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57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62328 | |
005 | 20130822180816 | |
007 | ta | |
008 | 130821s2012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5832794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837227 | |
040 | ▼a 248003 ▼c 211035 ▼d 211035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926 ▼2 23 |
085 | ▼a 371.926 ▼2 DDCK | |
090 | ▼a 371.926 ▼b 2012 | |
100 | 1 | ▼a Coil, Carolyn ▼0 AUTH(211009)92141 |
245 | 1 0 | ▼a 학습코칭 : ▼b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220가지 전략 / ▼d 캐롤린 코일 지음 ; ▼e 정종진 옮김 |
246 | 1 9 | ▼a Motivating underachievers : ▼b 220 strategies for success ▼g (rev. and expanded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2 | |
300 | ▼a 162 p. : ▼b 삽화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161-162 | |
650 | 0 | ▼a Motivation in education ▼v Handbooks, manuals, etc |
650 | 0 | ▼a Activity programs in education ▼v Handbooks, manuals, etc |
650 | 0 | ▼a Underachievers |
650 | 0 | ▼a Teaching ▼v Aids and devices |
650 | 0 | ▼a Teaching ▼v Handbooks, manuals, etc |
700 | 1 | ▼a 정종진, ▼e 역 ▼0 AUTH(211009)41903 |
900 | 1 0 | ▼a 코일, 캐롤린,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926 2012 | 등록번호 11170112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6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926 2012 | 등록번호 1117011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습부진의 원인을 지적하고, 학습부진아들을 지도하는 데 효과적인 220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제1장 '서론 : 학습부진아', 제2장 '자존감의 형성', 제3장 '공부기술의 개선과 학업결함의 처방', 제4장 '동기유발 : 학업성취의 중요한 요소', 제5장 '학습부진아의 부모와 협력하기', 제6장 '학교체제 내의 융통성과 변화'로 구성되었다.
학습부진은 교사와 학부모들 사이에서 관심을 갖고 널리 사용되지만,
그 의미에 대해서는 다소 다르게 이해되고 있는 교육적 용어 중 하나다.
어떤 의미에서 인간은 모두가 학습부진아다. 왜냐하면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자신의 총체적 두뇌역량 가운데 일부만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습부진 학생들은 그들의 능력과 그들이 교실에서 수행하고 성취하고 있는 것 사이에
큰 간격이 있다. 다시 말해서, 학습부진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만큼 충분히
학업성취도를 보이지 못하는 학생들이다.
이 책에서 저자 캐롤린 코일은 학습부진의 원인을 지적하고,
다음과 같은 영역에 걸쳐 학습부진아들을 지도하는 데 효과적인
220가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학습부진아 = 13 학습부진아, 그는 누구인가? = 13 학습부진, 그것의 의미는? = 15 학습부진아의 특성 = 17 제2장 자존감의 형성 = 23 자아개념의 변화에 관한 몇 가지 생각들 = 23 긍정적 의사소통과 올바른 칭찬 : 자존감 형성의 기초 = 27 학생들의 자기발견, 어떻게 도울 것인가? = 36 제3장 공부기술의 개선과 학업결함의 처방 = 5 공부기술의 개선 = 57 학업결함의 처방 = 98 제4장 동기유발 : 학업성취의 중요한 요소 = 107 동기, 그 개념과 교육적 의미는? = 108 동기의 파괴자 = 109 동기유발을 위한 전략 개발 = 110 제5장 학습부진아의 부모와 협력하기 = 141 제6장 학교체제 내의 융통성과 변화 = 151 참고문헌 =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