = 303
 제14장 개입분석과 특이값 = 310
  14.1 서론 = 310
  14.2 개입 시계열분석 = 310
  14.3 개입변수의 유형 = 311
  14.4 사례분석 : 중국정부의 홍콩에 대한 주권행사에 관한 안의 발표가 홍콩의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313
  14.5 시계열 특이값 = 317
 제15장 결합예측 = 319
  15.1 결합예측이란? = 319
  15.2 결합예측의 동기와 필요성 = 321
  15.3 최소분산 기준에 의한 결합예측 = 322
  15.4 회귀방법에 의한 결합예측 = 326
   15.4.1. 통상최소제곱법에 의한 결합가중치의 추정 = 326
   15.4.2. 제한최소제곱법에 의한 결합가중치의 추정 = 328
 제16장 질적 예측방법 = 333
  16.1 서론 = 333
  16.2「델파이」방법 = 333
  16.3「시나리오」방법 = 335
  16.4「크로스 임팩트」분석 = 336
부록 : 통계분포표 = 341
찾아보기 = 352

관련분야 신착자료

민인식 (2023)
전치혁 (2023)
김규성 (2023)
인하대학교. 통계학과 (2022)
구자용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