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평생교육 방법의 이론적 기초
제1장 평생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 = 15
1. 평생학습사회 다시보기 = 15
1) 평생학습과 학습자 다시보기 = 16
2) 지식기반사회와 평생교육 = 18
3) 평생교육의 미래에 대한 희망적 예측 = 19
2. 평생교육 방법의 기초 = 24
1) 가르침의 본질과 진화 = 24
2) 변화하는 지식과 교수자의 역할 = 26
3) 숙련된 교수자 : 핵심 요소들 = 28
제2장 평생교육 방법의 이론적 기초 = 33
1. 주요 학습이론의 이해 = 33
1) 행동주의 = 34
2) 인지주의 = 37
3) 인본주의 = 40
4) 사회학습이론 = 42
5) 구성주의 = 44
2. Kolb의 경험학습론, Gagne의 학습영역이론 및 Jarvis의 학습이론 = 48
1) Kolb의 경험학습론 = 49
2) Gagne의 학습영역이론 = 52
3) Jarvis의 학습이론 = 54
3. 성인학습 = 55
1) 성인학습의 이해 = 56
2) 성인학습의 원리 = 59
3) 성인의 학습 참여 = 61
4) 성인학습의 장해 요인 = 64
제3장 평생교육의 주요 이론 = 71
1. 안드라고지 = 71
1) 안드라고지의 기본 개념 = 72
2) 안드라고지와 페다고지 = 72
3) 안드라고지 모형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조건 및 원리 = 75
4) 교육 현장에서의 안드라고지 적용 = 76
2. 자기주도학습 = 77
1) 자기주도학습의 기본 개념 = 77
2) 자기주도학습의 주요 이론 = 78
3) 자기주도학습의 모형과 교수모형 = 82
3. 전환학습론 = 85
1) 전환학습론의 기본 개념 = 85
2) 전환학습론의 주요 이론 = 86
3) 전환학습의 핵심 요소 = 90
제4장 평생교육의 교수자와 학습자 = 95
1. 평생교육의 교수자 = 95
1) 평생교육 교수자의 정의와 역할 = 95
2) 평생교육자의 자질 = 97
3) 평생교육의 교수자의 역할 = 102
4) 성인학습자를 대하는 평생교육자의 유형 = 107
2. 성인학습자 = 109
1) 성인학습자의 이해 = 109
2) 성인학습자의 특성 = 111
3. 교수 스타일 및 학습 스타일 = 123
1) 교수 스타일 = 123
2) 학습 스타일 = 124
제2부 평생교육 방법의 실제
제5장 집단 중심 평생교육 방법 = 131
1. 집단학습 = 131
1) 집단학습의 정의와 유형 = 131
2) 집단학습의 효과적 실사를 위한 지침 = 132
3) 집단학습에서 효과적 의사소통을 위한 강의실의 배치 = 133
4) 효과적인 집단학습 교수자의 역할 = 139
2. 아이스브레이킹 = 140
1) 아이스브레이킹의 정의와 특성 = 140
2) 아이스브레이킹의 기법 = 140
3. 웜업 = 143
4. 브레인스토밍 = 144
1) 브레인스토밍의 정의와 특성 = 144
2) 브레인스토밍의 원칙 = 145
3) 브레인스토밍의 단계 = 146
4) 브레인스토밍의 효과적인 상황 = 146
5. 버즈 그룹 = 147
1) 버즈 그룹의 정의와 특성 = 147
2) 버즈 그룹의 장점과 기대 효과 = 148
3) 버즈 그룹의 진행 방법 = 149
6. 허들 그룹 = 150
1) 허들 그룹의 정의와 특성 = 150
2) 허들 그룹의 진행 방법 = 150
7. 감수성 훈련 = 151
1) 감수성 훈련의 정의와 특성 = 151
2) 감수성 훈련의 목적과 유의 사항 = 151
3) 감수성 훈련의 기간과 장소 = 152
4) 감수성 훈련의 내용 = 152
제6장 토의법 및 전문가 참여 토의법 = 155
1. 토의법 = 155
1) 토의법의 정의와 목적 = 155
2) 토의법의 특징 = 156
3) 토의법의 장점과 단점 = 157
4) 토의법의 진행 절차 = 158
5) 토의 진행자 및 참여자의 태도 = 160
2. 전문가 참여 토의법 = 163
1) 포럼 = 163
2) 패널 토의 = 166
3) 심포지엄 = 168
4) 세미나 = 171
5) 콜로키 = 172
6) 인터뷰 = 173
제7장 교수자 중심 평생교육 방법 = 175
1. 강의법 = 175
1) 강의법의 정의와 특성 = 175
2) 강의법의 장점과 단점 = 176
3) 좋은 강의의 특징 = 178
4) 강의법 사용을 위한 강의실의 좌석 배치 및 환경 구성 = 179
5) 효과적인 강의의 진행 절차 = 180
6) 효과적인 강의법의 사용을 위한 지침 = 185
7) 효과적인 강의노트 준비를 위한 지침 = 187
2. 강연법 = 189
1) 강연법의 정의와 목적 = 189
2) 강연법의 장점과 단점 = 190
3) 강연회의 구성원 = 191
4) 강연회 개최 시의 유의사항 = 191
3. 질문법 = 192
1) 질문법의 정의와 목적 = 192
2) 질문법의 특성 = 193
3) 질문법의 효과적 진행 방법 = 194
4) 질문법의 효과적 활용 지침 = 195
5) 효과적인 질문법 사용을 위한 지침 = 197
6) 질문법 사용 시 발생 가능한 문제 상황 = 198
7) 수업 종료 시의 퀴즈 및 질의응답 = 199
8) 개방형 질문과 폐쇄성 질문의 효과적 사용 지침 = 200
4. 프레젠테이션 = 201
1) 프레젠테이션의 정의와 특징 = 201
2)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 203
5. 발표 = 210
1) 발표 전의 마음의 준비 = 210
2) 발표 시의 바른 자세 = 211
3) 제스처 = 211
4) 시선 교환하기 = 214
5) 잠시 멈추고 침묵하기 = 216
제8장 학습자 중심 평생교육 방법 = 217
1. 멘토링 = 217
1) 멘토링의 정의와 개념 = 217
2) 멘토링의 특성 = 218
3) 멘토링에 관한 쟁점들 = 219
4) 멘토링의 기능 = 221
5) 멘토링의 실천 방법 = 224
6) 멘토링의 기대 효과 = 227
7) 멘토링 제도의 운영 = 228
8) 멘토링 프로그램의 실시 과정 = 230
9)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멘토링의 의의 = 232
2. 코칭 = 232
1) 코칭의 정의와 개념 = 232
2) 바람직한 코치의 특성과 자질 = 235
3) 코칭의 과정 = 241
4) 경청의 중요성 = 245
5) 피드백 기술 = 247
6) 코칭의 장해 요인 = 249
3. 학습계약 = 250
1) 학습계약의 정의와 특성 = 250
2) 학습계약의 체결 = 251
3) 학습계약의 장점과 단점 = 254
4) 학습계약 사용 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책임 = 256
5) 학습계약의 평가 = 257
제9장 체험 중심 평생교육 방법 = 259
1. 디베이트 = 259
1) 디베이트의 정의와 특성 = 259
2) 디베이트의 유형 = 260
3) 디베이트의 효과 = 261
2. 게임법 = 262
1) 게임법의 정의와 특성 = 262
2) 게임법의 효과 = 263
3) 게임법의 장점과 단점 = 264
4) 게임법의 유형 = 265
5) 게임법의 진행 절차 = 266
3. 시범 = 267
1) 시범의 정의와 특성 = 267
2) 시범의 유형 = 270
3) 시범의 장점과 단점 = 271
4) 시범가의 역할 = 274
4. 시뮬레이션 = 277
1) 시뮬레이션의 정의와 특성 = 277
2) 시뮬레이션이 효과적인 상황 = 278
3) 시뮬레이션을 위한 활동 계획 = 278
4) 시뮬레이션의 장점과 단점 = 279
5) 시뮬레이션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과 책임 = 281
5. 역할극 = 285
1) 역할극의 정의와 특성 = 285
2) 역할극의 진행 과정 = 287
3) 역할극의 장점과 단점 = 289
4) 역할극의 효과적인 실시를 위한 지침 = 290
6. 사례 연구 = 293
1) 사례 연구의 정의와 특성 = 293
2) 사례 연구의 진행 과정 = 294
7. 현장학습 = 297
1) 현장학습의 정의와 목적 = 297
2) 현장학습의 유형 = 298
3) 현장학습의 목표 = 298
4) 현장학습의 사례: 서비스 학습 = 298
제10장 이러닝 및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평생교육 방법 = 301
1. 이러닝 = 301
1) 이러닝의 개념과 관련 용어 = 301
2) 이러닝의 요소 = 304
3) 이러닝의 특성 = 305
4) 이러닝의 장점 = 307
5) 이러닝의 현황과 문제점 = 308
2.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평생교육 방법 = 312
1) 모바일 교수-학습의 확대 = 312
2)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침 = 313
3)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법으로 구성 요소들 = 314
4) 효과적인 모바일 교수-학습을 위한 지침 = 315
5) 교재 유형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도구 및 활용 = 317
6)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지침 = 318
제3부 평생교육 방법의 선정과 평가
제11장 교육 방법 및 교수 매체의 선정 = 323
1. 교육 방법의 선정 = 323
1) 학습 목표의 설정 = 323
2) 학습 목표의 영역 = 325
3) 수업지도안 = 327
4) 교수 방법 = 328
2. 교수 매체의 선정 = 330
1) 교수 매체의 개념과 특성 = 330
2) 교수 매체의 선정 기준 = 332
3) 교수 매체의 분류 및 특성 = 333
제12장 평가 = 337
1. 평가의 개념과 목적 = 337
1) 평가의 개념과 특성 = 337
2) 평가의 목적 = 338
3) 평가의 의의 = 340
4) 평가자의 자질과 역할 = 341
5) 효과적인 평가를 위한 지침 = 342
2. 평가의 절차 = 343
1) 평가의 목표 설정 = 344
2) 평가 내용과 방법의 결정 = 344
3) 평가 도구의 제작 = 352
4) 평가의 실시 = 352
5) 평가 결과의 처리 및 분석 = 354
6) 평가 결과의 활용 = 354
3. 평가의 유형 = 355
1) 형성평가의 총괄평가 = 355
2) 프로그램 평가의 영역 및 준거 = 356
4. 평가의 모형 = 357
1) Kirkpatrick 모형 = 358
2) Stufflebeam의 CIPP 모형 = 359
3) Caffarella의 평가수준 모형 = 361
참고문헌 = 363
찾아보기 =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