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23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767215 | |
005 | 20140114095614 | |
007 | ta | |
008 | 130904s2013 ggka 000c kor | |
020 | ▼a 9788950950743 ▼g 03100 | |
035 | ▼a (KERIS)BIB000013271870 | |
040 | ▼a 211019 ▼d 21101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5.232 ▼2 23 |
085 | ▼a 155.232 ▼2 DDCK | |
090 | ▼a 155.232 ▼b 2013z6 | |
100 | 1 | ▼a Perry, John R., ▼d 1943- ▼0 AUTH(211009)65873 |
245 | 1 0 | ▼a 미루기의 기술 : ▼b 늑장부리고 빈둥거리고 게으름 피우면서도 효율적인 사람이 되는 법 / ▼d 존 페리 지음 ; ▼e 강유리 옮김 |
246 | 1 9 | ▼a (The) art of procrastination : ▼b a guide to effective dawdling, lollygagging, and postponing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13 | |
300 | ▼a 177 p. : ▼b 삽화 ; ▼c 20 cm | |
500 | ▼a 부록: 미루는 습관을 버리는 방법 | |
650 | 0 | ▼a Procrastination |
650 | 0 | ▼a Time management |
650 | 0 | ▼a Self-actualization (Psychology) |
700 | 1 | ▼a 강유리, ▼e 역 ▼0 AUTH(211009)125565 |
900 | 1 0 | ▼a 페리, 존,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32 2013z6 | 등록번호 1410812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5.232 2013z6 | 등록번호 12122800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32 2013z6 | 등록번호 14108128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5.232 2013z6 | 등록번호 12122800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 원로 언어철학자가 일상에서 체득한 ‘미루기의 기술’. 저자는 미루기를 결코 부정적인 것이 아닌 “다른 일을 하지 않음으로써 많은 일을 해내는” 방식의 하나이며, “완벽주의의 환상이 불러오는 정신적 혼란과 모두의 시간 낭비를 피할 방법”을 찾을 수 있는 키워드로 파악한다. 이에 10개의 장(章)을 통해 경쾌하면서도 자유로운 자기분석과 사담을 이어나가면서 미루기에 대한 일반인의 타부를 종횡무진으로 난타하고 있다.
미루기(procrastination)란?
‘미루기’(procrastination)는 "앞으로"를 뜻하는 라틴어 접두사 "pro"와, "내일"을 뜻하는 "crastinus"가 결합된 단어로 ‘해야 할 일을 무조건 내일로 미루는 경향’을 뜻한다. 특히 어떤 일이 자기에게 즉각적인 만족을 주지 않을 경우 결코 ‘일하지 않는’ 경향을 지닌다. 이는 물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과는 다르다. 이와 반대로 그는 골치 아픈 일이 아니라면 그 일에 진한 열정을 갖고 몰두한다.
‘미루기’의 심리적 원인은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다. 임상적 관점에서 혹자는 이것이 ‘불안’과 ‘자기불신’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고, 혹자는 ‘불안’과 ‘완벽주의’는 ‘미루기’와 하등의 연관이 없다고 주장했다. 어쨌든 미루기는 자기확신의 결여, 권태, 무관심, 그리고 가장 중요한 고리인 ‘충동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이런 논쟁으로 미루어 보건데 ‘미루기’는 결코 작지 않은 주제인 셈이다.
그러나 이 책은 이 주제에 대한 심각하거나 묵직한 논쟁을 다룬 에세이가 아니다. 미루기를 옹호하는 책? 그것도 한 원로 언어철학자가 일상에서 체득한 ‘미루기의 기술’이라니? 무한경쟁, 자기계발, 적자생존의 글로벌 시대에 이는 스스로 퇴보를 자처하는 것이 아닐까? 이에 저자는 책머리에서 소위 합리적 동물이라 자칭하는 인간, 특히 자신의 경우 “이 이상의 결함이 가장 확실하게 드러나는 부분은 바로 미루기 습관”이라고 보았고, 이를 계기로 미루기가 결코 부정적인 것이 아닌 “다른 일을 하지 않음으로써 많은 일을 해내는” 방식의 하나이며, “완벽주의의 환상이 불러오는 정신적 혼란과 모두의 시간 낭비를 피할 방법”을 찾을 수 있는 키워드로 파악했다. 이에 존 페리는 10개의 장(章)을 통해 경쾌하면서도 자유로운 자기분석과 사담을 이어나가면서 미루기에 대한 일반인의 타부를 종횡무진으로 난타하고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미루기의 모순 체계적인 미루기 미루기와 완벽주의 할 일 목록 리듬을 타라 컴퓨터와 미루기쟁이 수평형 정리자의 항변 적과의 협력? 미루기의 부가 혜택 미루기쟁이는 정말 짜증나는 존재일까? 깊은 생각 끝에 내린 결론 부록 미루는 습관을 버리는 방법 — 위험을 감수하고 읽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