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Loan 3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Nation, I. S. P. 김창구, 역
Title Statement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 I.S.P Nation 지음 ; 김창구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소통,   2012  
Physical Medium
450 p. : 삽화 ; 25 cm
Varied Title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ISBN
978899345456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11-437)과 색인, 부록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Vocabulary -- Study and teaching Language and languages -- Study and teaching
000 01008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766261
005 20130923160544
007 ta
008 120425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93454567 ▼g 93700
035 ▼a (KERIS)BIB000012738182
040 ▼a 223009 ▼c 223009 ▼d 211009
041 1 ▼a kor ▼a eng ▼h eng
082 0 0 ▼a 418.0071 ▼2 23
085 ▼a 418.0071 ▼2 DDCK
090 ▼a 418.0071 ▼b 2012z2
100 1 ▼a Nation, I. S. P. ▼0 AUTH(211009)135173
245 1 0 ▼a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 ▼d I.S.P Nation 지음 ; ▼e 김창구 옮김
246 1 9 ▼a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260 ▼a 서울 : ▼b 소통, ▼c 2012
300 ▼a 450 p. : ▼b 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11-437)과 색인, 부록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0 ▼a Vocabulary ▼x Study and teaching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x Study and teaching
700 1 ▼a 김창구, ▼e▼0 AUTH(211009)78829
900 1 0 ▼a Nation, Paul,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8.0071 2012z2 Accession No. 1117025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외국어 어휘교육.습득에 관한 백과사전. 이 책을 통해 저자는 단어를 '안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에서부터, 빈도, 교수방법, 습득과정, 학습전략, 평가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외국어 어휘교육론 분야에서 다루어져 온 방대한 연구 결과들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어휘교육에 고심하고 있는 현장의 외국어 교사들이나, 논문의 주제를 찾고 있는 대학원생들이 아이디어를 얻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책이다.

이 책은 한 마디로 <외국어 어휘교육 ? 습득에 관한 백과사전>이라는 말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편집자 서문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을 통해 저자는 단어를 '안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에서부터, 빈도, 교수방법, 습득과정, 학습전략, 평가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외국어 어휘교육론 분야에서 다루어져 온 방대한 연구 결과들을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어휘교육에 고심하고 있는 현장의 외국어 교사들이나, 논문의 주제를 찾고 있는 대학원생들이 아이디어를 얻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책이다.
Nation의 저서인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는 현재 문법학자, 언어습득 전문가, 언어교사 및 언어학습자가 똑같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어휘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 매력적이고 단도직입적인 글쓰기를 통해, 저자는 단어를 '안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 단어와 연어에 대한 최선의 교수방법, L2 듣기/말하기/쓰기와 어휘, 특수화된 어휘, 어휘 학습전략과 문맥을 통한 미지어 의미 추론 전략, 청크화와 연어, 어휘 테스트, 어휘발달용 교육과정 설계 등, 지금까지 외국어 어휘교육/습득 분야의 연구 성과를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여기에 인용된 논문들은 광범위하고 비교적 최신의 것이라, 석사논문이나 박사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에게 가치있는 정보원이 될 것이다. 본서는 어휘의 교육과 학습 분야, 그리고 Cambridge 응용언어학 시리즈에서 환영 받는 책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I.S.P Nation(지은이)

뉴질랜드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언어학 및 응용언어학부 교수

김창구(옮긴이)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국어학) 박사. 부경대, 신라대, 일본 마츠야마대학을 거쳐, 현재 후지여자대학 문학부 강사로 재직. 역서로, 언어 테스트의 구성과 평가(2013, 글로벌콘텐츠), 언어교육응용언어학 사전(2016, 글로벌콘텐츠),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2018, 소통)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말 = 3
시리즈 편집자 서문 = 4
들어가기 = 11
학습목표 = 11
주제 = 13
본서의 독자 = 14
1. 어휘학습의 목표 = 15
 학습자는 어느 정도의 어휘를 알아야 하는가? = 15
 한 언어에는 어느 정도의 단어가 있는가? = 15
 모어화자는 어느 정도의 단어를 알고 있는가? = 17
 외국어(제2언어 등)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어휘가 필요한가? = 18
 고빈도어 = 23
 특수목적용 어휘 = 25
 저빈도어 = 27
 어휘지식 테스트하기 = 29
2. 단어를 안다는 것 = 31
 학습부담 = 31
 수용/생산의 구분 = 32
 수용/생산 구분의 범위 = 34
 수용어휘와 생산어휘에 관한 실험 연구 = 37
 단어를 안다는 것에 관한 측면들 = 41
 구어형식 = 46
 문어형식 = 50
 단어구성소 = 52
 형식과 의미를 연결하기 = 53
 개념과 지시대상 = 54
 연상 = 58
 문법적 기능 = 61
 연어 = 62
 사용제약 = 63
 항목지식과 체계지식 = 64
3. 어휘를 가르치고 설명하기 = 65
 교수활동과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 65
 창조적 혹은 생성적 사용 = 74
 교실에서 사용하는 어휘 = 80
 반복과 학습 = 80
 의미전달하기 = 84
 학습자가 정의를 통해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을 돕기 = 92
 단어에 시간 할애하기 = 95
 풍부한 교수 = 97
 풍부한 교수에 관한 반론 = 97
 풍부한 지도 제공하기 = 99
 구어 형식 = 101
 문어 형식 = 101
 단어구성소 = 102
 형식-의미 연결을 강화하기 = 103
 개념과 지시대상 = 104
 연상관계 = 106
 문법 = 107
 연어 = 108
 사용제약 = 108
 어휘교육 절차 = 109
 컴퓨터 기반 어휘학습 = 110
 CAVL에 관한 연구 = 114
4. 어휘와 듣기 및 말하기 = 116
 듣기에는 어떤 어휘지식이 필요한가? = 116
 듣기에 도움이 되는 어휘 제공하기 = 118
 스토리 듣기를 통해 어휘학습하기 = 119
 협상을 통한 어휘학습 = 123
 말하기 어휘 = 126
 구어 어휘의 유창성 발달 = 127
 어휘지식 확장을 위해 교사 입력 활용하기 = 129
 라벨이 붙은 도식 이용하기 = 131
 어휘에 초점을 둔 협동 과제 이용하기 = 133
 교사는 우연적 어휘학습을 돕는 활동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 = 134
 활동을 설계하고 수정하기 = 139
5. 어휘와 읽기 및 쓰기 = 143
 어휘사이즈와 성공적 읽기 = 143
 읽기를 통해 어휘학습하기 = 147
 어휘와 확장형 읽기 = 149
 어린 모어화자용으로 작성된 텍스트를 이용한 비모어화자의 확장형 읽기 = 149
 등급별 읽기교재를 이용한 확장형 읽기 = 151
 단순화되지 않은 텍스트를 이용한 확장형 읽기 = 152
 확장형 읽기와 어휘성장 = 153
 확장형 읽기와 직접교수 = 154
 사전교육 = 154
 읽기 텍스트를 이용한 어휘연습 = 156
 어휘 연습 분석 = 157
 등급별 읽기교재란 무엇인가? = 160
 어휘발달을 위한 단순화한 읽기 체계 설계하고 사용하기 = 161
 단순화하는 방법 = 167
 단순화의 대안 = 169
 어휘주석 달기 = 170
 어휘와 쓰기의 질 = 173
 쓰기에서 어휘사이즈와 어휘성장 측도 = 174
 어휘를 생산적 사용으로 유도하기 = 176
 읽기와 문장 완성형 = 178
 작문에 사용된 어휘를 피드백하기 = 180
6. 어휘의 전문화된 사용 = 182
 학문적 어휘 = 182
 학문적 어휘의 중요성 = 184
 학문적 어휘목록 작성하기 = 186
 학문적 어휘의 도입을 위계화하기 = 188
 학문적 어휘의 성질과 역할 = 189
 학문적 어휘 테스트하기 = 191
 학문적 어휘 학습하기 = 191
 전문용어 = 192
 기타 어휘와 전문용어 구별하기 = 193
 전문용어 목록 작성하기 = 197
 전문용어 학습 = 198
 담화 속의 어휘 = 200
 어휘와 텍스트의 정보 내용 = 201
 어휘, 그리고 저자/화자와 독자/청자 간의 관계 = 203
 어휘와 텍스트의 조직 = 204
 담화-조직 어휘 = 205
 담화 속의 단어들 = 208
7. 어휘 학습전략과 문맥추론 = 211
 어휘 학습전략의 분류 = 211
 어휘학습 계획하기 = 212
 정보원: 단어에 관한 정보 찾기 = 213
 프로세스: 어휘지식 구축하기 = 215
 전략의 선택과 사용 훈련하기 = 216
 학습자의 전략 사용 = 218
 전략들을 통합하는 절차 = 224
 문맥을 통한 어휘학습 = 226
 의도적 학습과 우연적 학습 = 226
 몇 %의 미지어가 문맥으로부터 추측될 수 있을까? = 227
 어느 정도의 어휘가 문맥으로부터 학습되는가? = 230
 문맥에서 무엇이 학습될 수 있는가? = 234
 문맥은 어떤 단서를 제공하며 그 단서는 얼마나 효과적인가? = 236
 부정확한 추측의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 240
 학습자들은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추측하는가? = 241
 교사는 어떤 방법으로 학습자의 문맥학습을 도울 수 있는가? = 243
 학습자가 문맥추론을 하도록 어떻게 훈련시킬 수 있는가? = 244
 문맥과 주의환기 활동을 통한 학습 = 245
 어휘주석과 사전 사용이 어휘학습에 도움이 되는가? = 246
 추측을 연습시키거나 테스트하기 위한 형식 = 247
 문맥추론 전략의 단계 = 250
 문맥추론 전략 훈련시키기 = 254
8. 단어학습전략 = 256
 단어구성소 = 256
 단어구성소를 학습할 가치가 있는가? = 257
 영어 어원 연구 = 257
 접사가 붙은 단어의 비율 연구 = 258
 접사 빈도 연구 = 259
 학습자는 단어들이 구성소로 만들어져 있다고 생각하는가? = 261
 어간 = 264
 단어구성소 사용에 요구되는 지식 = 266
 단어 형성 스킬 모니터하고 평가하기 = 267
 단어구성소 전략 = 270
 사전 사용하기 = 274
 학습자에게 사전 사용을 훈련시킬 필요가 있는가? = 274
 사전 사용을 위해서는 어떤 스킬이 필요한가? = 277
 어떤 사전이 가장 좋은 사전인가? = 281
 사전 평가하기 = 282
 사전 사용과 학습 = 287
 단어카드 학습 = 287
 직접적 어휘학습에 대한 비판 = 288
 탈문맥적 학습과 기억 = 288
 탈문맥적 학습과 사용 = 290
 탈문맥적 학습의 기여 = 292
 단어카드 학습의 가치 = 292
 단어카드 전략 = 294
 카드 이용하기 = 296
 핵심어 기법 = 301
 단어카드 사용을 학습자에게 훈련시키기 = 305
9. 청크화와 연어 = 308
 청크화 = 310
 청크화의 장점과 단점 = 311
 언어지식은 연어적 지식이다 = 312
 유창하고 적절한 언어사용을 위해서는 연어적 지식이 필요하다 = 313
 일부 단어는 한정된 연어 집합에서만 출현한다 = 314
 연어 분류하기 = 317
 연어에 관한 증거 = 322
 연어와 교수 = 324
 청크화 촉진하기 = 325
 유창성 발달을 통한 청크화 = 325
 언어 초점 주의를 통한 청크화 = 328
 미분석된 청크 암기하기 = 331
10. 어휘지식과 사용의 평가 = 332
 어떤 어휘 테스트가 가장 좋은가? = 332
 학습자에게 단어를 알고 있는가를 묻는 것만으로 충분한가? = 335
 선택항이 제공되어야 하는가? = 336
 역어를 사용해야 하는가? = 338
 단어는 문맥에서 테스트해야 하는가? = 339
 단어에 대한 지식의 깊이는 어떻게 테스트하는가? = 342
 학습자가 잘 알지 못하는 단어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 346
 학습자가 실제로 단어를 어느 정도 잘 사용하고 있는가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 349
 총 어휘사이즈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 350
 학습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곳이 어딘지를 어떻게 테스트할 수 있는가? = 359
 코스에서 소수의 단어들이 학습되었는지 어떻게 테스트할 수 있는가? = 361
 코스 상의 어휘 전체가 학습되었는가를 어떻게 테스트할 수 있는가? = 362
 학습자가 주요 어휘 학습전략을 얼마나 잘 통제하고 있는가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 362
11. 외국어 코스의 어휘구성요소 설계 = 365
 목표 = 365
 요구분석 = 366
 환경분석 = 368
 어휘교수 원리 = 369
 내용과 위계화 = 370
 형식과 제시 = 372
 모니터링과 평가 = 374
 평가 = 376
 자율성과 어휘학습 = 377
Appendixes = 389
참고문헌 = 411
주제어 색인 = 438
저자 색인 = 44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