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91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764064 | |
005 | 20130903173006 | |
007 | ta | |
008 | 130903s2012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961818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2992193 | |
040 | ▼d 211009 | |
041 | 0 | ▼a kor ▼a ger |
082 | 0 4 | ▼a 401.41 ▼2 23 |
085 | ▼a 401.41 ▼2 DDCK | |
090 | ▼a 401.41 ▼b 2012z3 | |
100 | 1 | ▼a 이성만 ▼0 AUTH(211009)67514 |
245 | 1 0 | ▼a 미디어 언어의 텍스트화용론 / ▼d 이성만 지음 |
246 | 1 1 | ▼a Textpragmatics of media language |
260 | ▼a 광명 : ▼b 경진, ▼c 2012 | |
300 | ▼a 483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학술 ; ▼v 04 |
504 | ▼a 참고문헌(p. 445-476)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7-812-A00235)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독일어가 혼합수록됨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1 2012z3 | 등록번호 11170178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화용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간단히 말해서 ‘텍스트화용론’의 관점에서 미디어 텍스트에 독특한 언어학적 국면들을 다양한 분석 층위들과 관련해서 조명하였다. 특히 매스미디어에서의 언어적인 현상, 영상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언어-영상 복합체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주목할 것은 그동안 미디어 텍스트 분석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언어와 영상과의 관계, 그리고 미디어 텍스트 내부의 관계 및 미디어 텍스트들 간의 상호 관계이다.
특히 첫 번째 주제는 그동안 주로 광고언어의 기호학적 분석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미디어 텍스트, 예컨대 신문 텍스트와 텔레비전 텍스트에서의 문제는 특별한 관심을 끌지 못했다. 물론 광고는 저널리즘 텍스트들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는 다양한 기술 혁신을 통해 끊임없이 언어와의 새로운 만남, 더 정확히 말하면 ‘멀티미디어’ 텍스트의 생산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말하자면, 사회와 문화의 변화로 텍스트 종류들이 바뀌면서 견고함을 잃어버리기도 하는, 테마나 담론도 배타성을 잃어버리고 다른 것들과 다종다양하게 뒤섞일 수 있는, 미디어로 전달된 텍스트 종류들이 부단한 현대화와 상호 경쟁의 압력을 받는, 사회 구조가 바뀌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나 텍스트 종류들이 생성되는, 문자 텍스트와 구두 텍스트의 엄격한 구분이 어렵고 다양한 전이형태들이 양산되는 그런 시대이다.
이런 모든 시대적인 현상들은 언어학적 관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언어, 특히 미디어 텍스트 특유의 국면들을 다루면서 전통적인 매스미디어들의 언어, 곧 인쇄 미디어와 방송 미디어 분야의 언어뿐 아니라, 하이퍼미디어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형태, 그리고 언어와 영상의 상호작용 관계를 언론학이나 사회학의 관점이 아닌 화용언어학의 관점에서 조명하였다.이 책은 이런 화용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간단히 말해서 ‘텍스트화용론’의 관점에서 미디어 텍스트에 독특한 언어학적 국면들을 다양한 분석 층위들과 관련해서 조명하였다. 특히 매스미디어에서의 언어적인 현상, 영상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언어-영상 복합체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주목할 것은 그동안 미디어 텍스트 분석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언어와 영상과의 관계, 그리고 미디어 텍스트 내부의 관계 및 미디어 텍스트들 간의 상호 관계이다. 특히 첫 번째 주제는 그동안 주로 광고언어의 기호학적 분석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미디어 텍스트, 예컨대 신문 텍스트와 텔레비전 텍스트에서의 문제는 특별한 관심을 끌지 못했다. 물론 광고는 저널리즘 텍스트들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이 책은 이런 전통적인 매스미디어들의 언어 문제와 관련된 텍스트 종류들에만 매달리지 않고 이른바 블로그 같은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형태들(편지, 이메일, 채팅, SMS, 전화 등)도 다루면서 텍스트 유형화 작업도 병행하였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기존의 연구 방법과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5 서론 : 내용과 방법 = 11 제1장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기본 의미와 구성 요소 = 19 1.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장르 '저널리즘' = 19 2. 미디어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 22 3. 미디어 변형과 미디어 변환 = 24 4.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요소들 = 25 제2장 미디어 텍스트화용론: 개념과 방법 = 35 1.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도구 = 36 2.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기호 = 44 3. 미디어 커뮤니케이션과 행위 = 63 제3장 미디어 텍스트 유형학 = 85 1.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86 2. 미디어 특유의 텍스트 종류들 = 100 제4장 인쇄 미디어: 신문 보도 = 105 1. 행위로서의 텍스트 종류 = 108 2. 인지모형으로서의 텍스트 종류 = 109 3. 다층위 모델로서의 텍스트 종류 = 112 4. 신문 텍스트의 분류 기준과 유형학 = 117 5. 최근의 경향 = 133 6. 신문 텍스트에서 표제와 리드의 관계 = 142 7. 신문 텍스트 종류 '뉴스'의 거시구조 = 148 8. 텍스트 종류 '논평'의 텍스트 기능 = 159 제5장 방송 미디어: 방송 보도 = 201 1. 텍스트로서의 방송 보도 = 201 2. 라디오 텍스트의 기본 유형 = 206 3. 텔레비전 텍스트의 특징과 종류 = 216 제6장 미디어 텍스트에서 언어와 영상의 관계 = 243 1. 본문-영상의 텍스트성: 연구 경향 = 243 2. 기본 개념: 영상 = 252 3. 본문과 영상과의 관계 = 259 4. 언어-영상 텍스트의 텍스트성 = 271 5. 기능 속의 영상 기호 = 278 6. 시사 전문잡지에서의 본문-영상 관계 = 288 제7장 미디어 텍스트의 커뮤니케이션 관계 = 299 1. 상호 텍스트성 = 299 2. 텍스트와 상호 텍스트성의 관계 = 302 3. 미디어의 상호 텍스트성 = 324 4. 예시 분석 = 331 제8장 뉴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텍스트 종류 = 343 1. 매스미디어와 뉴미디어 = 343 2. 하이퍼텍스트 = 346 3. 온라인 신문과 온라인 잡지 = 349 4. 하이퍼텍스트의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 360 5. 하이퍼텍스트의 주제 구조 = 372 6.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형태 = 383 제9장 미디어와 언어 교육 = 413 1. 화용론적 텍스트 분석과 언어 수업 = 413 2. 화용론적 텍스트 분석 방안과 응용 가능성 = 414 3. 언어 수업을 위한 테제 = 434 결론 : 전망과 과제 = 437 참고문헌 = 445 찾아보기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