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58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765227 | |
005 | 20130909153705 | |
007 | ta | |
008 | 111220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4955506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617169 | |
040 | ▼a 225013 ▼c 225013 ▼d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1z6 | |
245 | 0 0 | ▼a 교과는 진화하는가 / ▼d 박인기 [외] |
260 | ▼a 서울 : ▼b 지식과교양, ▼c 2011 | |
300 | ▼a 341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김창원, 설규주, 임희준, 권덕원, 김재운, 이춘식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인기, ▼e 저 ▼0 AUTH(211009)37749 |
700 | 1 | ▼a 김창원, ▼e 저 ▼0 AUTH(211009)113400 |
700 | 1 | ▼a 설규주, ▼e 저 ▼0 AUTH(211009)142195 |
700 | 1 | ▼a 임희준, ▼e 저 ▼0 AUTH(211009)131586 |
700 | 1 | ▼a 권덕원, ▼e 저 ▼0 AUTH(211009)133258 |
700 | 1 | ▼a 김재운, ▼e 저 ▼0 AUTH(211009)48251 |
700 | 1 | ▼a 이춘식, ▼e 저 ▼0 AUTH(211009)78749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11z6 | Accession No. 1117019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과교육학을 전공하는 일곱 명의 학자들이 그런 어려움에 대하여 고민과 대안적 모색을 추구한 시론적 성격의 결과물이다. 저자들은 교과교육학이 미시기술의 학문 차원으로 나아가는 것과 병행하여 학문 전체의 지형도 속에서 자기 학문을 진단하고 전망할 수 있는 거시(巨視, macro)의 교과교육학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해당 교과교육학을 스스로 내부적으로 추동하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독자성의 담보되는 학문이 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교과교육학을 전공하는 일곱 교과 영역의 학자들이
교과교육학의 미래적 진단과 전망을 함께 모색하고 고민하며 풀어낸 이야기!
미시(微時, micro) 기술로서의 교과교육 방법들은 향상되었지만, 교과교육학이 자신의 위상과 학문 본질을 다양한 거대담론으로 정련시키고, 다른 학문들과 대등한 상호성을 발휘하여 당당한 학제성(學際性)의 자격을 갖춘 자리로 나아가기에는 아직도 어려움이 많다고 본다.
이 책은 교과교육학을 전공하는 학자 공동체들이 그런 어려움에 대하여 고민과 대안적 모색을 추구한 시론적 성격의 결과물이다. 저자들은 교과교육학이 미시기술의 학문 차원으로 나아가는 것과 병행하여 학문 전체의 지형도 속에서 자기 학문을 진단하고 전망할 수 있는 거시(巨視, macro)의 교과교육학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해서 해당 교과교육학을 스스로 내부적으로 추동하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독자성의 담보되는 학문이 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인기(지은이)
대학에서 국어교육과 한국 언어문화 연구에 관심을 쏟아온 국어교육학자이다. 한국어 교육의 미래 지형과 생태 변화에 대한 담론 생산에 앞장서왔으며, 이런 기조 위에서 재외동포 정체성 교육과 재외동포 이해 교육에 힘을 쏟아왔다.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를 받았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청주교육대학교·경인교육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독서학회 회장, 재외동포재단 자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 (사)유라시아 포럼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국어교육학개론』(공저) 『문학교육의 구조와 이론』 『교사와 책』(공편) 『한국인의 말 한국인의 문화』 『스토리텔링과 수업기술』(공저) 『토론교육』(공저) 『언어적 인간, 인간적 언어』 등이 있다.
김창원(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국어교육론-관점과 체제』(2007), 『문학교육론-제도화와 탈제도화』(2011), 『한국현대시교육사』(2015, 공저)
권덕원(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전)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저서> 음악교육의 기초, 국악교육론, 음악교육연구방법, 음악적 이해를 위한 교수법, 현대의 음악교수법,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음악교육론
설규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학교 사회과 교사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시민사회, 피해자 그리고 시민윤리교육(한국학술정보, 2006), 시민교육론(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7, 공저),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정민사, 2018, 공저),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에세이(해냄, 2018) 등이 있다.
이춘식(지은이)
현 경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교수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졸업 충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원 Visiting Scholar: The University of Georgia(미국) [연구 분야] 조선 시대 전통 목공예 프로젝트/PBL 교수학습 방법(Project method) 기술에 대한 태도(PATT) 발명과 메이커 교육 [저서 및 논문] 《설계기술탐구/발명과 설계기술》 《테크놀로지의 이해》 《초등 목공 활동의 내용 체계》 《초등 실과 교육과정 및 평가》 《발명 교육의 내용과 방법》 《실과 교과서의 편찬과 분석》 《교과서 백서 편찬》 《(천재교과서) 2015 초등학교 실과》 《(천재교과서) 2015 중학교 기술·가정》 《(천재교과서) 2015 고등학교 기술·가정》
임희준(지은이)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로 있습니다. 한국 과학교육학회, 대한 화학회 등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생활 속의 화학>, <초등 과학 영재아 지도 입문> 등이 있습니다.
김재운(지은이)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체육학박사. 한국체육학회 편집위원,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편집위원장 역임.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부교수. 저.역서 <즐거운 게임수업>, <여가학개론>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교과의 생태와 교과의 진화 / 박인기 1. 교과와 교과교육학의 생태학적 상관 = 15 2. 교과에 대한 고정관념과 대안적 비판 = 20 3. 교과 발전과 진화 개념의 유용성 = 26 4. 교과의 진화에 관여하는 요소들 = 32 1) 학문적 자각 -이론 또는 학문성 = 32 2) 실천의 역동성 = 33 3) 제도-교육체제 = 34 4) 사회적 수요 = 35 5) 문화적 생태 = 36 6) 학문적 유전자들 간의 결합 = 38 5. 교과 진화와 교과교육학 담론의 방향 : 교과교육학자들의 책무 = 40 1) '지식의 가치'에 대한 이론화 노력 = 40 2) 타 교과(학문)와의 상호성 확충하기 = 41 3) 교과의 작용 가능성 모색하기 = 43 4) 교과와 문화의 관계를 살피는 연구 = 44 5) 교과와 기술(technology)의 관련 양상에 대한 메타 연구 = 45 6) 새로운 교과교육학의 패러다임을 만들기 = 47 국어 교과의 정당성과 정체성에 대한 회의 / 김창원 1. 국어 교과를 회의하는 이유 = 55 2. 국어 교과의 통시태와 공시태 = 57 1) 교과의 탄생과 성장 = 57 2) 교과의 내포와 외연 = 63 3. 국어 교과의 현실태와 이념태 = 69 1) 교과 이미지의 형성과 고착 = 69 2) 새로운 요구와 새로운 대응 = 74 4. 한 국어교육학자의 자기 회의 = 80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과의 진화에 대한 반성과 전망 / 설규주 1. 사회과의 진화에 대한 생태학적 논의의 의의 = 87 1) 생태학적 교과관의 의미와 의의 = 87 2) 사회과의 진화에 대한 논의의 의의와 연구의 전개 방향 = 92 2. 사회과와 사회의 관계 = 95 1) 사회과와 주변국 = 95 2) 사회과와 한국 사회 = 99 3) 사회과와 시대 = 103 4) 사회과와 인간 = 105 3. 사회과와 학문의 관계 = 107 1) 사회과와 철학 = 107 2) 사회과와 사회과학 = 111 3) 사회과와 교육학 = 116 4) 사회과와 도덕과 = 119 4. 사회과 내부에 대한 성찰 = 122 1) 사회과의 정체성 확립과 위상 변화에 대한 적응 노력 대두 = 122 2) 연구 및 실천 영역의 확장과 미시화 경향 증가 = 125 3) 사회과 현장과 이론, 생활세계와 학문세계의 거리 유지 = 128 4) 영역 간 이해관계의 대립 유지 = 130 5. 교과로서의 사회과 = 132 과학 교과의 성장과 진화에 대한 소고 / 임희준 1. 과학의 의미 = 143 2. 교과로서의 과학의 태동과 변화 = 145 1) 교과로서의 과학의 태동 = 145 2) 과학교육의 목표 변천 = 146 3. 과학교육의 성장 = 147 1) 과학교육의 발전 = 147 2) 과학교육의 다양화 = 148 3) 사회적 필요에 바탕한 과학교육 = 150 4. 과학교육의 변화와 적응 = 151 1) 과학지식 변화의 기작 = 151 2) 과학교육의 변화와 적응 = 153 5. 과학교육의 현 문제 = 155 1) 과학교육 커뮤니티의 문제 = 155 2) 과학 교과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 = 158 6. 마치며 = 161 음악교육학의 진화를 위한 과제 / 권덕원 1. 음악교육학에 대한 반성 = 167 2. 음악교육학의 진화를 위한 과제 = 171 1) 자기 확신 = 171 2) 일반 내용학과의 관계 정립 = 173 3) 일반 교육학과의 관계 정립 = 174 4) 상생의 학문 추구 = 176 5) 이론과 실제의 융합 = 177 6) 음악 교과의 전통과 변화 = 178 7) 교과교육학의 형성 = 183 8) 음악교육학 연구의 과제 = 185 3. 맺음말 = 187 체육교과는 진화하고 있는가? / 김재운 1. 서론 = 191 2. 체육과 교육과정의 전반적 이해 = 194 3.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 = 198 1) 기능중심(체력중심)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 = 199 2)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의 진화 : 신체활동 가치의 의미 = 203 4. 초등체육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천 방안 = 205 5. 체육교과에서 여가 영역에 대한 비중 확대 = 209 6. 체육교과의 미래를 위한 과제 = 212 실과교육학에서 기술학의 성찰과 도전 / 이춘식 1. 들어가기 = 223 2. 교과교육학에 대한 반성 = 224 3. 실과교육학에서 기술학의 성찰 = 228 1) 초등과 중등의 연계 = 228 2) 초등에서의 기술학 위상 = 228 3) 기술학의 정립 = 230 4) 기술적 소양에 대해 = 232 4. 초등 실과를 위한 기술학의 과제 = 236 1) 학문적 기여 = 237 2) 학생을 위한 기술적 활동 = 237 3) 미래의 수요 = 238 5. 기술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기 = 239 1) 기술이란 무엇인가? = 239 2) 생활 속의 기술 = 244 3) 예술과 기술 = 246 4) 21세기 하이테크, 무엇이 문제인가? = 247 6. 나가기 = 251 심층토론; 교과는 진화하고 있는가 = 257 찾아보기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