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 (9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주현성
서명 / 저자사항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 / 주현성 지음
발행사항
부천 :   더좋은책 :   북스토리,   2013  
형태사항
576 p. : 삽화(일부천연색) ; 21 cm
ISBN
9788998015039 9788998015046 (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572-576
000 00727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67214
005 20131015181614
007 ta
008 130925s2013 ggka 000c kor
020 ▼a 9788998015039 ▼g 14100
020 1 ▼a 9788998015046 (세트)
035 ▼a (KERIS)BIB000013277518
040 ▼a 211048 ▼c 211048 ▼d 211010 ▼d 211009
082 0 4 ▼a 001.3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2z15 ▼c 2
100 1 ▼a 주현성 ▼0 AUTH(211009)69148
245 1 0 ▼a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n 2, ▼p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 / ▼d 주현성 지음
260 ▼a 부천 : ▼b 더좋은책 : ▼b 북스토리, ▼c 2013
300 ▼a 576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1 cm
504 ▼a 참고문헌: p. 572-576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117203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410812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11704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117203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513191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117203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410812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11704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117203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01.3 2012z15 2 등록번호 1513191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 시대 인문학을 위한 최소한의 배경 지식에 대해 다룬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에서는 모네 이전의 회화, 문학과 문예사조, 과학의 독립사, 사회이론의 대가들, 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 등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읽는 데 있어 꼭 알아야 할 분야를 엄선하여 전작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과 함께 읽어나가면 완전한 인문 지식들을 완성해나갈 수 있게 구성하였다.

회화는 기존의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이 모네를 시작으로 한 인상주의가 주를 이루던 시대부터 다루었는데,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에서는 모네 이전의 회화를 중심으로 원시미술에서부터 사실주의까지 정리하여 넣었다. 또한 사회이론의 대가들을 다룬 사회학과 철학에서 뛰쳐나온 가장 정확한 지식이라 할 수 있는 과학의 독립사에 대해서도 분야별로 정리해두었다.

특히 문학 독자들과 지성인들의 관심사인 문예사조는 명작들을 중심으로 최대한 역사의 흐름에 따라 그 사조를 빼놓지 않고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에 대해 독자들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해넣었다.

14만 독자의 100여 개의 리뷰가 말해주는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시리즈의 열풍!
★★★★★ 인문학 초보자들에게는 쉽고 친절한 안내서이자 상식으로도 충분히 가치 있는 인문학 입문서. _레드미르
★★★★★ 심리학, 철학, 역사 등 다양한 인문 지식을 모아놓았기에 종합선물 같은 생각이 든다. _5for10
★★★★★ 우리의 갈증난 지적 욕망을 채워줄 수 있는 단 한 권! _redcleo
★★★★★ 어려운 책을 읽다 지친 독자들에게 대중적 소재로 쉽게 풀어낸 교양 입문서. _조선일보
★★★★★ 핵심 주제에 맞춰 인문 교양을 체계적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인문학을 어렵게 생각했던 독자들도 부담 없 이 인문 지식들을 접할 수 있다. _동아일보


인문학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
세상을 움직이는 인문 지식의 흐름을 읽는다!

‘우리 시대가 알아야 할 최소한의 인문 지식’이라는 부제로 인문학의 핵심 지식을 단 한 권의 책으로 꿰뚫을 수 있게 구성한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출간 당시, 어려운 인문학 책을 읽다 지친 독자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지적 욕망에 갈증이 나 있던 독자들에게는 흥미로운 지식의 세계로 안내하고, 인문학 입문자들에게는 가뭄에 단비 같은 친절한 안내서로서 길잡이가 되어주었다. 심리학, 회화, 신화, 역사, 철학 등의 다양한 인문 지식을 쉽게 풀어냈기에 인문학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한 가장 체계적인 입문서로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출간과 동시에 주요 서점 인문 분야 베스트셀러 1위를 석권하였고, 출간 5개월 만에 10만 독자의 선택을 받으며, 입문서를 넘어 ‘대한민국 인문학 교과서’로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지적 호기심이 해소되었을 때 지식은 더 많은 지식을 부르는 법. 인문학을 시작하는 입문 독자들을 위해 준비한 핵심 여섯 분야를 통해서 인문 지식을 살뜰히 쌓은 독자들은 더 확대된 인문 지식의 다른 분야를 요구했다. 사회를 읽는 다양한 스펙트럼이 담긴 사회학이나 지성인의 관심사인 미학에 대한 갈망으로 문의를 해오기도 했다. 또 문학사의 문예사조나 철학에서 과학으로 가는 길목에서 고민하는 독자 들도 있었다. 핵심적인 부분만을 전달하는 데에도 엄청난 지면이 할애되는 만큼, 지면상 많은 분야를 다룰 수 없었던 아쉬움을 독자들의 뜨거운 반응에 힘입어 ‘인문학 배경지식’을 위한 한 권으로 엮었다.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에 이어 이 책 또한 인문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나아가 인문학을 통해 지적 유희를 추구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더없이 필요한 책이 될 것이다.


Perfect! 그 두 번째 인문 지식의 완성!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

우리 시대 인문학을 위한 최소한의 배경지식에 대해 다룬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에서는 모네 이전의 회화, 문학과 문예사조, 과학의 독립사, 사회이론의 대가들, 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 등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읽는 데 있어 꼭 알아야 할 분야를 엄선하여 전작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과 함께 읽어나가면 완전한 인문 지식들을 완성해나갈 수 있게 구성하였다.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이 인문학의 ‘뼈’라면,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는 그 ‘살’의 역할이다. 전편의 역사와 철학이 살아 있는 듯 구체화되어 더 깊이 있는 인문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분야들은 그 하나하나가 의미 있는 역사적 흐름이며, 실제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수시로 반복되는 역사적 전개는 반복의 지겨움이 아니라, 역사의 중요한 변곡점들이 무엇이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 책은 분야를 옮겨갈수록 인문 지식이 더 확장되는 계단식으로 목차를 잡았다. 즉 「모네 이전의 회화」를 읽고 나면 「문학과 문예사조」가 더 쉬워지고, 「과학의 독립사」를 읽고 나서 「사회이론의 대가들」을 읽으면 그 지식이 더 명료하게 머리에 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를 통해 더욱 풍성해진 인문학적 지식과 세계에 대한 안목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모네 이전의 회화 원시 시대 미술에서부터 고전주의 등 다양한 사조를 거쳐, 다시 마네에 이르는 미술사의 긴 여정을 다루었다.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의 「회화」 편과 함께 읽는다면 회화사 전체를 조망하고, 그 흐름의 의미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문학과 문예사조 문학은 세계사와 사상의 흐름 및 논쟁을 가장 구체적이며 생생하게 보여주는 예술 분야로서, 인간과 시대를 반영해왔다. 그리고 시대마다 다르게 접근하고 전개해온 표현 방식과 그 흐름의 유형적 차이를 정리해 보여주는 것이 문예사조다. 이에 문학작품과 시대를 아우르는 문예사조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소개했다.

과학의 독립사 과학의 중요한 전환을 이루는 시점들에 등장하는 이론들은 인문학에서 언제나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밖에 없는 주제들이며, 그것은 곧 철학의 중요한 논쟁거리이다. 그 중요한 전환점들이 새로운 세계관을 만들고 또 변화시켜왔기 때문이다. 이에 과학을 시대에 따라 중요한 전환점을 중심으로 분야별로 정리했다.

사회이론의 대가들 사회과학은 인문학의 실천 영역으로 사회를 떠나서 이야기하는 인문학은 탁상공론이거나 무용지물에 가깝다. 이 장에서는 사회에 대해 좀 더 깊은 관찰과 정교한 논리를 다듬어낸 거장들을 소개했다. 각각의 거장들이 중요한 논쟁들을 중심으로 계승 및 대립하는 과정을 읽을 수 있다.

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 현대에 들어 미학과 예술은 많은 부분 철학에 준하는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대중문화 또한 많은 부분 미학의 연장선에서 다루어지고 있고, 사회학 또한 문화 연구 등 대중문화 연구에 관심을 쏟고 있다. 그런 점에서 사회학적 미학에서 대중문화를 함께 간략하게 다루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주현성(지은이)

인문·문학 출판사 편집장을 거쳐 출판 기획자로 활동, 인문 및 청소년 분야의 다양한 양서들을 기획했다. 우리 시대가 알아야 할 최소한의 인문 지식을 다룬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은 단기간에 30만 부 이상이 판매되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후 다양한 심리학 분파를 활용해 생활 속 심리학 활용법을 다룬 『이게 다 심리학 덕분이야』와 심리학을 활용해 다양한 말투를 소개한 『언제든지 원하는 것을 얻는 4가지 말투』를 집필했다. 그 밖의 저서로는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청소년을 위한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가로 읽기’ 편과 ‘세로 읽기’ 편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원시 미술에서 사실주의까지ㆍ모네 이전의 회화
기원의 미술, 원시 시대와 이집트 미술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미술 | 또 하나의 기원, 이집트 미술 
그리스와 로마의 미술 
이상미를 추구한 그리스 미술 | 실용성과 사실성이 돋보이는 로마 미술 
오직 신을 위한 경배, 중세 미술 
카타콤과 바실리카를 넘어서 | 금과 모자이크로 빛나는 비잔틴 미술 | 중세 최초의 통합 양식, 로마네스크 | 중세 미술의 완성, 고딕 
르네상스 혁명과 마니에리슴 
거장들의 시대 | 북유럽의 르네상스와 거장의 후예들 
바로크의 격렬함, 그리고 렘브란트 
카라바조가 몰고 온 극적인 명암의 세계 | 렘브란트, 그리고 로코코 
신고전주의 대 낭만주의 
혁명의 홍보대사, 신고전주의 | 감춰진 현실의 고발자, 낭만주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망막에 비치는 것만을 그린다, 쿠르베 | 미국의 사실주의, 그리고 마네의 시대 

2장. 명작들이 수놓은 또 하나의 지성사ㆍ문학과 문예사조
서양 문학의 첫 번째 원천, 헬레니즘 
원천 중의 원천, 그리스 문학 |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간 로마의 라틴문학 
헤브라이즘과 기사들의 문학 
기독교 문학과 또 다른 신화들 | 영웅 서사시와 기사문학 | 풍자문학과 새로운 시대의 선구자들 
인문주의를 앞세운 르네상스 문학 
이탈리아로부터 시작된 르네상스 |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가는 르네상스의 열풍 | 스페인의 르네상스와 바로크적 문학 
고전주의 문학에서 계몽주의 문학으로 
그리스를 이상으로 한 고전주의 문학 | 세상을 개혁하려는 계몽주의 문학 | 특수한 독일의 고전주의와 괴테의 시대 
감성과 열정 노래하라, 낭만주의 
독일과 영국의 낭만주의 | 프랑스의 낭만주의 | 미국의 초월주의적 낭만주의 
사실주의 문학, 삶을 생생하게 재현하다 
사실주의의 발원지, 프랑스 | 러시아 문학의 황금시대 | 영국과 미국의 사실주의
새 시대를 준비하는 세기말 사조들, 자연주의와 상징주의 
과학을 앞세워 운명론으로 나아간 자연주의 | 초월적 정신으로 새 시대를 준비하는 상징주의 | 유미주의와 데카당스 
프랑스 아방가르드와 실존주의 
세계대전 후에 전개되는 아방가르드 문학 | 표현주의와 독일 문학의 거장들 | 전후 실존주의 문학과 누보로망 
영미의 모더니즘과 전후 문학 
시의 모더니즘 혁명, 이미지즘과 주지주의 | 모더니즘 소설, 신심리주의 소설과 전후 소설 |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성에 대한 불신, 포스트모더니즘 
중남미의 포스트모더니즘 | 미국 및 그 밖의 지역의 포스트모더니즘

3장. 철학에서 뛰쳐나온 가장 정확한 지식ㆍ과학의 독립사
문명을 일으키는 고대 과학 
소크라테스 이전 시대의 과학 | 고대 과학의 꽃,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자들 
로마와 중세를 지배한 거장들 
플라톤의 수학과 자연철학 |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과 자연철학 | 로마 시대가 낳은 거장들, 프톨레마이오스와 갈레노스 
암흑기 중세와 황금기 이슬람 
기독교 시대를 지배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세계 | 고대 과학의 명맥을 잇는 동유럽의 세계 | 이슬람의 과학 
논쟁에 휘말린 중세 후기와 꿈틀대는 새로운 과학 
아베로이즘과 토마스 아퀴나스 | 과학의 르네상스 
혁명의 시작과 과학적 방법의 정립 
천문학의 면도날, 코페르니쿠스 | 케플러의 타원 궤도 | 우주의 실제 모습을 목격한 갈릴레이 | 근대 역학을 연 갈릴레이 
고전역학의 완성과 뉴턴의 시대 
데카르트와 관성의 법칙 | 뉴턴의 고전역학 완성 | 뉴턴의 또 다른 과학과 방법론 | 뉴턴이 만든 계몽의 시대 
새롭게 거듭나는 생물학과 전기 자기학 
꿈틀거리는 생물학 | 뉴턴 과학의 수제자, 전기 자기학 
진화론 혁명과 현대 생물학의 전개 
진화론을 준비하는 과학적 성과들, 린네와 라이엘 | 과학적 진화론의 탄생 | 다윈이라는 폭풍 | 다윈의 부활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아인슈타인과 상대성이론 | 양자역학과 불확실한 세계 
과학과 철학의 경계 
경험적으로 검증해야 과학이라 할 수 있다 | 반증으로 합리주의 과학을 만들어내는 포퍼 | 과학혁명의 구조 | 다시 쓰이는 과학사와 과학의 정의들

4장. 사회를 과학한다ㆍ사회이론의 대가들
사회학의 아버지, 뒤르켐 
사회의 과학을 꿈꾼 사람들 | 뒤르켐, 마침내 사회학을 만들어내다 | 사회는 통합되어 있다 
마르크스 대 베버 
마르크스의 유물론과 계급의 사회학 | 현대 사회학의 다양한 연구 틀을 제공한 베버 
또 한 명의 거장, 지멜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자들 
베버와 지멜이 열어놓은 사회명목론 | 미드의 사회적 자아 | 시카고학파와 상징적 상호작용론자들 
파슨스와 머튼의 구조기능주의
파슨스의 AGIL 모형 | 머튼의 순기능과 역기능
다렌도르프와 코저의 갈등 이론 
마르크스에서 다렌도르프로 | 지멜과 코저의 갈등 기능론 
교환이론과 민속 방법론 
공리주의와 행동주의의 수혈을 받은 교환이론 | 호만스와 블라우의 교환이론 | 현상학을 적용한 민속 방법론 
자주 거론되는 인류학의 거장들 
타일러와 프레이저 | 모건, 보아스 그리고 뒤르켐 | 각각의 인류학을 대표하는 거장들 
현대 사회이론의 대가들 
칼 포퍼와 밀즈 | 하버마스와 기든스 | 부르디외와 사이드 

5장. 아름다움을 철학한다ㆍ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
미학을 시작하며 
미학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 꿈틀거리는 서양 미학의 기원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 
플라톤의 절대적 초월의 미 |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 | 『시학』에서의 모방과 카타르시스
플로티노스의 도약의 미학 
플로티노스의 미학과 예술론의 혁명 
신과 이성의 결합, 중세 미학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의 미학 | 아퀴나스의 신학적 미학과 철학적 미학 
르네상스 예술과 합리주의 미학
기술적 이론들을 앞세운 천재의 시대, 르네상스 | 데카르트의 ‘말할 수 없는 것’ | 미학을 창시한 바움가르텐 
근대 미학의 흐름을 주도한 경험주의 미학
로크의 경험론과 홉스의 이기적 인간 | 샤프츠베리와 허치슨의 도덕감정론 | 경험주의 미학의 완성자, 흄과 ‘미의 판단’ | 미와 숭고를 구분한 버크 
칸트, 미학을 정초해내다
무관심성과 보편적 판단 | 형식적 합목적성과 형식미학의 정초 | 숭고의 개념과 천재의 미학 
헤겔의 내용미학과 그 붕괴
헤겔의 내용미학과 예술의 종말 | 이성에서 의지로,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미학 
현대 미학의 다양한 전개
형이상학을 이어받은 크로체 | 잉가르덴과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미학 |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 | 예술을 실험한다, 예술심리학 | 예술사의 철학 
마르크스 미학과 대중문화
루카치의 총체성과 리얼리즘 미학 | 아도르노의 비판 이론과 미학 | 벤야민의 아우라와 기술 재생산 시대 
포스트모더니즘 미학과 대중문화
리오타르와 숭고의 미학 |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미학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