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00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63946 | |
005 | 20130902161342 | |
007 | ta | |
008 | 130902s2012 ulka b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02d ▼c 2012.13 | |
245 | 0 0 | ▼a 중국 도시 개발 정책 중 근대 건축유산에 대한 인식변화와 한국의 정책에 대한 인문학적 제언 / ▼d 장동천 [연구책임 ; ▼e 이현복, ▼e 남희정 연구] |
260 | ▼a 서울 : ▼b 경제·인문사회연구회, ▼c 2012 | |
300 | ▼a 132 p. : ▼b 삽화 ; ▼c 24 cm | |
440 | 1 0 | ▼a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연구총서 ; ▼v 2012-13 |
504 | ▼a 참고문헌: p. 125-132 | |
700 | 1 | ▼a 장동천, ▼e 연구책임 ▼0 AUTH(211009)61020 |
700 | 1 | ▼a 이현복, ▼e 연구 |
700 | 1 | ▼a 남희정, ▼e 연구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02d 2012.13 | Accession No. 1116999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요약문 3 1. 개황 : 중국의 근대건축 역사와 분포 6 (1) 역사 6 (2) 분포 10 1) 남부 연안 도시 12 2) 동남 연안 도시 15 3) 중부 연안 도시 17 4) 동북(만저우) 지역 도시 26 5) 내륙 지역 도시 33 6) 기타 35 2. 중국 근대건축군의 유형과 인문적 의미 37 (1) 정치적 영향에 따른 도시와 건축군의 분류 40 1) 외국 세력과의 관련성에 따른 건축 유형 40 2) 중국내 정치 세력과의 관련성에 따른 유형 42 (2) 건축물 용도에 따른 분류 43 1) 주택 44 2) 공업시설 50 3) 금융 및 상업시설 53 4) 문화시설 54 (3) 중국 근대건축과 도시의 인문적 의미 57 3. 중국 근대건축의 보존과 인식변화 68 (1) 중국 근대건축의 보존 의미 68 (2) 중국 근대건축 보존의 역사 83 1) 저조한 재개발에 따른 고건축의 유지 83 2) 적극적 재개발과 철거 시기 87 3) 인문적 가치의 발견과 보존의 법제화 90 (3) 근대건축 보호를 위한 규정과 보존 현황 92 1) 규정과 영향 92 2) 보존 현황 93 (4) 소결 -중국근대건축 유산에 대한 인식변화 102 4. 한국의 근대건축유산 보존 현황 및 중국과의 대비 104 (1) 한국의 근대건축의 발전과 분포 104 (2) 한국에서의 보존과 활용 현황 108 (3) 중국과 한국과의 대비 114 1) 공통점과 차이점 114 2) 활용의 전망 118 5. 결론 : 근대건축 보존과 인문학적 가치 125 참고문헌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