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시민의 탄생과 진화 :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시민의 탄생과 진화 :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상호
서명 / 저자사항
시민의 탄생과 진화 :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 How Koreans have become civic / 정상호
발행사항
춘천 :   한림대학교출판부,   2013  
형태사항
331 p. ; 23 cm
ISBN
9788964020302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19-331
000 00814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63657
005 20130830092418
007 ta
008 130828s2013 gak b KA 000c kor
020 ▼a 9788964020302 ▼g 93300
035 ▼a (KERIS)BIB000013220541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23.609519 ▼2 23
085 ▼a 323.60953 ▼2 DDCK
090 ▼a 323.60953 ▼b 2013
100 1 ▼a 정상호 ▼0 AUTH(211009)98721
245 1 0 ▼a 시민의 탄생과 진화 : ▼b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 ▼x How Koreans have become civic / ▼d 정상호
260 ▼a 춘천 : ▼b 한림대학교출판부, ▼c 2013
300 ▼a 331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19-331
536 ▼a 이 저서는 2008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 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60953 2013 등록번호 11170142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상호(지은이)

한양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11년부터 청주의 서원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는 진보적 학술단체인 한국정치연구회 회장과 한국정치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의 탄생과 진화』(2014)와 『한국시민사회사_산업화기1961~1986』(2017)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내면서 = 8
1장 기존 연구의 정리 및 방법론 = 13
 1. 고대 아테네가 갖고 있던 시민의 세 가지 이미지 = 15
  1) 첫 번째 이미지 : 토론하고 참여하는 적극적 시민 = 20
  2) 두 번째 이미지 :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시민 계급 = 29
  3) 세 번째 이미지 : 도시의 주민으로서 시민 = 34
 2. 최근 한국에서의 연구 성과 정리 = 37
  1) 시민 개념 연구 = 37
  2) 유사 개념 연구 = 42
 3. 방법론 : 코젤렉과 비판적 개념사의 결합 = 57
  1) 코젤렉의 나침반을 들고 시민의 궤적을 쫓다 = 57
  2) 코젤렉의 '역사적 기본 개념'의 네 가지 특성 = 59
  3) 비판적 개념사 = 62
2장 해방 이전 시민 개념의 등장과 변화 과정 = 65
 1.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1897-1910)까지 시민 개념의 변천사 = 67
  1) 시민 : 육의전(六矣廛)의 상인 또는 저자(市井)의 백성 = 67
  2) 시민의 기능과 역할 : 수탈과 특권의 이중성 = 70
  3) 갑오개혁 이후 시민 개념의 변화 = 79
 2. 주권 부재의 식민시대 : 시민 개념의 확장과 공민 개념의 등장 = 83
  1) 시전 상인에서 도시 주민으로의 개념 확장 = 83
  2) 공민 개념의 등장 = 87
  3) 서구 시민 개념의 유입과 근대 시민의 맹아적 발현 = 94
 3. 소결 : 시민의 뿌리를 찾아서 = 112
3장 국민국가의 형성과 산업화 시대의 시민 개념 = 117
 1. 해방 이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의 시민 개념(1945-1959) = 119
  1) 보편적 선거제도의 도입과 행정체제의 개편 = 119
  2) 미국식 자유민주주의의 영향 : 사회과(社會科)의 도입과 공민 개념의 변화 = 123
 2. 시민 개념의 역사적 분기점 : 4ㆍ19 혁명 = 143
  1) 경험공간과 기대지평의 간극에 대한 최초의 집단적 자각 = 143
  2) 좌절된 시민혁명과 원자화된 개인으로의 후퇴 : 소시민 개념의 부상 = 153
 3. 산업화 시대 : '시민'없는 시민의식의 강조 = 159
  1) 1960년대의 민주시민 '교육' = 159
  2) 1970년대 유신체제와 관주도 시민 개념의 형성 = 169
 4. 소결 : 시민 개념을 둘러싼 두 개의 전선(戰線)이 형성되다 = 186
4장 민주화 시대의 시민 개념 = 193
 1. 80년 광주민주화운동과 87년 6월 항쟁 : 시민 개념의 복원 = 195
  1) 광주민주화운동 : 저항의 주체로서 시민의 탄생 = 195
  2) 광주의 전국화로서 6월 민주화운동과 넥타이 부대의 출현 = 203
 2. 민중과 시민 개념이 격돌한 1980년대 = 210
 3. NGO의 분출과 시민시대의 개막 = 219
 4. 소결 : 민중에서 시민으로의 100년 동안의 진화 = 226
5장 지나간 미래 : 시민 개념의 내일 = 233
 1. 촛불시민 논쟁 = 235
 2. 미래 시민상의 진보적 분화 = 239
  1) 생활정치와 심의 민주주의의 '성찰적 시민' = 239
  2) 공화국의 자유 시민 = 243
  3) 세계시민 = 249
  4) 자본의 '제국'에 대항하는 '다중' = 254
 3. 소결 : 멈추지 않는 시민 개념의 진보적 분화 과정 = 262
6장 결론 :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 267
 1. 한국의 시민 개념의 네 가지 특성 = 269
  1) 시민 개념의 시간화, 그리고 경험공간과 기대지평의 변증법 = 270
  2) 시민 개념의 민주화와 말안장의 시기 = 273
  3) 시민 개념의 이데올로기화 : 신좌파와 시민정치의 등장 = 276
  4) 시민 개념의 정치화 : 두 개의 전선에서 생환(生還)하다 = 279
 2. 비판적 개념사의 관점에서 본 시민 개념의 미래 = 283
보론 : 동아시아 공민(公民) 개념의 비교 연구 서설 = 287
 Ⅰ. 공민 개념의 비교 연구의 의의 = 289
 Ⅱ. 한국의 공민 개념 = 290
  1. 조선과 일제시대 : 신민(臣民)으로서의 공민 = 290
  2. 해방 이후 사회과(社會科)의 도입과 공민 개념의 변화 = 294
  3. 공민으로 시민으로 : 4ㆍ19 혁명으로 인한 개념의 단절적 변화 = 296
 Ⅲ. 일본의 공민 개념 = 297
 Ⅳ. 중국의 공민 개념 = 301
  1. 도덕과 규율을 강조하는 사회주의 공민 = 301
  2. 중국식 시민사회와 시민 개념의 대두 = 305
 Ⅴ. 북한의 공민 개념 = 307
 Ⅵ. 결론 = 311
참고문헌 = 3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