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2
Chapter 1 교육평가의 이해 = 13
1. 교육평가의 개념 = 15
2. 교육평가의 이론적 정의 = 18
1) Tyler의 목표달성 확인 모형 = 19
2) Stufflebeam의 의사결정 지원 모형 = 23
3) Scriven의 가치판단 모형 = 25
4) Parlett와 Hamilton의 조명적 평가 모형 = 28
3. 검사, 측정, 평가 = 30
1) 검사 = 31
2) 측정 = 33
3) 평가 = 37
4) 검사, 측정, 평가의 관계 = 38
Chapter 2 교육평가의 유형 = 51
1.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 = 53
1) 규준지향평가 = 53
2) 준거지향평가 = 58
3)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의 비교 = 63
2.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합평가 = 65
1) 진단평가 = 65
2) 형성평가 = 68
3) 총합평가 = 70
4)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합평가의 비교 = 72
3. 능력기준평가와 성장기준평가 = 75
1) 능력기준평가 = 75
2) 성장기준평가 = 76
3) 능력기준평가와 성장지향평가의 비교 = 78
Chapter 3 인지적 행동 특성의 평가 = 85
1. 교육목표의 개념 = 87
1) 교육목표의 개념 = 87
2) 교육목표의 확인과 설정 = 89
3) 교육목표의 진술방식 = 90
4) 교육목표 세분화에 대한 비판과 논쟁 = 93
2. 인지적 교육목표 = 95
1)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 = 95
2) 목표의 위계구조 = 98
3) 개정된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 = 100
3. 인지적 학습의 평가 = 103
1) 지식 = 103
2) 이해력 = 105
3) 적용력 = 106
4) 분석력 = 108
5) 종합력 = 109
6) 평가력 = 110
Chapter 4 정의적 행동 특성의 평가 = 117
1. 정의적 행동 특성의 개념 = 119
1) 정의적 행동 특성의 정의 = 119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중요성 및 필요성 = 119
3) 정의적 행동 특성의 유형 = 122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 = 126
1) 정의적 행동 특성 측정 시 고려사항 = 126
2)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 방법 = 127
Chapter 5 수행평가 = 145
1. 수행평가의 개념 = 147
1) 정의 = 147
2) 특징 = 148
3) 수행평가의 장점과 단점 = 149
2. 수행평가의 방법 = 150
1) 특정 산출물을 요구하는 수행평가 = 150
2) 특정 활동을 요구하는 수행평가 = 151
3) 과정을 요구하는 수행평가 = 152
3. 수행평가의 설계 및 절차 = 153
1) 평가목적의 확인 = 153
2) 평가내용의 결정 = 154
3) 평가방법의 설계 = 154
4) 채점계획의 수립 = 155
4. 질 높은 수행평가의 기준 = 156
Chapter 6 신뢰도 = 163
1. 신뢰도의 개념 = 165
2. 신뢰도의 종류 = 168
1) 검사-재검사 신뢰도 = 168
2) 동형검사 신뢰도 = 170
3) 내적 일관성 신뢰도 = 172
4) 채점자 신뢰도 = 176
3. 신뢰도 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78
1) 문항 수 = 178
2) 문항의 특성 = 180
3) 개인차 = 180
4) 신뢰도 계수의 추정방법 = 181
4.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182
Chapter 7 타당도 = 187
1. 내용타당도 = 190
2. 구인타당도 = 191
3. 준거타당도 = 193
1) 예언타당도 = 194
2) 공인타당도 = 195
4. 타당도와 신뢰도와의 관계 = 196
Chapter 8 표준화 검사 = 203
1. 표준화 검사란 = 205
1) 규준 = 206
2) 표준점수 = 208
2. 표준화 검사 개발절차 = 209
1) 검사 개발의 계획 = 211
2) 문항 개발 및 검토 = 212
3) 예비검사 실시 및 문항 분석 = 213
4) 표준화 검사 실시 및 문항 분석 = 213
5) 규준표 및 검사 매뉴얼 작성 = 214
3. 표준화 검사 활용상 유의사항 = 224
1) 좋은 검사의 선택기준 = 224
2) 검사 사용상의 윤리 = 225
Chapter 9 문항제작 = 235
1. 문항제작의 기초 = 237
2. 문항 유형 = 238
1) 선택형 = 239
2) 서답형 = 248
3. 문항제작 절차 = 255
1) 문항제작 절차 = 255
2) 문항카드의 작성과 활용 = 257
3) 이원분류표 작성 = 258
Chapter 10 문항분석 = 265
1. 문항분석의 필요성 및 문항양호도의 준거 = 267
1) 문항분석의 필요성 = 267
2) 문항양호도의 준거 = 268
2. 고전검사이론 = 272
3.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274
1) 문항난이도 = 274
2) 문항난이도의 해석 = 277
3) 문항변별도 = 278
4) 문항변별도 해석과 이용 = 281
5) 오답지 매력도 = 282
6) 고전검사이론의 장단점 = 283
4. 문항반응이론 = 284
1) 문항특성곡선 = 286
2)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난이도 분석 = 288
3)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변별도 분석 = 289
4) 문항반응이론의 장점 = 291
Chapter 11 교육평가의제 문제와 전망 = 297
1. 교육평가의 문제 = 299
1) 평가방법의 한계점 = 299
2) 평가내용의 한계 = 300
3) 평가결과의 활용과 공개 = 305
4) 평가전문가 부족 = 306
5) 평가의 발전을 위한 연구활동의 미흡 = 307
2. 교육평가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 = 308
1) 고등 정신기능으로의 평가방법의 전환 = 308
2) 과정중심으로의 전환 = 309
3) 평가결과는 보관보다는 교수-학습에의 활용 = 310
4) 교육관과 평가 = 311
5) 평가의 현장에의 적용 = 312
6) 평가의 내일 = 314
찾아보기 =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