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생교육 방법론

평생교육 방법론 (Loan 2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용주
Title Statement
평생교육 방법론 = Methods in lifelong education / 신용주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2   (2013)  
Physical Medium
390 p. : 삽화, 도표 ; 24 cm
ISBN
978896330918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63-377)과 색인수록
000 00651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768005
005 20141029095103
007 ta
008 120919s2012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3309187 ▼g 93370
035 ▼a (KERIS)BIB000012929082
040 ▼a 244004 ▼c 244004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2z4
100 1 ▼a 신용주 ▼0 AUTH(211009)21564
245 1 0 ▼a 평생교육 방법론 = ▼x Methods in lifelong education / ▼d 신용주 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2 ▼g (2013)
300 ▼a 390 p. : ▼b 삽화, 도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363-377)과 색인수록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2z4 Accession No. 1117255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12z4 Accession No. 1513168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2z4 Accession No. 1117255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12z4 Accession No. 1513168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신용주(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문학사 미국 Texas A & M University 성인 및 평생교육학 석사/박사 영국 University of Birmingham, School of Public Policy 방문교수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School of Social Work 방문교수 동덕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장 및 보육교사교육원장 한국성인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이사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평생교육 방법의 이론적 기초
 제1장 평생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 = 15 
  1. 평생학습사회 다시보기 = 15 
   1) 평생학습과 학습자 다시보기 = 16
   2) 지식기반사회와 평생교육 = 18
   3) 평생교육의 미래에 대한 희망적 예측 = 19
  2. 평생교육 방법의 기초 = 24
   1) 가르침의 본질과 진화 = 24
   2) 변화하는 지식과 교수자의 역할 = 26
   3) 숙련된 교수자 : 핵심 요소들 = 28
 제2장 평생교육 방법의 이론적 기초 = 33 
  1. 주요 학습이론의 이해 = 33 
   1) 행동주의 = 34
   2) 인지주의 = 37
   3) 인본주의 = 40
   4) 사회학습이론 = 42
   5) 구성주의 = 44
  2. Kolb의 경험학습론, Gagne의 학습영역이론 및 Jarvis의 학습이론 = 48
   1) Kolb의 경험학습론 = 49
   2) Gagne의 학습영역이론 = 52
   3) Jarvis의 학습이론 = 54
  3. 성인학습 = 55 
   1) 성인학습의 이해 = 56
   2) 성인학습의 원리 = 59
   3) 성인의 학습 참여 = 61
   4) 성인학습의 장해 요인 = 64
 제3장 평생교육의 주요 이론 = 71 
  1. 안드라고지 = 71 
   1) 안드라고지의 기본 개념 = 72
   2) 안드라고지와 페다고지 = 72
   3) 안드라고지 모형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조건 및 원리 = 75
   4) 교육 현장에서의 안드라고지 적용 = 76
  2. 자기주도학습 = 77 
   1) 자기주도학습의 기본 개념 = 77
   2) 자기주도학습의 주요 이론 = 78
   3) 자기주도학습의 모형과 교수모형 = 82
  3. 전환학습론 = 85 
   1) 전환학습론의 기본 개념 = 85
   2) 전환학습론의 주요 이론 = 86
   3) 전환학습의 핵심 요소 = 90
 제4장 평생교육의 교수자와 학습자 = 95 
  1. 평생교육의 교수자 = 95 
   1) 평생교육 교수자의 정의와 역할 = 95
   2) 평생교육자의 자질 = 97
   3) 평생교육의 교수자의 역할 = 102
   4) 성인학습자를 대하는 평생교육자의 유형 = 107
  2. 성인학습자 = 109 
   1) 성인학습자의 이해 = 109
   2) 성인학습자의 특성 = 111
  3. 교수 스타일 및 학습 스타일 = 123 
   1) 교수 스타일 = 123
   2) 학습 스타일 = 124
제2부 평생교육 방법의 실제
 제5장 집단 중심 평생교육 방법 = 131 
  1. 집단학습 = 131 
   1) 집단학습의 정의와 유형 = 131
   2) 집단학습의 효과적 실사를 위한 지침 = 132
   3) 집단학습에서 효과적 의사소통을 위한 강의실의 배치 = 133
   4) 효과적인 집단학습 교수자의 역할 = 139
  2. 아이스브레이킹 = 140 
   1) 아이스브레이킹의 정의와 특성 = 140
   2) 아이스브레이킹의 기법 = 140
  3. 웜업 = 143 
  4. 브레인스토밍 = 144 
   1) 브레인스토밍의 정의와 특성 = 144
   2) 브레인스토밍의 원칙 = 145
   3) 브레인스토밍의 단계 = 146
   4) 브레인스토밍의 효과적인 상황 = 146
  5. 버즈 그룹 = 147 
   1) 버즈 그룹의 정의와 특성 = 147
   2) 버즈 그룹의 장점과 기대 효과 = 148
   3) 버즈 그룹의 진행 방법 = 149
  6. 허들 그룹 = 150 
   1) 허들 그룹의 정의와 특성 = 150
   2) 허들 그룹의 진행 방법 = 150
  7. 감수성 훈련 = 151 
   1) 감수성 훈련의 정의와 특성 = 151
   2) 감수성 훈련의 목적과 유의 사항 = 151
   3) 감수성 훈련의 기간과 장소 = 152
   4) 감수성 훈련의 내용 = 152
 제6장 토의법 및 전문가 참여 토의법 = 155 
  1. 토의법 = 155 
   1) 토의법의 정의와 목적 = 155
   2) 토의법의 특징 = 156
   3) 토의법의 장점과 단점 = 157
   4) 토의법의 진행 절차 = 158
   5) 토의 진행자 및 참여자의 태도 = 160
  2. 전문가 참여 토의법 = 163 
   1) 포럼 = 163
   2) 패널 토의 = 166
   3) 심포지엄 = 168
   4) 세미나 = 171
   5) 콜로키 = 172
   6) 인터뷰 = 173
 제7장 교수자 중심 평생교육 방법 = 175
  1. 강의법 = 175 
   1) 강의법의 정의와 특성 = 175
   2) 강의법의 장점과 단점 = 176
   3) 좋은 강의의 특징 = 178
   4) 강의법 사용을 위한 강의실의 좌석 배치 및 환경 구성 = 179
   5) 효과적인 강의의 진행 절차 = 180
   6) 효과적인 강의법의 사용을 위한 지침 = 185
   7) 효과적인 강의노트 준비를 위한 지침 = 187
  2. 강연법 = 189 
   1) 강연법의 정의와 목적 = 189
   2) 강연법의 장점과 단점 = 190
   3) 강연회의 구성원 = 191
   4) 강연회 개최 시의 유의사항 = 191
  3. 질문법 = 192 
   1) 질문법의 정의와 목적 = 192
   2) 질문법의 특성 = 193
   3) 질문법의 효과적 진행 방법 = 194
   4) 질문법의 효과적 활용 지침 = 195
   5) 효과적인 질문법 사용을 위한 지침 = 197
   6) 질문법 사용 시 발생 가능한 문제 상황 = 198
   7) 수업 종료 시의 퀴즈 및 질의응답 = 199
   8) 개방형 질문과 폐쇄성 질문의 효과적 사용 지침 = 200
  4. 프레젠테이션 = 201
   1) 프레젠테이션의 정의와 특징 = 201
   2)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 203
  5. 발표 = 210 
   1) 발표 전의 마음의 준비 = 210
   2) 발표 시의 바른 자세 = 211
   3) 제스처 = 211
   4) 시선 교환하기 = 214
   5) 잠시 멈추고 침묵하기 = 216
 제8장 학습자 중심 평생교육 방법 = 217 
  1. 멘토링 = 217 
   1) 멘토링의 정의와 개념 = 217
   2) 멘토링의 특성 = 218
   3) 멘토링에 관한 쟁점들 = 219
   4) 멘토링의 기능 = 221
   5) 멘토링의 실천 방법 = 224
   6) 멘토링의 기대 효과 = 227
   7) 멘토링 제도의 운영 = 228
   8) 멘토링 프로그램의 실시 과정 = 230
   9)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멘토링의 의의 = 232
  2. 코칭 = 232 
   1) 코칭의 정의와 개념 = 232
   2) 바람직한 코치의 특성과 자질 = 235
   3) 코칭의 과정 = 241
   4) 경청의 중요성 = 245
   5) 피드백 기술 = 247
   6) 코칭의 장해 요인 = 249
  3. 학습계약 = 250 
   1) 학습계약의 정의와 특성 = 250
   2) 학습계약의 체결 = 251
   3) 학습계약의 장점과 단점 = 254
   4) 학습계약 사용 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책임 = 256
   5) 학습계약의 평가 = 257
 제9장 체험 중심 평생교육 방법 = 259 
  1. 디베이트 = 259 
   1) 디베이트의 정의와 특성 = 259
   2) 디베이트의 유형 = 260
   3) 디베이트의 효과 = 261
  2. 게임법 = 262 
   1) 게임법의 정의와 특성 = 262
   2) 게임법의 효과 = 263
   3) 게임법의 장점과 단점 = 264
   4) 게임법의 유형 = 265
   5) 게임법의 진행 절차 = 266
  3. 시범 = 267 
   1) 시범의 정의와 특성 = 267
   2) 시범의 유형 = 270
   3) 시범의 장점과 단점 = 271
   4) 시범가의 역할 = 274
  4. 시뮬레이션 = 277 
   1) 시뮬레이션의 정의와 특성 = 277
   2) 시뮬레이션이 효과적인 상황 = 278
   3) 시뮬레이션을 위한 활동 계획 = 278
   4) 시뮬레이션의 장점과 단점 = 279
   5) 시뮬레이션을 위한 교수자의 역할과 책임 = 281
  5. 역할극 = 285 
   1) 역할극의 정의와 특성 = 285
   2) 역할극의 진행 과정 = 287
   3) 역할극의 장점과 단점 = 289
   4) 역할극의 효과적인 실시를 위한 지침 = 290
  6. 사례 연구 = 293 
   1) 사례 연구의 정의와 특성 = 293
   2) 사례 연구의 진행 과정 = 294
  7. 현장학습 = 297
   1) 현장학습의 정의와 목적 = 297
   2) 현장학습의 유형 = 298
   3) 현장학습의 목표 = 298
   4) 현장학습의 사례: 서비스 학습 = 298
  제10장 이러닝 및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평생교육 방법 = 301
  1. 이러닝 = 301 
   1) 이러닝의 개념과 관련 용어 = 301
   2) 이러닝의 요소 = 304
   3) 이러닝의 특성 = 305
   4) 이러닝의 장점 = 307
   5) 이러닝의 현황과 문제점 = 308
  2.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평생교육 방법 = 312 
   1) 모바일 교수-학습의 확대 = 312
   2) 테크놀로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침 = 313
   3)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법으로 구성 요소들 = 314
   4) 효과적인 모바일 교수-학습을 위한 지침 = 315
   5) 교재 유형에 따른 프레젠테이션 도구 및 활용 = 317
   6)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지침 = 318
제3부 평생교육 방법의 선정과 평가
 제11장 교육 방법 및 교수 매체의 선정 = 323 
  1. 교육 방법의 선정 = 323 
   1) 학습 목표의 설정 = 323
   2) 학습 목표의 영역 = 325
   3) 수업지도안 = 327
   4) 교수 방법 = 328
  2. 교수 매체의 선정 = 330 
   1) 교수 매체의 개념과 특성 = 330
   2) 교수 매체의 선정 기준 = 332
   3) 교수 매체의 분류 및 특성 = 333
 제12장 평가 = 337 
  1. 평가의 개념과 목적 = 337
   1) 평가의 개념과 특성 = 337
   2) 평가의 목적 = 338
   3) 평가의 의의 = 340
   4) 평가자의 자질과 역할 = 341
   5) 효과적인 평가를 위한 지침 = 342
  2. 평가의 절차 = 343 
   1) 평가의 목표 설정 = 344
   2) 평가 내용과 방법의 결정 = 344
   3) 평가 도구의 제작 = 352
   4) 평가의 실시 = 352
   5) 평가 결과의 처리 및 분석 = 354
   6) 평가 결과의 활용 = 354
  3. 평가의 유형 = 355 
   1) 형성평가의 총괄평가 = 355
   2) 프로그램 평가의 영역 및 준거 = 356
  4. 평가의 모형 = 357 
   1) Kirkpatrick 모형 = 358
   2) Stufflebeam의 CIPP 모형 = 359
   3) Caffarella의 평가수준 모형 = 361
참고문헌 = 363
찾아보기 = 3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