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평가

교육평가 (Loan 3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송인섭, 저 정미경, 저 최지은, 저 박소연, 저 이희현, 저 김영아, 저 김누리, 저 김효원, 저 김희정, 저 한윤영, 저 안혜진, 저
Title Statement
교육평가 = Educational evaluation / 송인섭 [외]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양서원,   2013  
Physical Medium
323 p. : 삽화, 도표 ; 25 cm
ISBN
9788999401138
General Note
공저자: 정미경, 최지은, 박소연, 이희현, 김영아, 김누리, 김효원, 김희정, 한윤영, 안혜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982n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66737
005 20130925114031
007 ta
008 130924s2013 ggkad b 001c kor
020 ▼a 9788999401138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26 ▼2 23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3z1
245 0 0 ▼a 교육평가 = ▼x Educational evaluation / ▼d 송인섭 [외] 공저
260 ▼a 파주 : ▼b 양서원, ▼c 2013
300 ▼a 323 p. : ▼b 삽화, 도표 ; ▼c 25 cm
500 ▼a 공저자: 정미경, 최지은, 박소연, 이희현, 김영아, 김누리, 김효원, 김희정, 한윤영, 안혜진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송인섭, ▼e▼0 AUTH(211009)100370
700 1 ▼a 정미경, ▼e▼0 AUTH(211009)53865
700 1 ▼a 최지은, ▼e▼0 AUTH(211009)117769
700 1 ▼a 박소연, ▼e▼0 AUTH(211009)106981
700 1 ▼a 이희현, ▼e▼0 AUTH(211009)137071
700 1 ▼a 김영아, ▼e▼0 AUTH(211009)69338
700 1 ▼a 김누리, ▼e▼0 AUTH(211009)47891
700 1 ▼a 김효원, ▼e
700 1 ▼a 김희정, ▼e▼0 AUTH(211009)84098
700 1 ▼a 한윤영, ▼e▼0 AUTH(211009)123591
700 1 ▼a 안혜진, ▼e▼0 AUTH(211009)5766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3z1 Accession No. 11170289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5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송인섭(지은이)

세계적인 자기주도학습법 권위자인 송인섭 교수는 숙명여대에서 35년 간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동 대학교 명예교수이자 다산전인교육캠퍼스 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교육심리연구회 회장,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 한국영재연구원 원장과 AERA(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의 논문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70여 권의 교육 저서를 집필했습니다. 송인섭 교수는 주입식 교육이 일반적이었던 한국 교육에 자기주도학습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도입해 확산하였으며, EBS <교육실험 프로젝트 &#8211;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 만들기>, <공부의 왕도>, <교육 마당> 등에 출연하여 자기주도학습의 효과를 입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내용을 담은 《공부는 전략이다》는 부모 및 교육 관계자들에게 수십만 부 이상 판매되며, 교육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왔습니다. 이 후로도 20여 년간 《공부는 실천이다》, 《와일드》, 《혼공의 힘》 등 교육 분야의 도서를 출간하고 자기주도학습 강연을 하며 한국 교육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송인섭 교수는 다양한 학습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수십만 명이 넘는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만나 자기주도적 공부 전략을 소개하고 상담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아이가 공부에 실패를 겪고 상처 받는다는 공통점을 발견하였습니다. 아이들은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만 찾으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임에도 해결 방법을 몰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을 위해 송인섭 교수는 수십만 건의 실제 학습 문제 상황을 수집하고 연구하였습니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을 바탕으로 각자의 상황에 맞춰 공부하는 힘을 기르는 새로운 학습 프로그램인 《E-CLIP》을 개발하였고, 이 프로그램을 여러 심리 센터에 적용해 높은 성과를 얻고 있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2
Chapter 1 교육평가의 이해 = 13
 1. 교육평가의 개념 = 15
 2. 교육평가의 이론적 정의 = 18
  1) Tyler의 목표달성 확인 모형 = 19
  2) Stufflebeam의 의사결정 지원 모형 = 23
  3) Scriven의 가치판단 모형 = 25
  4) Parlett와 Hamilton의 조명적 평가 모형 = 28
 3. 검사, 측정, 평가 = 30
  1) 검사 = 31
  2) 측정 = 33
  3) 평가 = 37
  4) 검사, 측정, 평가의 관계 = 38
Chapter 2 교육평가의 유형 = 51
 1.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 = 53
  1) 규준지향평가 = 53
  2) 준거지향평가 = 58
  3)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의 비교 = 63
 2.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합평가 = 65
  1) 진단평가 = 65
  2) 형성평가 = 68
  3) 총합평가 = 70
  4)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합평가의 비교 = 72
 3. 능력기준평가와 성장기준평가 = 75
  1) 능력기준평가 = 75
  2) 성장기준평가 = 76
  3) 능력기준평가와 성장지향평가의 비교 = 78
Chapter 3 인지적 행동 특성의 평가 = 85
 1. 교육목표의 개념 = 87
  1) 교육목표의 개념 = 87
  2) 교육목표의 확인과 설정 = 89
  3) 교육목표의 진술방식 = 90
  4) 교육목표 세분화에 대한 비판과 논쟁 = 93
 2. 인지적 교육목표 = 95
  1)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 = 95
  2) 목표의 위계구조 = 98
  3) 개정된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 = 100
 3. 인지적 학습의 평가 = 103
  1) 지식 = 103
  2) 이해력 = 105
  3) 적용력 = 106
  4) 분석력 = 108
  5) 종합력 = 109
  6) 평가력 = 110
Chapter 4 정의적 행동 특성의 평가 = 117
 1. 정의적 행동 특성의 개념 = 119
  1) 정의적 행동 특성의 정의 = 119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중요성 및 필요성 = 119
  3) 정의적 행동 특성의 유형 = 122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 = 126
  1) 정의적 행동 특성 측정 시 고려사항 = 126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 방법 = 127
Chapter 5 수행평가 = 145
 1. 수행평가의 개념 = 147
  1) 정의 = 147
  2) 특징 = 148
  3) 수행평가의 장점과 단점 = 149
 2. 수행평가의 방법 = 150
  1) 특정 산출물을 요구하는 수행평가 = 150
  2) 특정 활동을 요구하는 수행평가 = 151
  3) 과정을 요구하는 수행평가 = 152
 3. 수행평가의 설계 및 절차 = 153
  1) 평가목적의 확인 = 153
  2) 평가내용의 결정 = 154
  3) 평가방법의 설계 = 154
  4) 채점계획의 수립 = 155
 4. 질 높은 수행평가의 기준 = 156
Chapter 6 신뢰도 = 163
 1. 신뢰도의 개념 = 165
 2. 신뢰도의 종류 = 168
  1) 검사-재검사 신뢰도 = 168
  2) 동형검사 신뢰도 = 170
  3) 내적 일관성 신뢰도 = 172
  4) 채점자 신뢰도 = 176
 3. 신뢰도 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78
  1) 문항 수 = 178
  2) 문항의 특성 = 180
  3) 개인차 = 180
  4) 신뢰도 계수의 추정방법 = 181
 4.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182
Chapter 7 타당도 = 187
 1. 내용타당도 = 190
 2. 구인타당도 = 191
 3. 준거타당도 = 193
  1) 예언타당도 = 194
  2) 공인타당도 = 195
 4. 타당도와 신뢰도와의 관계 = 196
Chapter 8 표준화 검사 = 203
 1. 표준화 검사란 = 205
  1) 규준 = 206
  2) 표준점수 = 208
 2. 표준화 검사 개발절차 = 209
  1) 검사 개발의 계획 = 211
  2) 문항 개발 및 검토 = 212
  3) 예비검사 실시 및 문항 분석 = 213
  4) 표준화 검사 실시 및 문항 분석 = 213
  5) 규준표 및 검사 매뉴얼 작성 = 214
 3. 표준화 검사 활용상 유의사항 = 224
  1) 좋은 검사의 선택기준 = 224
  2) 검사 사용상의 윤리 = 225
Chapter 9 문항제작 = 235
 1. 문항제작의 기초 = 237
 2. 문항 유형 = 238
  1) 선택형 = 239
  2) 서답형 = 248
 3. 문항제작 절차 = 255
  1) 문항제작 절차 = 255
  2) 문항카드의 작성과 활용 = 257
  3) 이원분류표 작성 = 258
Chapter 10 문항분석 = 265
 1. 문항분석의 필요성 및 문항양호도의 준거 = 267
  1) 문항분석의 필요성 = 267
  2) 문항양호도의 준거 = 268
 2. 고전검사이론 = 272
 3.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274
  1) 문항난이도 = 274
  2) 문항난이도의 해석 = 277
  3) 문항변별도 = 278
  4) 문항변별도 해석과 이용 = 281
  5) 오답지 매력도 = 282
  6) 고전검사이론의 장단점 = 283
 4. 문항반응이론 = 284
  1) 문항특성곡선 = 286
  2)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난이도 분석 = 288
  3)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변별도 분석 = 289
  4) 문항반응이론의 장점 = 291
Chapter 11 교육평가의제 문제와 전망 = 297
 1. 교육평가의 문제 = 299
  1) 평가방법의 한계점 = 299
  2) 평가내용의 한계 = 300
  3) 평가결과의 활용과 공개 = 305
  4) 평가전문가 부족 = 306
  5) 평가의 발전을 위한 연구활동의 미흡 = 307
 2. 교육평가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 = 308
  1) 고등 정신기능으로의 평가방법의 전환 = 308
  2) 과정중심으로의 전환 = 309
  3) 평가결과는 보관보다는 교수-학습에의 활용 = 310
  4) 교육관과 평가 = 311
  5) 평가의 현장에의 적용 = 312
  6) 평가의 내일 = 314
찾아보기 = 31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