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 8
1장 기존 연구의 정리 및 방법론 = 13
1. 고대 아테네가 갖고 있던 시민의 세 가지 이미지 = 15
1) 첫 번째 이미지 : 토론하고 참여하는 적극적 시민 = 20
2) 두 번째 이미지 :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시민 계급 = 29
3) 세 번째 이미지 : 도시의 주민으로서 시민 = 34
2. 최근 한국에서의 연구 성과 정리 = 37
1) 시민 개념 연구 = 37
2) 유사 개념 연구 = 42
3. 방법론 : 코젤렉과 비판적 개념사의 결합 = 57
1) 코젤렉의 나침반을 들고 시민의 궤적을 쫓다 = 57
2) 코젤렉의 '역사적 기본 개념'의 네 가지 특성 = 59
3) 비판적 개념사 = 62
2장 해방 이전 시민 개념의 등장과 변화 과정 = 65
1.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1897-1910)까지 시민 개념의 변천사 = 67
1) 시민 : 육의전(六矣廛)의 상인 또는 저자(市井)의 백성 = 67
2) 시민의 기능과 역할 : 수탈과 특권의 이중성 = 70
3) 갑오개혁 이후 시민 개념의 변화 = 79
2. 주권 부재의 식민시대 : 시민 개념의 확장과 공민 개념의 등장 = 83
1) 시전 상인에서 도시 주민으로의 개념 확장 = 83
2) 공민 개념의 등장 = 87
3) 서구 시민 개념의 유입과 근대 시민의 맹아적 발현 = 94
3. 소결 : 시민의 뿌리를 찾아서 = 112
3장 국민국가의 형성과 산업화 시대의 시민 개념 = 117
1. 해방 이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의 시민 개념(1945-1959) = 119
1) 보편적 선거제도의 도입과 행정체제의 개편 = 119
2) 미국식 자유민주주의의 영향 : 사회과(社會科)의 도입과 공민 개념의 변화 = 123
2. 시민 개념의 역사적 분기점 : 4ㆍ19 혁명 = 143
1) 경험공간과 기대지평의 간극에 대한 최초의 집단적 자각 = 143
2) 좌절된 시민혁명과 원자화된 개인으로의 후퇴 : 소시민 개념의 부상 = 153
3. 산업화 시대 : '시민'없는 시민의식의 강조 = 159
1) 1960년대의 민주시민 '교육' = 159
2) 1970년대 유신체제와 관주도 시민 개념의 형성 = 169
4. 소결 : 시민 개념을 둘러싼 두 개의 전선(戰線)이 형성되다 = 186
4장 민주화 시대의 시민 개념 = 193
1. 80년 광주민주화운동과 87년 6월 항쟁 : 시민 개념의 복원 = 195
1) 광주민주화운동 : 저항의 주체로서 시민의 탄생 = 195
2) 광주의 전국화로서 6월 민주화운동과 넥타이 부대의 출현 = 203
2. 민중과 시민 개념이 격돌한 1980년대 = 210
3. NGO의 분출과 시민시대의 개막 = 219
4. 소결 : 민중에서 시민으로의 100년 동안의 진화 = 226
5장 지나간 미래 : 시민 개념의 내일 = 233
1. 촛불시민 논쟁 = 235
2. 미래 시민상의 진보적 분화 = 239
1) 생활정치와 심의 민주주의의 '성찰적 시민' = 239
2) 공화국의 자유 시민 = 243
3) 세계시민 = 249
4) 자본의 '제국'에 대항하는 '다중' = 254
3. 소결 : 멈추지 않는 시민 개념의 진보적 분화 과정 = 262
6장 결론 :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 267
1. 한국의 시민 개념의 네 가지 특성 = 269
1) 시민 개념의 시간화, 그리고 경험공간과 기대지평의 변증법 = 270
2) 시민 개념의 민주화와 말안장의 시기 = 273
3) 시민 개념의 이데올로기화 : 신좌파와 시민정치의 등장 = 276
4) 시민 개념의 정치화 : 두 개의 전선에서 생환(生還)하다 = 279
2. 비판적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시민 개념의 미래 = 283
보론 : 동아시아 공민(公民) 개념의 비교 연구 서설 = 287
Ⅰ. 공민 개념의 비교 연구의 의의 = 289
Ⅱ. 한국의 공민 개념 = 290
1. 조선과 일제시대 : 신민(臣民)으로서의 공민 = 290
2. 해방 이후 사회과(社會科)의 도입과 공민 개념의 변화 = 294
3. 공민으로 시민으로 : 4ㆍ19 혁명으로 인한 개념의 단절적 변화 = 296
Ⅲ. 일본의 공민 개념 = 297
Ⅳ. 중국의 공민 개념 = 301
1. 도덕과 규율을 강조하는 사회주의 공민 = 301
2. 중국식 시민사회와 시민 개념의 대두 = 305
Ⅴ. 북한의 공민 개념 = 307
Ⅵ. 결론 = 311
참고문헌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