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7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766159 | |
005 | 20130924114305 | |
007 | ta | |
008 | 130918s2013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47273893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272461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51 ▼2 23 |
085 | ▼a 351 ▼2 DDCK | |
090 | ▼a 351 ▼b 2013z10 | |
100 | 1 | ▼a 정상현 ▼g 丁相賢 |
245 | 1 0 | ▼a 행정관리학 / ▼d 정상현 저 |
260 | ▼a 서울 : ▼b 형설출판사, ▼c 2013 | |
300 | ▼a 430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17-422)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13z10 | 등록번호 11170267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를 망라하되 한 학기에 전체 내용을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분량을 적절히 안배하였다. 총 8장으로 구성된 본 저서는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와 행정실무적인 측면 등이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특히 필요한 경우 괄호로 한자와 영어를 제시함으로써 한글세대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데 편리하도록 서술하였다.
또한 일화만자(一畵萬字)를 염두에 두고 독자들이 책을 볼 때 지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저자는 자신의 수채화작품을 이번 신간 서적의 전면과 후면의 표지뿐만 아니라 장별의 앞면에 넣어 그림을 감상하도록 하였다.
머리말
오늘날 세계 각국은 보다 발전된 사회로 비약하고자 몸부림치고 있다. 행정조직관리학에서도 이러한 급변하는 상황에 걸맞는 역동적이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생존경쟁이 치열하게 된 것이 현대 인간사회의 현저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이론의 필요성과 현대사회의 요구로 인하여 행정조직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서 행정조직분야의 능률성과 효과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것이 행정조직의 행태를 분석하고 연구하게 한 주요 배경이다.
흔히 현대사회를 조직사회라고 일컫는다. 즉 현대사회는 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발전된다.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집단이나 조직을 떠나서 살 수 없다고 할 만큼 집단이나 조직은 인간의 욕구충족과 사회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인간과 집단 및 조직, 인간 및 조직과 환경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학문으로서 기초가 되는 주요한 이론이 행정학 분야에서 조직관리학에 관한 이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행정조직관리학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저서를 편찬하게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대학과 대학원, 공무원교육원 및 각종 행정기관 등에서 행정학 분야의 강의와 특강을 담당해오던 저자는 행정학 전공학생은 물론, 일반인도 행정조직분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교과서를 집필하였으며, 행정조직관리학의 용어에 대한 최근의 참고문헌과 색인을 추가하였다. 특히 행정조직관리학에 있어서 특정분야에 편중됨이 없이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한 학기 동안 강의하는 데 부담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이와 같은 의도와 목적으로 편찬한 본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를 망라하되 한 학기에 전체 내용을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분량을 적절히 안배하였다.
2. 총 8장으로 구성된 본 저서는 행정조직관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모든 주요 분야 와 행정실무적인 측면 등이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특히 필요한 경우 괄호로 한자와 영어를 제시함으로써 한글세대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데 편리하도록 서술하였다.
3. 또한 일화만자(一畵萬字)를 염두에 두고 독자들이 책을 볼 때 지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저자는 자신의 수채화작품을 이번 신간 서적의 전면과 후면의 표지뿐만 아니라 장별의 앞면에 넣어 그림을 감상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문적으로 미흡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 부분에 대해 저자는 독자 여러분의 많은 질책과 비평을 토대로 하여 차후에 더 수준 높은 교과서가 될 수 있도록 현자무가(懸刺無暇)의 정신으로 계속 보완.개정할 것을 약속한다.
최근 행정조직을 둘러싼 국내.국외적인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진화론자인 찰스 다윈이 그의 저서 「종(種)의 기원」에서 지구상에서 끝까지 살아남는 종은 공룡처럼 힘이 센 종도 아니고, 지능지수가 아주 높은 종도 아니며, 변화에 잘 적응하는 종이 끝까지 살아남는다고 말한 바 있다. 세계화.정보화.지방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뉴거버넌스의 등장과 함께 민주화와 시민참여의 확대, 국가경쟁력 강화, 규제완화와 민영화, 고객지향적이며 성과지향적인 행정추구 등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는 행정개혁의 변화도 계속되고 있는 만큼 이에 부응하여 행정조직과 관리의 분야도 변화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행정환경의 변화는 행정조직관리학 교과서에도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번 형설출판사에서 출간된 행정조직관리학의 내용에는 시의성을 고려한 내용을 수록하였으며,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발전에 대한 정책대안의 제시와 지방인구의 수도권유입 억제정책을 모색하고, 각종 대학정책의 개선, 기업의 지방대생 고용차별관행의 시정을 위한 관련조항과 법규의 마련, 상대적으로 취업기회가 적은 지방대생의 채용촉진 및 고용기회확대를 위한 여건형성과 제도마련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시각에서 대학생들의 취업과 관련하여 많이 논란이 되고 있는 조직과 지역인재할당제라는 내용을 본 교재 제8장의 마지막 절에 수록하였다. (하략)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상현(지은이)
행정학을 전공한 저자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우석대학교 행정학과에 재직 중이며, 『현대행정과 발전론』(학문사), 『인력정책행정조직론』(법문사), 『행정학개론』(신아출판사) 등 15권의 저서를 집필한 바 있다.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운영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2014년도에 한국자치행정학회 회장에 선출되었으며, 전북공무원교육원 및 각종 행정기관등에 행정학 분야 강의를 해왔다. 2008년 전북사상회에 가입 후 전북예술회관과 교동아트센터에서 5차례의 그림 전시회를 가진 바 있으며, 바이올렛 아티스트 센터 대표, 전북사생회 회장으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학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과정 졸업(행정학박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과정 졸업(행정학석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경력] 행정고등고시 1차 및 2차 출제위원 및 선정위원 지방고등고시 1차 및 2차 출제위원 및 선정위원 사법고시출제위원 한국자치행정학회 회장 안전행정부 7·9급 행정직 국가공무원 공채시험출제위원 전라북도 9급 행정직 지방공무원 공채시험출제위원 전북경찰청 인권위원회 위원장 전라북도 NGO 국제교류추진위원회 위원 전라북도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위원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 및 운영이사 한국자치행정학회 학술상 위원 한국정치학회 행정분과위원 전북지방공무원 교육원 초빙강사 우석대학교 문화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학과장 및 전공주임교수 현) 우석대학교 문화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과(조직·인사·정책학 전공) 교수 전라북도 지방토지수용위원회 위원 바이올렛 아티스트 센터 대표 전북사생회 회장 [저서] 『현대행정조직학』 신아출판사, 1995 『지방행정과 리더십』 신아출판사, 1996 『행정학』 내무부지방행정연수원 기획과, 1998 『현대행정과 조직사회』 학문사, 1998 『현대행정과 발전론』 학문사, 1998 『정책행정론』 신아출판사, 1999 『현대발전행정론』 신아출판사, 2000 『정책학의 이해』 신아출판사, 2001 『리더십론』 신아출판사, 2001 『인력정책행정조직론』 법문사, 2004 『인력정책과 리더십』 신아출판사, 2004 『행정학개론』 신아출판사, 2009 『행정조직관리학』 신아출판사, 2010 『행정조직관리학』 형설출판사, 2013 [논문] 공공정책의 본질과 실체, 그 탐구전망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찰공무원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분석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그 영향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행정가의 가치갈등과 그 해결 방안 지방공무원의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변동에 영향 미치는 리더십 비전이론에 대한 고찰 조직의 공식화 구조에 따른 직무성과 차이분석 외 논문 다수

목차
제1장 행정조직과 인간관리 제1절 리더십 / 18 1-1 리더십의 의의 / 19 1-2 리더십 개념과 혼동되는 유사개념 / 21 1-3 리더십의 구성요소 / 23 1-4 리더십의 주요 차원 / 24 1-5 리더십의 기능 / 26 1-6 리더십의 유형 / 27 1-7 리더십의 이론적 연구 / 29 1-8 리더십에 관한 실증적 연구모형 / 31 1-9 리더의 행태와 집단의 효과성 / 35 제2절 조직과 개인 / 38 2-1 조직과 개인의 관계 / 38 2-2 개인행동의 변이성 / 39 2-3 인간관과 인간관리전략 / 40 2-4 동기부여이론 / 46 2-5 조직의 성격형 / 53 제3절 공무원의 사기 / 55 3-1 사기의 의의 / 56 3-2 사기의 성격 / 56 3-3 사기의 규제요인 / 57 3-4 사기의 측정방법 / 60 3-5 사기의 앙양방법 / 61 제4절 조직의 목표 / 64 4-1 조직목표의 의의 / 64 4-2 조직목표의 기능 / 65 4-3 조직목표의 설정에 영향 미치는 요인 / 66 4-4 조직목표의 유형 / 67 4-5 조직목표의 변동 / 71 제5절 조직과 환경 / 74 5-1 조직과 환경의 의의 / 74 5-2 조직환경의 유형 / 76 5-3 조직 간의 상호관계 / 77 5-4 조직과 환경과의 관계 / 78 제2장 행정조직과 행정관리 제6장 행정관리의 본질 / 84 6-1 행정관리의 의의와 필요성 / 84 6-2 행정관리의 목표 / 86 6-3 행정관리의 계층과 역할 / 87 6-4 행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93 6-5 행정관리의 향방 / 94 제7절 의사전달 / 94 7-1 의사전달의 의의 / 95 7-2 의사전달의 접근방법 / 96 7-3 의사전달의 유형 / 97 7-4 의사전달의 저해요인과 극복방안 / 100 제8절 기획의 본질과 과정 / 104 8-1 기획의 본질 / 104 8-2 기획의 특성 / 106 8-3 기획의 역할과 기능 / 107 8-4 기획의 원칙 / 108 8-5 기획의 과정 / 109 제9절 공공관계 / 110 9-1 공공관계의 의의 / 111 9-2 공공관계의 과정 / 112 9-3 공공관계의 기능 / 113 9-4 공공관계 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14 제10절 갈등?권위?조정 / 116 10-1 갈등 / 117 10-2 권위 / 126 10-3 조정 / 130 제3장 행정조직과 예산관리 제11절 예산의 본질 / 136 11-1 예산의 개념 / 136 11-2 예산의 유형 / 137 11-3 예산의 기능 / 138 제12절 감축관리와 예산절감 / 144 12-1 감축관리의 개념 / 144 12-2 감축관리의 필요성 / 144 12-3 감축관리의 목적 / 146 12-4 감축관리의 대상과 방법 / 146 12-5 감축관리의 저항요인 / 148 12-6 감축관리와 예산절감 / 149 제13절 예산의 개혁 / 151 13-1 예산결정이론 / 151 13-2 품목별예산제도 / 154 13-3 성과주의예산제도 / 155 13-4 계획예산제도 / 158 13-5 영기준예산제도 / 163 제14절 행정책임 / 166 14-1 행정책임의 의의 / 166 14-2 행정책임의 특질 / 167 14-3 행정책임의 구분 / 167 14-4 행정책임의 기준 / 168 14-5 국민의 행정책임 향상을 위한 방안 / 170 제15절 행정가치의 본질 / 171 15-1 행정가치의 접근방법과 분류 / 171 15-2 본질적 행정가치 / 172 15-3 비본질적 행정가치 / 175 제4장 행정조직과 능률관리 제16절 조직이론의 발전 / 180 16-1 조직의 개념 / 181 16-2 조직이론의 발달 / 181 제17절 조직의 유형 / 186 17-1 조직 유형연구의 목적 / 187 17-2 조직의 유형 분류 / 187 제18절 조직의 제원리 / 192 18-1 조직의 일반적 원리 / 192 18-2 기타 조직의 원리 / 200 제19절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 / 205 19-1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의의 / 206 19-2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특징과 차이점 / 208 19-3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상호관계 / 209 19-4 비공식적 조직의 유형 / 210 19-5 비공식적 조직의 기능과 통제 / 211 제20절 관료제와 행정병리 / 214 20-1 관료제의 개념 / 214 20-2 관료제 이론의 특징 / 215 20-3 웨버의 관료제 이론의 비판과 수정이론 / 219 20-4 관료제의 병리 / 222 20-5 관료제와 민주주의 / 226 제5장 행정조직과 발전관리 제21절 조직혁신 / 230 21-1 조직혁신의 의의 / 230 21-2 조직혁신의 과정 / 231 21-3 혁신담당자의 자질과 유형 / 233 21-4 조직혁신의 접근방법 / 235 21-5 조직혁신의 저항과 극복 / 237 제22절 조직발전 / 239 22-1 조직발전의 의의 / 240 22-2 조직발전의 과정 / 242 22-3 조직발전의 기법(전략) / 243 22-4 조직발전의 성공요건과 문제점 / 247 제23절 의사결정 / 250 23-1 의사결정의 의의 / 250 23-2 의사결정의 계층성 / 251 23-3 의사결정의 유형 / 252 23-4 의사결정의 과정 / 253 23-5 의사결정의 접근방법 / 255 제24절 행정조직의 동태화 / 266 24-1 행정조직 동태화의 개념 / 266 24-2 행정조직의 동태화의 필요성 / 267 24-3 행정조직의 동태화 확보방안 / 267 24-4 행정조직의 동태화의 문제점과 전망 / 272 제25절 행정개혁 / 274 25-1 행정개혁의 의의 / 274 25-2 행정개혁의 성공요인 / 277 25-3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278 25-4 행정개혁의 과정 / 279 25-5 행정개혁의 저항 / 281 25-6 외국의 행정개혁 / 283 제6장 행정의 발달과 실제 제26절 행정의 개념과 발달 / 288 26-1 행정의 개념 / 289 26-2 행정개념의 속성 / 297 제27절 행정과정 / 298 27-1 행정과정의 의의 / 298 27-2 행정과정의 제단계 / 299 27-3 행정과정론의 장·단점 / 302 제28절 비교행정 / 304 28-1 비교행정의 의의 / 304 28-2 비교행정의 접근방법 / 305 28-3 비교행정의 이론모형 / 308 28-4 비교행정의 문제점과 비판 / 310 제29절 발전행정 / 312 29-1 발전행정의 의의 / 313 29-2 발전행정의 접근방법 / 315 제30절 신행정론 / 318 30-1 신행정론의 의의 / 319 30-2 신행정론의 이론적 특징 / 319 30-3 신행정론의 내용 / 321 30-4 신행정론의 한계 / 324 제7장 조직의 행태와 행정문화 제31절 행정이념 / 328 31-1 행정이념의 의의 / 329 31-2 행정의 제이념 / 329 31-3 행정이념 상호간의 관계 / 336 31-4 우리나라의 행정이념의 향방 / 337 제32절 행정행태의 발전과 그 영향 / 338 32-1 행태이론의 의의 / 339 32-2 행태이론의 특징 / 340 32-3 행태이론의 내용 / 340 32-4 행태이론적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 343 제33절 행정생태의 이론적 배경과 내용 / 345 33-1 행정생태론의 의의 / 345 33-2 행정생태론의 내용 / 346 33-3 행정생태론의 비판과 공헌 / 350 제34절 행정문화 / 351 34-1 행정문화의 개념 / 351 34-2 행정문화의 주요 내용 / 351 34-3 한국의 행정문화 / 352 제35절 엽관주의와 실적주의 / 354 35-1 엽관주의와 실적주의의 개념 / 354 35-2 정당정치와 엽관주의의 관계 / 355 35-3 엽관주의의 성립배경과 장?단점 / 355 35-4 실적주의의 성립배경과 장?단점 / 359 제8장 행정의 대상과 접근방법 제36절 공익과 사익 / 362 36-1 공익과 사익에 대한 개념 / 362 36-2 공익과 사익과의 관계 / 365 제37절 행정과 경영 / 366 37-1 행정과 경영의 의의 / 366 37-2 행정과 경영에 대한 이론의 동향 / 366 37-3 행정과 경영의 유사점과 차이점 / 368 37-4 행정과 경영의 관계 / 372 제38절 정책결정 / 373 38-1 정책결정의 개념 / 373 38-2 정책결정과 의사결정의 유사점과 차이점 / 374 38-3 정책결정의 변수와 결정이론 / 376 38-4 정책결정의 제이론모형 / 377 38-5 정책결정의 참여자 / 381 38-6 정책결정과정 / 384 제39절 현대행정의 역할과 특징 / 386 39-1 현대행정의 역할 / 386 39-2 현대행정의 특징 / 388 39-3 정보화가 행정에 미치는 영향 / 391 제40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394 40-1 행정학 접근방법의 의의 / 394 40-2 행정학에 대한 접근방법의 제유형 / 395 제41절 조직과 지역인재할당제 / 407 41-1 지역인재할당제의 도입목적 / 407 41-2 지역인재할당제 도입의 정당성 / 408 41-3 지역인재할당제의 도입 필요성 / 409 41-4 지역인재할당제 기관도입의 사례분석 / 410 참고문헌 / 417 찾아보기 /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