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29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765905 | |
005 | 20130916144813 | |
007 | ta | |
008 | 130913s2013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97917037 ▼g 03330 | |
035 | ▼a (KERIS)BIB000013269357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8.4/791 ▼2 23 |
085 | ▼a 338.4791 ▼2 DDCK | |
090 | ▼a 338.4791 ▼b 2013z1 | |
100 | 1 | ▼a Becker, Elizabeth ▼0 AUTH(211009)56131 |
245 | 1 0 | ▼a 여행을 팝니다 : ▼b 여행과 관광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 / ▼d 엘리자베스 베커 지음 ; ▼e 유영훈 옮김 |
246 | 1 9 | ▼a Overbooked : ▼b the exploding business of travel and tourism |
260 | ▼a 서울 : ▼b 명랑한지성, ▼c 2013 | |
300 | ▼a 527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505-527 | |
650 | 0 | ▼a Tourism |
650 | 0 | ▼a Tourism ▼v Cross-cultural studies |
650 | 0 | ▼a Tourism ▼x Political aspects |
650 | 0 | ▼a Tourism ▼x Moral and ethical aspects |
700 | 1 | ▼a 유영훈, ▼e 역 ▼0 AUTH(211009)76173 |
900 | 1 0 | ▼a 베커, 엘리자베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4791 2013z1 | 등록번호 1117024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8.4791 2013z1 | 등록번호 1513173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4791 2013z1 | 등록번호 1117024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8.4791 2013z1 | 등록번호 1513173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국의 유명 저널리스트 엘리자베스 베커는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여행과 관광이 한 국가와 문화와 환경의 지형, 또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어디로 갈지, 그리고 일단 간 다음에 무엇을 할지에 관해서는 무수히 많은 책이” 있지만, “세계 최대의 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는 관광 자체를 중요한 문제로 다루는 책은 매우 드물다.”
여행과 관광이 “독특한 지역문화와 열악한 환경과 빈곤한 국가를 개선하는지, 아니면 그것을 망치는지 묻는” 책은 훨씬 더 적다. 베커는 그런 갈증에서부터 이 책을 시작한다. 5년 동안 세계 각국을 여행하고 수많은 인물을 인터뷰하면서 여행과 관광이 우리 삶의 다양한 영역에 얼마나 많은 촉수를 뻗치고 있고, 얼마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 저돌적이면서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관광은 한 나라에서 가난을 지워 낼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이나 그 나라의 환경을 파괴하고, 가난한 주민의 생활수준을 더 떨어뜨릴 위험도 있다. 왜냐하면 다국적 호텔 체인과 부패한 지역 상류층이 관광 수익을 다 가져가는 동안, 정작 현지인은 아이들이 섹스관광에 착취되는 것과 같은 최악의 관광 현실과 맞닥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주요 산업과 마찬가지로 관광에도 무시 못할 어두운 면이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관광, 엔터테인먼트, 창조 경제가 서울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며, “외국인 관광객 1천만 시대를 맞아 서울을 매력 있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2013년 6월 17일 『포커스신문』). 여행과 관광이 한 나라의 정책에서 얼마나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증명하는 말이다. 예전 우리의 여행이 휴식, 여유, 낭만, 모험 등과 같이 정서적이고 개인적인 의미를 지녔다면 지금의 여행은 한 나라의 경제에 크게 공헌하는 거대한 비즈니스, 산업으로 이해된다. 관광산업은 현재 세계 경제에 7조 달러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2억 350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낸 세계 최대의 고용산업이다(2007년 기준). “21세기의 첫 10년 동안 전 세계 여행과 관광은 52.1퍼센트 성장했는데, 여기에 비견할 만한 다른 업종은 거의 없을 정도다.” 전 세계 고용인 열 명 중 한 명이 관광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2012년에 전 세계의 해외여행 횟수는 10억 회를 돌파했다. 모든 통계가 여행과 관광의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준다. 이런 이유로 “많은 나라의 정부가 이 실체 없는 거인의 힘을 깨”닫고 정책의 우선순위에 관광을 올려놓기에 이르렀다. 이제 여행과 관광은 내면적이고 개인적인 체험을 넘어서서 한 나라의 사회, 문화, 경제, 정치를 움직이는 거대한 힘이 되어 가고 있다.
여행은 세상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미국의 유명 저널리스트 엘리자베스 베커는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여행과 관광이 한 국가와 문화와 환경의 지형, 또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어디로 갈지, 그리고 일단 간 다음에 무엇을 할지에 관해서는 무수히 많은 책이” 있지만, “세계 최대의 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는 관광 자체를 중요한 문제로 다루는 책은 매우 드물다.” 여행과 관광이 “독특한 지역문화와 열악한 환경과 빈곤한 국가를 개선하는지, 아니면 그것을 망치는지 묻는” 책은 훨씬 더 적다. 베커는 그런 갈증에서부터 이 책을 시작한다. 5년 동안 세계 각국을 여행하고 수많은 인물을 인터뷰하면서 여행과 관광이 우리 삶의 다양한 영역에 얼마나 많은 촉수를 뻗치고 있고, 얼마나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 저돌적이면서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에게 여행과 관광은 어떤 의미인가라고 묻는 베커의 질문은 ‘정치적으로 올바른’ 여행과 여행자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맞닿는다.
그녀는 소위 관광대국이라고 불리는 프랑스, 베네치아를 거쳐 문화관광의 중심지 중 하나인 캄보디아를 통해 관광이 문화유산으로 가득한 이 나라들을 어떻게 잠식해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소비관광의 최전선에 있는 유람선에 승선하고 두바이를 여행하면서 대규모로 상업화되어버린 관광 비즈니스의 문제점을 진단한다. 막강한 경제력과 인구를 앞세워 세계 관광 시장의 큰손으로 등장한 중국을 통해서는 정부가 장악한 관광 정책의 한계를 짚어보고, 9?11 이후 안보 본능과 관광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는 미국을 보면서 체계적인 관광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 책의 필자는 여행과 관광의 힘을 믿는다. “관광은 부자 나라의 부를 가난한 나라로 옮겨 주는 자발적 방법”이자 “현대 세계의 가장 좋은 재분배 수단”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관광이 지닌 이 긍정적인 속성은 어떤 나라에서는 더 이상 진실이 아니다. 관광업을 통해 흘러 들어온 돈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쓰이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지배층을 배불리는 비리의 온상이 되거나, 개발을 이유로 지역민들의 터전과 사유재산을 강제로 빼앗는 폭력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아름답고 찬란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베네치아를 부유한 호텔 체인과 상점들이 장악하면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고, 그로 인해 지역민들이 자신의 터전을 떠나야 하는 현실, 역사를 관광에 팔아버리고, 과개발을 자행해 유적지와 문화재까지 위태롭게 만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상황은 여행과 관광이 가져오는 재앙의 극히 일부분이다. 관광객만을 위한 정책, 또는 관광을 단지 돈벌이 수단으로만 치부하는 근시안적인 태도는 문화유산, 지역의 토착문화까지 상업화하면서 각 나라의 문화적, 역사적 개연성과 개성을 지워내고 있다. 심지어는 관광이 가난을 풍요로 바꿔주지 않기에, 나라의 미래를 전적으로 관광에 의존해야 하는 가난한 나라의 더 가난한 이들은 관광객을 상대로 몸을 팔거나 동정심을 구걸하는 것밖에는 달리 할 일이 없게 된다. 21세기 관광업에서 섹스관광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이유만 봐도 알 수 있다.
2011년 금융위기 때에도 홀로 성장을 거듭했다는 유람선관광은 어떨까? 정말, 합리적인 가격으로 관광객에게 온갖 즐거움을 선사하는 여행일까? 베커는 유람선은 목적지 없는 거대한 해상 쇼핑몰이라고 단정 짓는다. 여행이 주는 모험, 우연, 탐험이 유람선에는 없다. 단지 해상에 엄청난 오염을 가중시키면서 유람선사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구조로 운행될 뿐이다. 법적인 제재를 피하기 좋게 구조화된(유람선사는 편의치적便宜置籍이라는 해양 관행에 기대서 선박을 자국이 아닌 제3국에 등록함으로써 자국의 많은 법적 체제를 빠져나간다) 유람선은 처리되지 않은 막대한 양의 오염물질을 바다에 마구 버리고, 엔진 공회전으로 엄청난 공해를 유발하면서 “최저임금, 근로기준, 법인세, 환경 규제 등으로부터 사실상 해방된다.” 방문한 지역의 경제에 공헌을 하지도 않을뿐더러,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도 엿볼 수 없다.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열악한 노동환경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다.
환경에 짐을 지우는 방식의 관광, 노동 착취에 가까운 임금 체계는 두바이를 위시한 아랍에미리트에서도 자행된다.
그저 건조하고 뜨거운 사막 나라였던 아랍에미리트를 관광의 허브로 변신시킨 원동력은 인권 유린에 가까운 노동 착취에 있다고 베커는 지적한다. 쇼핑의 천국, 세계 어디에도 없는, 모든 것이 세계 최초인 장소가 되고 싶은 “두바이를 비롯한 아랍에미리트의 모든 토후국은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을 포함한 국제 노동 규약을 거부한다.” “800만 명이 넘게 사는 이 나라에서 노동인구 중 적어도 85퍼센트가 외국인”이고, 이들은 두바이를 굴러가게 하지만 어느 누구도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다. “두바이를 방문하는 관광객은 디자이너 호텔이 있고 대단한 음악 콘서트가 열리는, 한 현대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나라를” 보지만 “이 21세기적인 생활양식을 뒷받침하는 중세적 노동 현실에 관해선 알지 못한다.”
베커는 두바이의 현재를 지켜보면서 관광의 세계화가 취사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고 말한다. “유럽의 패권에 도전하기 위해서 항공자유화 정책을 펴고”, “선택적 국경 개방으로 이주 노동자를 유인”했지만 “그러는 동안에 공정고용법이나 인권에 대한 존중과 같은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약속은 거절”한 두바이의 현재가, 관광에서 무엇을 취하고 무엇을 버릴 것인가에 대한 정책 철학적 문제를 제기한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엘리자베스 베커는 관광이 지역의 진짜 모습, 획일화되지 않은 나라의 속살을 보여주고, 그것을 존중하고 유지하려는 관광 철학을 갖지 않는다면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도, 미래지향적인 산업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관광은 폐기해야 하는 병폐일까? 물론 아니다. 베커는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관광의 가능성을 프랑스와 잠비아, 코스타리카에서 찾는다.
지속가능한 관광은 가능할까?
프랑스는 전 세계인이 가장 사랑하는 여행지다. 낭만적인 예술의 나라로 일컬어지는 프랑스의 국가적 이미지는 자국의 문화와 프랑스적인 삶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국가 정책에서 기인한다. 포도 생산지로만 알려졌던 황량한 보르도를 한 해 14억 달러의 관광 수익을 올리는 황금의 땅으로 변신시킨 보르도 시의 전략은, 자국이 가진 문화의 특색과 개성을 지우지 않는 것, 자국민의 삶을 최우선 가치에 놓는 것이 장기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관광 정책임을 증언한다. 프랑스는 거대자본이 밀고 들어와 지역 상권을 장악하지 못하도록 제도적 보호 정책을 실시하며, 자국 문화를 가장 빛나고 가장 아름답지만 결코 왜곡되지 않게 치장하는 진중함과 단호함도 갖고 있다. 이런 문화적 자긍심이 다른 모든 나라의 선망을 받는 관광대국으로 가는 열쇠였던 것이다. 베커는 “관광은 아웃소싱할 수 없다”는 프랑스 관리의 말을 인용하면서, “두바이의 고급 쇼핑몰이 상하이의 새로운 쇼핑센터와 크게 다를 바 없는 범세계적인 동질성의 시대에 프랑스 관광은 틀림없이, 그리고 고집스레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동물과 식물 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코스타리카가 추구하는 생태관광ecotourism도 자국의 개성을 극대화하여 대규모 관광의 폐해를 줄이고자 노력하는 주목할 만한 사례다. “강력한 산업적 관광에 제동을 걸고 한 나라의 풍광이나 사람들, 사회를 어지럽히거나 망가뜨리지 않는 여행의 한 방식으로 돌아가고자 수십 년 전에 시작된 운동을” 일컫는 생태관광은 최근 크게 각광받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보편적이지는 않다. “생태관광과 유사한 지리관광geotourism(“한 장소의 환경과 문화, 아름다움, 전통 그리고 거주민의 참살이까지 아우르는 지리학적 성격을 지키거나 향상하는 여행”), 책임관광responsible tourism 등은 여행의 8퍼센트 이상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런 관광이 추구하는 목표가 종종 규모와 수익을 쫓는 산업적 목표와 충돌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파리관광을 통해 야생동물공원을 유지하고 보호하려는 잠비아의 노력과, 많은 시행착오 끝에 “자연과 함께 평화”라는 구호를 모토로 삼은 코스타리카의 관광 정책은 대중관광의 딜레마를 극복하면서 사회와 환경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도록 세심하게 배려된 대안 관광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들 나라는 관광은 곧 수익, 관광은 곧 외화 획득이라는 낡고 단기적인 공식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펼치고, 관광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있다. 이제 많은 기업이 “수익, 사람 그리고 지구”가 가장 중요한 관광의 주제가 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진정한 ‘녹색’ 관광, 관광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목표로 하는가라고 묻는다면 대답은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이것까지도 상업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관광업계는 물론이고 정치권과 환경단체들도 지금까지 우리가 누려왔던 여행 방식에 대해 반성과 성찰을 쏟아낸다. 그렇게 우왕좌왕하는 사이에 보존과 개발이라는 대결 구도에서 보존은 뒷전으로 밀렸고 환경과 문화는 위태로운 상황에 빠졌다. “개발업자의 손아귀에서는 그 무엇도 안전하지 않”으며 “관광을 통제하지 못하면 관광에 통제”되는 것은 시간문제이기 때문이다.
여행의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생각할 때
엘리자베스 베커는 여행과 관광, 관광산업 자체를 문제 삼지는 않는다. 여행과 관광이 우리의 삶에 가져다주는 긍정적 가치를 익히 경험했고, 관광산업은 이미 물리거나 축소할 수 없는 확고한 산업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현실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관광이 주요 산업으로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것이 지금의 폐해를 낳은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 현대인들에게 여행과 관광은 기본권이 되었고, 삶의 가장 중요한 윤활유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직시한다면 이제 우리에게 남은 문제는 여행의 사회적 책임과 환경적 책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일이다.
지금 우리의 여행은 지속가능하지도, 생태적이지도, 환경친화적이지도 않다. 해외여행은 일상이 되었지만, 그 일상이 누군가의 일상을 휘저어 놓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는 자각은 그리 많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책임관광, 대안관광, 착한관광이라고 불리는 방식이 유행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호의나 선행으로 지금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는 없다. 이 책의 저자가 관광을 산업의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미 흐르고 있는 물길이라면 그 물길을 더 잘 닦고 개선하여 주위 풍경과 어우러지게 하자는 것이 그녀의 제안이다.
물론 고급스럽고 편안하게만 여행하는 그녀의 여행 방식에 거부감이나 위화감이 들 수 있다. 그리고 그녀가 제안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선민의식처럼 비쳐질 수도 있겠다. 떼를 지어서 왁자지껄하게 다니는 여행이라도 누군가에게는 잊지 못할 감동이나 경험이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누군들 우아하게, 자연을 생각하며 책임 있는 여행을 하고 싶지 않을까. 여행 방식의 선택은 의식의 차이가 아니라 경제적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것은 여행의 정신이다. 지금 이대로 여행과 관광이 계속된다면 그 어떤 것도 온전할 수 없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지속가능한 관광’이라는 말 뒤에는 세상의 모든 흥미롭고, 엉망이고, 이국적인 차이들을 지키고 싶은 바람”이 내포되어 있다. “다 똑같아 보이는 하나의 세상”이 아니라 저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는 관광이 우리 여행의 정신이어야 하고, 우리가 궁극적으로 보고 싶은 여행지의 참모습이기도 하다. 그것은 산업적 측면에서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요즘과 같은 초세계화 시대에 관광객을 성공적으로 유치하는 것은, 동시에 몰락의 단초도 될 수 있다.” “한 장소와 그곳의 사람들을 묶을 어떤 매듭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지속가능한 관광은 결국 공염불에 불과”하다. 온통 리조트, 골프장, 테마파크뿐인 오늘날의 관광을 “돌아다니고, 보고, 이미 그곳에 있는 것과, 그 지역의 문화, 어느 특정한 장소의 느낌을 감상하는” 본래의 여행으로 되돌리는 것은 인류의 문화와 역사, 자연, 그 지역 사람들을 보호하고 존중하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엘리자베스 베커(지은이)
오랜 기간 『뉴욕타임스』 기자로 일했다. 『뉴욕타임스』의 국제경제 담당 기자로서 유럽과 아시아, 남미에서 교역과 농업, 국제금융 그리고 급속한 변화가 미국과 전 세계 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보도했다. 아이오와 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 워싱턴 대학교에서 아시아에 대해 공부했으며, 1972년에 『워싱턴포스트』의 캄보디아 종군 특파원으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폴 포트를 인터뷰하기도 한 그녀는 현대 캄보디아와 크메르루주 전문가이다. 미국공영라디오NPR에서 방송사의 모든 해외 지국과 그 보도를 총괄하는 외신 편집장을 지냈다. 로버트 케네디 도서상Robert Kennedy Book Awards을 비롯해, 외신기자클럽Overseas Press Club과 뒤퐁컬럼비아DuPont-Columbia가 주는 상을 수상했다. 하버드 대학교 쇼렌스타인센터의 연구원으로 관광산업을 연구하기도 했으며, 동남아시아에 관한 책 『전쟁이 끝났을 때: 캄보디아와 크메르루주 혁명When the War was Over: Cambodia and the Khmer Rouge Revolution』『미국의 베트남 전쟁America's Vietnam War』 등을 썼다. 아시아와 유럽에서 살았으며, 여행을 굉장히 많이 했다. 현재 워싱턴 D.C.에서 남편과 라파예트 존스라는 개와 함께 살고 있다. www.elizabethbecker.com
유영훈(옮긴이)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잡지사와 출판사에서 출판편집자로 일했다. 지금은 출판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곧 외국인에게 한국말을 가르치는 한국어 선생님이 될 예정이다. 그동안 옮긴 책으로는 《음식의 제국》 《어떻게 말할 것인가? : 세상을 바꾸는 18분의 기적 TED》 《옥스브리지 생각의 힘》 《로봇이 온다》 《스티브 잡스와 천재들》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 9 제1부 여행, 거대한 비즈니스가 되다 제1장 세계 최대의 산업이 된 여행 = 14 제2부 문화관광 : 프랑스, 베네치아, 캄보디아 제2장 프랑스다움을 팔다 = 58 제3장 베네치아는 호텔이 아니다 = 100 제4장 캄보디아의 잘못된 계산 = 115 제3부 소비관광 : 유람선과 두바이 제5장 유람선, 목적지는 없다 = 160 제6장 사막의 신기루 두바이 = 213 제4부 자연관광 : 잠비아, 코스타리카, 스리랑카 제7장 잠비아로 떠난 사파리 여행 = 264 제8장 생태관광의 실험실 코스타리카 = 314 제9장 스리랑카에서 온 그림엽서 : 전쟁, 혁명 그리고 관광 = 357 제5부 새로운 거인 중국 제10장 세계 관광 시장의 큰손 = 372 제11장 중국 관광의 심각한 역설 = 398 제6부 오래된 거인 미국 제12장 예외적 미국 = 438 후기 = 495 감사의 말 = 498 옮긴이의 말 = 502 참고문헌 =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