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심리학 2판

교육심리학 2판 (1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명희, 저 강소연, 저 김은경, 저 김정민, 저 노원경, 저 박성은, 저 서은희, 저 원영실, 저 황은영, 저
서명 / 저자사항
교육심리학 = Educational psychology / 신명희 [외] 공저
판사항
2판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0  
형태사항
397 p. : 삽화 ; 27 cm
ISBN
9788963304977
일반주기
저자: 신명희,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박성은, 서은희, 원영실, 황은영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3-388)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64928
005 20150901152741
007 ta
008 130905s2010 ulka 000c kor
020 ▼a 9788963304977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70.15 ▼2 23
085 ▼a 370.15 ▼2 DDCK
090 ▼a 370.15 ▼b 2010z1 ▼c 2
245 0 0 ▼a 교육심리학 = ▼x Educational psychology / ▼d 신명희 [외] 공저
250 ▼a 2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0
300 ▼a 397 p. : ▼b 삽화 ; ▼c 27 cm
500 ▼a 저자: 신명희,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박성은, 서은희, 원영실, 황은영
504 ▼a 참고문헌(p. 373-388)과 색인수록
700 1 ▼a 신명희, ▼e
700 1 ▼a 강소연, ▼e▼0 AUTH(211009)29294
700 1 ▼a 김은경, ▼e
700 1 ▼a 김정민, ▼e
700 1 ▼a 노원경, ▼e
700 1 ▼a 박성은, ▼e
700 1 ▼a 서은희, ▼e▼0 AUTH(211009)38710
700 1 ▼a 원영실, ▼e
700 1 ▼a 황은영,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0z1 2 등록번호 1115960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0z1 2 등록번호 1115960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교육학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과 교직과목을 이수하는 학생, 그리고 현직 교사를 포함한 교육과 학습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심리학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교육심리학적 지식이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4부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 부분인 1장은 교육심리학의 기초로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방법을 다룬다. 제1부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로 인지발달,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도덕성 발달, 지능, 창의성, 특수학습자, 학습자의 다양성 등 발달과 개인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부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로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수업이론, 동기 등 교수활동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이론을 다룬다. 제3부는 교수자에 대한 이해로 교사의 자질과 학급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이론을 통해서 유능한 교사, 숙련된 교사는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이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제4부는 평가로서 다양한 검사와 성적 평가 등에 대해 개괄해 본다. 각 장마다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함께 교육적 시사점을 다루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명희(지은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교육학과(학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석사)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심리학 전공(Ph.D.) 현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퇴임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2판 머리말 = 3
제1장 교육심리학의 기초 = 11
 1.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 = 12
  1) 전공에 관한 지식 = 12
  2) 교육에 관한 지식 = 13
  3) 학습자에 대한 헌신적 소명감 = 13
 2. 교육심리학의 성격 = 14
  1) 교육심리학의 정의 = 14
  2) 교육심리학의 역할 = 15
  3) 교육심리학의 영역 = 16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19
  1) 기술연구 = 20
  2) 상관연구 = 21
  3) 실험연구 = 23
제1부 학습자의 이해
 제2장 인지발달 = 29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30
   1) Piaget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 31
   2) Piaget 이론의 인지발달단계 = 33
   3) Piaget 이론의 비판점 = 42
   4) Piaget 이론의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 = 43
  2.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 44
   1) Vygotsky 인지발달이론의 개념 = 44
   2) Vygotsky 이론의 비판점 = 49
   3) Vygotsky 이론의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 = 49
  3. Piaget와 Vygotsky의 공통점과 차이점 = 50
   1) 아동과 발달에 대한 이해 = 51
   2) 인지발달과 학습 = 51
   3) 인지발달과 언어 = 51
 제3장 성격 및 사회성 발달 = 55
  1. 성격발달 = 56
   1)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 57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61
  2. 사회성 발달 = 72
   1)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2
   2) Selman의 사회적 조망수용이론 = 76
 제4장 도덕성 발달 = 81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 82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 83
   1) 도덕적 딜레마를 통해 본 도덕성 발달단계 = 85
   2) 교실에서의 시사점 = 89
   3) 교실에서 도덕적 딜레마 다루기 = 91
   4) Kohlberg 이론에 대한 비판 = 93
  3. Gilligan의 배려의 윤리 = 95
 제5장 지능 = 99
  1. 지능의 의미 = 100
  2. 지능이론 = 103
   1) 일반요인이론 = 103
   2) 다요인이론 = 104
   3) 다중지능이론 = 106
  3. 지능의 측정 및 검사점수의 의미 = 114
  4. 지능이론의 수업 적용 = 118
   1) Sternberg의 '지능의 삼원론' 수업 적용 = 118
   2)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수업 적용 = 119
 제6장 창의성 = 123
  1. 창의성의 개념 = 124
  2.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접근 = 126
   1) 창의적 인물 = 126
   2) 창의적 사고 과정 = 128
   3) 창의성과 지능과의 관계 = 130
   4) 창의성의 통합적 접근 = 132
  3. 창의성과 교육 = 133
   1) 가정에서의 창의성 개발 = 133
   2) 학교에서의 창의성 개발 = 134
  4. 창의적 검사 = 137
  5. 창의적 사고기법 = 138
   1) 포스트잇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 139
   2) 강제연결법 = 140
   3) SCAMPER = 141
 제7장 특수학습자 = 143
  1. 영재교육 = 144
   1) 영재의 의미 = 144
   2) 영재의 유형 = 148
   3) 영재의 판별 = 150
   4) 영재를 위한 교육 = 153
  2. 특수교육 = 155
   1) 지적장애 = 156
   2) 학습장애 = 158
   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160
   4) 정서ㆍ행동장애 = 163
 제8장 학습자의 다양성 = 167
  1. 학습유형 = 168
   1) Dunn과 Dunn의 학습유형 = 168
   2) 장독립형과 장의존형 = 171
   3) 좌뇌형과 우뇌형 = 173
   4) 숙고형과 충동형 = 174
   5) Kolb의 학습유형 = 176
  2. 성차 = 178
   1) 남녀 성차 = 178
   2) 성역할 발달 이론 = 179
   3) 성역할 고정관념 = 180
   4) 성역할 고정관념 피하기 = 182
  3. 다문화 = 183
   1) 다문화 교육의 의미 = 183
   2) 다문화 가정 = 184
   3) 교실에서의 적용 = 186
제2부 교수-학습의 이해
 제9장 행동주의 학습이론 = 191
  1. 고전적 조건형성 = 193
   1) 주요 개념 = 193
   2) 교육적 시사점 = 197
  2. 조작적 조건형성 = 198
   1) 주요 개념 = 198
   2) 교육적 시사점 = 207
  3. 사회학습이론 = 208
   1) 주요 개념 = 208
   2) 관찰학습 과정 = 212
   3) 자기조절 = 214
   4) 교육적 시사점 = 215
 제10장 인지주의 학습이론 = 217
  1. Tolman의 잠재학습 = 219
  2. 통찰학습 = 221
  3. 정보처리이론 = 223
   1) 감각기억 = 224
   2) 작업기억 = 225
   3) 장기기억 = 229
  4. 학습전략 = 233
   1) 청킹 전략 = 234
   2) 심상 전략 = 234
   3) 정교화 전략 = 234
   4) 맥락과 인출 전략 = 235
   5) 조직화 전략 = 235
   6) 인출연습 전략 = 236
  5. 학습의 전이 = 237
  6.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239
 제11장 동기화 = 241
  1. 동기화의 개념 및 역할 = 243
   1) 동기와 동기화 = 243
   2) 동기화의 역할 = 244
  2. 동기화 이론 = 246
   1) Maslow의 욕구위계 = 246
   2)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249
   3) 성취동기 = 252
   4) 귀인이론 = 259
 제12장 수업모형과 수업방법 = 267
  1. 수업모형 = 268
   1) Glaser의 수업모형 = 268
   2) Bruner의 수업이론 = 276
   3) Ausubel의 수업이론 = 279
   4) Gagn◆U00E9◆의 수업이론 = 282
  2. 수업방법 = 285
   1) 강의식 수업 = 285
   2) 토의식 수업 = 286
   3) 협동학습 = 288
   4) 문제중심학습 = 290
제3부 교수자의 이해
 제13장 교사의 자질 = 297
  1. 유능한 교사의 행동 특성 = 298
  2. 교사효능감 = 301
  3. 교사의 기대 = 304
   1) 교사의 기대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과 기대유지 효과 = 304
   2) 교사기대의 부정적 효과 피하기와 칭찬 = 307
 제14장 학급운영, 생활지도 및 상담 = 313
  1. 학급운영 = 314
   1) 학급운영의 계획과 실행 = 315
   2) 성공적인 학급운영의 기술 = 318
   3) 학급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320
  2. 생활지도 = 328
   1) 생활지도의 원리 = 328
   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 329
  3. 상담 = 332
   1) 정신분석적 접근 = 332
   2) 행동주의적 접근 = 333
   3) 합리-정서적 접근 = 335
   4) 인간중심적 접근 = 337
제4부 평가
 제15장 교육평가 = 343
  1. 평가의 목적 = 344
  2. 평가의 유형 = 347
   1)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 347
   2)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합평가 = 348
  3. 좋은 검사의 조건 = 348
   1) 신뢰도 = 349
   2) 타당도 = 351
   3) 실용도 = 353
  4. 검사 문항의 유형 = 353
   1) 선택형 문항 = 354
   2) 완성형과 단답형 문항 = 357
   3) 논술형 문항 = 357
  5. 수행평가 = 358
   1) 수행평가의 의미 = 358
   2) 수행평가의 설계와 채점 = 360
   3) 수행평가의 유형 = 362
  6. 표준화 검사 = 364
   1) 표준화 검사의 의미 = 364
   2) 표준화 검사의 해석 = 366
   3) 표준화 검사의 유형 = 367
참고문헌 = 373
찾아보기 = 389

관련분야 신착자료

장상호 (2023)
이용길 (2023)
小原國芳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