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48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766204 | |
005 | 20130924140904 | |
007 | ta | |
008 | 130710s201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76444486 ▼g 93350 | |
020 | 1 | ▼a 9788976444479 (전2권) |
035 | ▼a (KERIS)REW000000184531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338.4791 ▼2 23 |
085 | ▼a 338.4791 ▼2 DDCK | |
090 | ▼a 338.4791 ▼b 2013z2 | |
100 | 1 | ▼a 송민혜 ▼g 宋旻惠 ▼0 AUTH(211009)72868 |
245 | 1 0 | ▼a 다문화 시대의 지역발전과 장소 마케팅 / ▼d 송민혜, ▼e 양승범, ▼e 권용수 |
260 |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3 | |
300 | ▼a 125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500 | ▼a 부록: 안산시 인구 현황 | |
504 | ▼a 참고문헌(p. 117-120)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0년도 정부의 재원(교육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
700 | 1 | ▼a 양승범 ▼g 梁承汎, ▼e 저 ▼0 AUTH(211009)97700 |
700 | 1 | ▼a 권용수 ▼g 權龍洙, ▼e 저 ▼0 AUTH(211009)46230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4791 2013z2 | 등록번호 1117026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양승범(지은이)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현재) 한양대학교 행정학과(행정학 학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행정학 박사)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조교수 역임 [주요 연구]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Among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Factors Leading to Corrections Officers’ Job Satisfaction, Understanding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Nonprofit Sector in Korea,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d Work Team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등 [주요 저서] 공공조직론, 리더와 리더십, 행정통제론 외 [주요 경력] 한국행정학회 이사, 한국정책학회 이사, 한국지방자치학회 이사
송민혜(지은이)
건국대학교 행정문제연구소 전임연구원(현재) 건국대학교(행정학 학사?석사) 건국대학교(행정학 박사 수료) [주요 연구] 한국 지방공무원의 감정노동(emotional labor)에 관한 연구,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국민통합을 위한 장소 마케팅: 안산시 다문화마을특구의 사례 등
권용수(지은이)
미국State University of New York(Albany) 행정학 박사 입법고시, 행정고시 출제위원 및 면접시험위원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 건국대학교 정치대학장, 행정대학원장 역임 현, 건국대학교 융합인재학과 교수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17 제3절 연구 방법 = 18 제2장 장소 마케팅과 지역 발전 = 20 제1절 공공 부문 마케팅과 장소 마케팅 = 20 1. 공공 부문 마케팅의 등장과 유형 = 20 2. 공공 부문 마케팅의 특징 = 25 3. 지역 발전을 위한 공공 부문 마케팅 : 장소 마케팅 = 26 제2절 장소 마케팅의 유형 및 전략 = 29 제3절 다문화 시대와 장소 마케팅 = 33 제4절 장소 마케팅과 지역 발전에 관한 선행 연구 = 36 제3장 안산시 다문화마을특구 현황 = 44 제1절 안산시 다문화마을특구 외국인 분포 현황 = 44 1. 외국인 거주 형성 및 과정 = 44 2. 외국인 분포 현황 = 45 제2절 다문화마을특구 외국인 지원 정책 및 제도 현황 = 50 1. 안산시 다문화 정책 현황 = 50 2. 다문화마을특구 지정 배경 및 현황 = 55 제4장 다문화 시대 장소 마케팅 : 안산시 다문화마을특구 = 64 제1절 연구 분석들 = 64 제2절 장소 마케팅 전략 수립 과정 = 66 1. 장소 분석 = 66 2. 비전과 목표의 수립 = 67 3. 마케팅 전략 수립 = 67 4. 실행 계획 수립 = 68 5. 전략의 실행과 평가 = 68 제3절 다문화마을특구 장소 마케팅 분석 = 69 1. 다문화마을 장소 분석 = 69 2. 다문화마을특구의 비전과 목표 수립 분석 = 73 3. 다문화마을특구의 마케팅 전략 및 실행 계획 분석 = 77 4. 다문화마을특구에 대한 마케팅의 실행과 평가 = 84 제5장 다문화마을특구 장소 마케팅의 시사점 = 96 제1절 장소 자산에 대한 정확한 인식 필요 = 96 제2절 단기적 목표와 장기적 목표의 조화 필요 = 99 제3절 다문화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콘텐츠의 특이성 및 차별성 필요 = 101 제4절 치안 유지 및 지역 주민과의 상생 전략 마련 = 103 제5절 전략 실행을 위한 충분한 예산 확보 및 적극적인 홍보 필요 = 105 제6장 결론 및 함의 = 107 부록 : 안산시 인구 현황 = 110 참고 문헌 = 117 찾아보기 =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