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언어평가 : 사회적 단면 (Loan 2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McNamara, T. F. (Timothy Francis), 1949- Roever, Carsten, 저 신동일, 역 임관혁, 역 박윤규, 역 박진아, 역 김나희, 역 김종국, 역 장소영, 역
Title Statement
언어평가 : 사회적 단면 / Tim McNamara, Carsten Roever 지음; 신동일 [외]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3  
Physical Medium
xv, 331 p. ; 23 cm
Varied Title
Language testing : the social dimension
ISBN
9788968170591
General Note
옮긴이: 임관혁, 박윤규, 박진아, 김나희, 김종국, 장소영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89-319)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anguage and languages -- Ability testing
000 01125namcc2200361 c 4500
001 000045766337
005 20130924155302
007 ta
008 130923s2013 ulk b 001c kor
020 ▼a 978896817059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8.0076 ▼2 23
085 ▼a 418.0076 ▼2 DDCK
090 ▼a 418.0076 ▼b 2013z1
100 1 ▼a McNamara, T. F. ▼q (Timothy Francis), ▼d 1949-
245 1 0 ▼a 언어평가 : ▼b 사회적 단면 / ▼d Tim McNamara, ▼e Carsten Roever 지음; ▼e 신동일 [외] 옮김
246 1 9 ▼a Language testing : ▼b the social dimension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300 ▼a xv, 331 p. ; ▼c 23 cm
500 ▼a 옮긴이: 임관혁, 박윤규, 박진아, 김나희, 김종국, 장소영
504 ▼a 참고문헌(p. 289-319)과 색인수록
650 ▼a Language and languages ▼x Ability testing
700 1 ▼a Roever, Carsten, ▼e▼0 AUTH(211009)20478
700 1 ▼a 신동일, ▼e▼0 AUTH(211009)26750
700 1 ▼a 임관혁, ▼e
700 1 ▼a 박윤규, ▼e
700 1 ▼a 박진아, ▼e
700 1 ▼a 김나희, ▼e▼0 AUTH(211009)1175
700 1 ▼a 김종국, ▼e▼0 AUTH(211009)82609
700 1 ▼a 장소영,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076 2013z1 Accession No. 1117027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No,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No,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편집자 서문 = ⅴ
감사의 글 = ⅸ
차례 = xi
01 도입
 1.1 이 책의 구성 = 6
 1.2 결론 = 11
02 타당도와 언어평가의 사회적 단면
 2.1 Cronbach = 13
 2.2 Messick = 16
  2.2.1 Messick의 구인 타당도 = 19
  2.2.2 구인에 대한 정의와 타당화 : Mislevy = 23
 2.3 Kane의 시험 점수 타당화에 대한 접근법 = 29
 2.4 언어평가 타당도에 나타난 사회적 단면 = 36
 2.5 폭넓은 사회적 맥락 : 타당도의 한계 = 44
 2.6 결론 = 47
03 능숙도의 사회적 단면 : 어느 정도까지 평가할 수 있을까?
 3.1 면대면 상호작용 평가하기 = 50
 3.2 제2언어 화용능력 평가하기 = 61
  3.2.1 제2언어의 화용론 = 62
  3.2.2 제2언어 화용능력 시험 = 64
  3.2.3 사회화용능력평가하기 = 64
  3.2.4 함축의미 평가하기 = 66
  3.2.5 화용언어적 능력 평가하기 = 68
  3.2.6 중국인 EFL 학습자의 사과 및 요청 화행 = 70
 3.3 화용능력 평가의 과제 :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면서도 실용적인 시험 = 73
 3.4 DCT를 활용한 화용능력평가 : 목적에 따른 시험 사례연구 = 75
 3.5 DCT 시험의 방법론적 문제 = 77
 3.6 사회화용능력 평가하기 : 역할극과 적절성 판단 = 82
 3.7 외국인에 대한 특별 규범 = 84
 3.8 화용적 적성평가 = 87
 3.9 나아갈 길 = 89
 3.10 결론 = 90
04 공정성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접근 : 편파성과 차별기능 문항 연구
 4.1 편파성과 차별기능 문항 : 정의 및 역사 = 94
  4.1.1 편파성 = 94
  4.1.2 차별기능 문항 = 95
  4.1.3 차별기능 문항의 역사 = 98
 4.2 차별기능 문항의 발생과 원인 = 105
 4.3 차별기능 문항을 찾아낼 수 있는 연구방법 = 108
 4.4 차별기능 문항에 관한 초기 방법 : 집단에 따른 문항 난이도의 차이 = 109
 4.5 분석표 방법과 다른 비모수적 접근 = 115
  4.5.1 문항 난이도와 대응집단 : 표준화 절차 = 118
  4.5.2 언어시험에서 분할표 방법 = 118
 4.6 DIF와 문항반응이론 = 122
  4.6.1 문항반응 모형에서 차별기능 문항 계산하기 = 126
  4.6.2 문항반응이론과 차별기능 문항에 관한 언어평가 연구 = 130
 4.7 차별문항 기술 비교 = 133
 4.8 다른 방법들 = 136
  4.8.1 로지스틱 회귀분석 = 136
  4.8.2 언어평가 DIF 연구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 = 137
  4.8.3 일반화가능도 이론 = 138
  4.8.4 다면적 Rasch 측정 = 140
 4.9 차별기능 문항 분석의 문제점 = 144
 4.10 차별기능 문항과 편파성 : 가치판단의 개입 = 146
 4.11 결론 = 150
05 공정성 검토와 윤리규범
 5.1 차별기능 문항 사전검출 : 공정성 검토 = 153
  5.1.1 Cambridge 대학교 ESOL 시험 = 154
  5.1.2 ETS = 155
 5.2 전문가 의무로써의 공정성 : 윤리 및 실행규범 = 162
 5.3 언어평가분야의 윤리규범 및 실행규범 = 166
  5.3.1 ILTA 윤리규범 및 실행규범 = 167
  5.3.2 ALTE 실행규범 및 시험품질관리 점검표 = 168
 5.4 윤리규범과 관련된 분야 = 169
 5.5 앞으로의 방향 = 172
 5.6 요약 = 174
06 언어시험과 사회적 신원
 6.1 쉬볼렛 시험 = 176
 6.2 언어시험, 신원, 권리의 부인 = 189
 6.3 언어시험과 망명 요청 = 196
 6.4 언어시험과 이민 = 205
 6.5 언어시험과 시민권 = 211
 6.6 캐나다 : 언어시험과 공용어 정책 = 215
 6.7 결론 : 언어시험과 종속적 주체감 = 230
07 학교의 언어평가 : 사회적 가치와 정책
 7.1 시험 구인의 가치와 정책적 단면 = 237
  7.1.1 일본 고교 입학을 위한 영어시험 = 237
  7.1.2 유럽공통언어참조기준 = 243
 7.2 기준을 통한 정책 이행 = 245
 7.3 기준 : 형식과 구조 = 247
 7.4 기준 : 개념적 구성(구인) = 249
  7.4.1 구인에 대한 상반된 관점 : 문해력 = 251
  7.4.2 제2언어 학습자를 고려한 정책 기반 문해력 평가 = 254
 7.5 기준 : 기술 과정 = 256
 7.6 기준 : 근거자료의 수집 - 교사 평가 및 정규시험 = 258
  7.6.1 교사 평가 = 258
  7.6.2 정규시험 = 259
  7.6.3 정책에 대한 평가 및 정규시험 = 262
  7.6.4 호주의 아시아언어 장려정책에 대한 정책 개선 방안연구 = 262
  7.6.5 정책 기반 국제학업성취도의 비교평가 예 : PISA 시험 = 265
 7.7 기준과 영향 : 낙오아동방지법과 ESL 학습자 = 267
  7.7.1 낙오아동방지법 = 268
  7.7.2 낙오아동방지법의 영향 : 의도한 결과 및 의도하지 않은 결과 = 272
  7.7.3 일반 학생과 동일하게 취급받는 ESL 학습자 = 273
 7.8 결론 = 277
08 이제 어디로 가야 하는가? 연구와 인력양성을 위한 시사점
 8.1 연구의 방향 = 282 
 8.2 인력 양성을 위한 시사점 = 287
참고 문헌 = 289
찾아보기(색인) = 321
인명(색인) = 327
옮긴이의 말 = 32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