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40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762325 | |
005 | 20130822145158 | |
007 | ta | |
008 | 130822s2011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2181944 | |
035 | ▼a (KERIS)BIB000012617358 | |
040 | ▼a 247017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42 ▼2 23 |
085 | ▼a 616.89142 ▼2 DDCK | |
090 | ▼a 616.89142 ▼b 2011z3 | |
100 | 1 | ▼a Spiegler, Michael D. ▼0 AUTH(211009)33148 |
245 | 1 0 | ▼a 최신행동치료 / ▼d Michael D. Spiegler, ▼e David C. Guevremont 지음 ; ▼e 강영심, ▼e 황순영 옮김 |
246 | 1 9 | ▼a Contemporary behavior therapy ▼g (5th ed.) |
260 | ▼a 서울 : ▼b 센게이지러닝코리아, ▼c 2011 | |
300 | ▼a xvi, 459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387]-45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Behavior therapy |
700 | 1 | ▼a Guevremont, David C., ▼d 1959-, ▼e 저 ▼0 AUTH(211009)65537 |
700 | 1 | ▼a 강영심, ▼e 역 |
700 | 1 | ▼a 황순영,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2 2011z3 | 등록번호 11170115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2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2 2011z3 | 등록번호 1117011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Michael D.Spiegler(지은이)
현재 Venderbilt 대학의 임상심리학 교수로 Providence 대학의 심리학 교수, Palo Alto VQ 병원의 지역훈련 센터장, Austin의 Texas 대학에서 심리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저자는 만성적 정신장애치료법으로 기술훈련과 영화 모델링을 개발한 선구자로, 관찰학습, 불안, 비만치료, 능동적 학습에 관하여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적 저서로는 Personality: Strategies and Issues and The Community Training Center가 있다.
황순영(지은이)
부산대학교 특수교육학 박사 현 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강영심(옮긴이)
부산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전공, 지적장애 인지개발)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치고 1995년부터 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뇌신경생물학과 트라우마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자기치유의 작업을 하고 있으며, 휄든크라이스 MBS 교사, EMDR 치료사, TRE 프로바이더, 예술심리상담가로서 특수교육자, 장애인과 가족 등 다양한 내담자를 만나고 있다.

목차
목차 PART 1 행동치료의 기본 원리 제1장 행동치료: 도입 = 3 용어와 범위 = 5 행동치료란 무엇인가? = 5 과학적 = 5 능동적 = 6 현재중심 = 7 학습중심 = 7 행동치료의 기타 공통적 특징 = 7 행동치료에서 치료사와 내담자와의 관계 = 8 여러 가지 다양한 행동치료 = 9 행동치료에서의 윤리적 문제 = 11 본서의 목적 = 12 요약 = 12 제2장 현대 행동치료의 역사 = 15 역사적 선구자들 = 16 초기 실험적 연구 = 17 정신분석학에 대한 불만의 증대 = 19 현대 행동치료의 공식적인 등장 = 20 북아메리카에서의 발달 = 20 남아프리카에서의 발달 = 22 영국에서의 발달 = 22 행동치료에 대한 초기 윤리적 논쟁 = 23 행동치료의 성장과 수용 = 24 행동치료의 출현 = 25 요약 = 26 제3장 행동 모델 = 29 행동은 그 사람을 나타낸다: 행동의 표출성 = 30 외현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 = 30 내면적 행동: 특별히 고려할 사항 = 31 행동적 기술과 특성적 기술 = 32 왜 그와 같이 행동하는가? = 34 ABC 모델 = 35 현재 유지조건과 과거 시발조건의 차이 = 39 학습과 환경 대 유전과 생물학 = 40 요약 = 42 제4장 행동치료과정 = 45 사례4-1에 나타난 행동치료의 특성과 일반적 특징을 살표보기 = 48 행동치료 과정: 개요 = 49 1단계: 문제를 명료하하기 = 51 2단계: 초기 치료목표를 수립하기 = 51 3단계: 표적행동 설계하기 = 52 바람직한 표적행동의 특징 = 52 표적행동의 두 가지 유형: 증가와 감소 = 53 4단계: 표적행동의 유지조건 확인하기 = 58 5-6단계: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 58 7-8단계: 치료의 성공과 추후평가 = 59 행동치료 연구 = 60 사례 연구 = 60 단일대상 연구 = 60 반전 연구 = 61 중다 기초선 연구 = 62 실험 연구 = 64 유사실험 연구 = 65 효과적인 행동치료의 구성요소 = 67 변화의 유의미성 = 67 변화의 전이와 일반화 = 68 변화의 지속성 = 68 치료의 수용성 = 69 요약 = 69 제5장 행동평가 = 71 중다방식과 중다양식 평가 = 72 행동평가의 특성 = 74 개별화 = 75 현재 초점 = 76 직접적인 관련행동 표집 = 76 문제에 한정된 초점 = 77 치료와 통합 = 77 행동적 면담 = 77 직접적 자기보고양식 검사 = 79 자기기록 = 81 반응성 = 83 행동 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 = 86 체계적 자연관찰 = 88 모의관찰 = 91 역할놀이 = 93 생리적 측정 = 94 행동평가의 고려사항 = 98 요약 = 99 PART 2 행동치료의 실제 제6장 행동증가치료: 자극통제와 강화 = 103 자극통제: 행동을 유발시키는 선행자극의 통제방법 = 104 촉진법 = 104 환경적 사태 = 105 자극통제법의 전망 = 106 강화: 행동을 촉진시키는 후속결과 = 107 강화란 무엇인가? = 107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 = 108 정적 강화제의 유형 = 109 프리맥 원리 = 112 강화제를 확인하는 방법 = 114 강화제를 확인하는 대안적인 방법 = 118 강화제의 제공 = 118 형성법 = 121 강화치료의 전망 = 123 요약 = 124 제7장 행동감소치료: 차별강화, 벌, 혐오치료 = 127 차별강화: 간접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시킨는 전략 = 128 상반행동 차별강화 = 128 경쟁행동 차별강화 = 129 타 행동 차별강화 = 129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 = 130 차별강화의 변형 = 130 행동감소치료: 직접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줄이는 방법 = 132 벌 = 132 소거 = 132 정적 강화로부터의 타임아웃 = 135 반응대가 = 137 과잉교정 = 140 신체적 혐오 = 142 후속결과중심 감소치료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지침 = 145 혐오치료 = 146 기본적 절차 = 146 내면적 민감화 = 148 혐오치료 사용에 대한 유리적인 이슈 = 149 행동치료에 사용되는 혐오치료에 관한 오해 = 149 유용성 원리 = 150 오용, 남용, 그리고 보호책 = 151 행동감소치료 실시 시 고려사항 = 152 요약 = 153 제8장 강화와 벌의 결합: 토큰경제, 조건부 계약 및 행동적 아동관리훈련 = 155 토큰경제 = 156 토큰경제란 무엇인가? = 156 기본 요소 = 156 지역공동체훈련센터: 만성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토큰경제 = 157 성취의 집: 법적 문제를 일으킨 비행 청소년들을 위한 토큰경제 = 161 정신지체인을 훈련시키기 위한 토큰경제 = 164 교실에서의 토큰경제 = 165 개별 토큰경제 = 166 조건부 계약 = 173 행동적 아동관리훈련 = 175 요약 = 177 제9장 노출치료: 단기적/점진적 노출치료 = 179 다양한 노출치료 = 180 체계적 둔감법 = 181 불안의 경쟁적 반응인 근육이완 = 181 불안위계표 작성하기 = 183 둔감화 과정 = 186 체계적 둔감법의 필수요소와 촉진요소 = 187 체계적 둔감법의 다양한 적용 = 188 기타 경쟁적 반응 = 188 다른 표적행동들 = 189 집단적 체계적 둔감법 = 190 대처 둔감법 = 190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내수용기 노출 = 191 체계적 둔감법의 전망 = 191 체계적 둔감법의 효율성 = 192 체계적 둔감법의 효과성 = 192 실생활 노출치료 = 195 자기주도 실생활 노출법 = 196 실생활 노출치료의 전망 = 198 가상현실 노출치료 = 199 요약 = 201 제10장 노출치료: 장기적/집중적 노출치료 = 203 실생활 홍수법 = 204 반응제지법 = 205 가상 홍수법 = 206 내파치료 = 208 안구운동 둔감법과 재처리 = 210 노출치료의 전망 = 212 요약 = 213 제11장 모델링 치료: 대리적 소거와 기술훈련 = 215 내가 하는 것을 해보아라: 모델링의 기초 = 216 자기모델링 = 219 모델링 치료의 특성 = 220 대리적 소거: 모델링으로 공포를 감소시키기 = 221 공포감소를 위한 실물 모델링 = 222 공포감소를 위한 영화/비디오 모델링 = 224 공포와 다른 부적 감정 감소를 위한 스토리텔링 = 224 기술훈련 = 227 기술훈련을 통한 유괴 및 성적 학대 예방 = 229 사회적 기술훈련 = 231 주장훈련 = 234 모델링 치료의 전망 = 240 요약 = 241 제12장 인지-행동치료: 인지적 재구조화 = 243 인지-행동치료의 특성 = 244 인지의 조직화: 내면적 사고를 밖으로 드러내기 = 245 인지 평가하기 = 246 사고중지법 = 248 사고중지법의 올바른 이해 = 249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 249 심리장애의 합리적 정서이론 = 250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의 과정 = 252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의 올바른 이해 = 257 인지치료 = 258 심리장애의 인지치료이론 = 258 인지치료의 과정 = 259 인지적 중재 = 260 외현적 행동중재 = 262 도식중심의 인지치료 = 265 인지치료의 전망 = 266 요약 = 267 제13장 인지-행동치료: 대처기술 = 269 자기-교수훈련 = 270 자기-교수훈련의 효과 증진시키기 = 274 자기-교수훈련의 전망 = 274 문제해결 치료/훈련 = 275 기본 절차 = 275 내담자에게 문제해결 기술 가르치기 = 278 아동을 위한 문제해결 치료/훈련 = 279 문제해결 치료/훈련의 전망 = 280 스트레스 면역훈련 = 281 기본 절차 = 281 스트레스 면역훈련의 전망 = 285 인지-행동 커플 치료 = 286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기술훈련 = 286 긍정적 행동 서로 주고받기 = 287 인지적 재구조화 훈련 = 288 통합행동 커플 치료와 수용 = 288 고려사항: 대처기술치료 = 290 고려사항: 인지-행동치료 = 290 요약 = 291 제14장 3세대 행동치료 = 293 3세대 행동치료의 핵심주제 = 294 심리적 건강에 관한 확장된 견해 = 294 치료에서 수용 가능한 결과에 대한 폭넓은 관점: 이차적 변화를 중심으로 = 296 수용 = 296 마음챙김 = 297 가치 있는 삶 창조하기 = 298 수용 전념 치료 = 305 ACT 변화과정 = 299 ACT 접근 = 304 변증법적 행동치료 = 305 경계선급 인격장애의 DBT 생물사회학적 이론 = 305 DBT 핵심 치료 전략 = 306 DBT 치료 양식 = 307 변증법적 설득 = 309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전망 = 311 마음챙김을 이용한 인지치료 = 311 MBCT 접근과 중재 전략 = 313 MBCT 집단훈련 프로그램 = 313 마음챙김을 이용한 인지치료의 전망 = 315 고려사항: 3세대 행동치료 = 315 요약 = 316 PART 3 신체적 문제에 적용과 행동치료의 전망 제15장 의학적 질환의 행동치료 = 321 의학적 질환의 치료 = 322 본태성 고혈압 = 322 만성 통증 = 327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들 = 333 의학적 처방 준수하기 = 334 약물복용하기 = 335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행동 = 336 진료 약속 지키기 = 337 의료적/치과치료와 질병에 대처하기 = 337 신체적 질환의 예방 = 339 심장혈관질환 = 339 여성 건강관리 = 340 HIV/에이즈 = 340 고려사항 = 341 요약 = 342 제16장 신체적 문제에 동반한 심리장애의 행동치료 = 345 유뇨증 = 346 배뇨알람 = 347 마른 침대 훈련 = 347 마른 속옷 훈련 = 351 틱장애와 신경성 습관 = 351 틱행동의 습관전환 = 352 신경성 습관행동의 습관전환 = 353 불면증 = 354 영ㆍ유아의 수면문제 = 355 성인불면증 = 356 신경성 폭식증 = 359 고려사항 = 361 요약 = 362 제17장 행동치료의 이점 및 도전과제 = 365 행동치료의 이점 = 366 구체적인 목표, 표적행동, 치료절차의 명확성 = 366 효과성과 책무성 = 366 효율성 = 367 적용의 포괄성과 복합성 = 368 윤리적인 실천 = 369 도전과제 = 369 변화의 지속성을 강화하기 = 370 심리장애와 문제 예방하기 = 371 행동치료에 공학 적용하기 = 372 검증된 행동치료법의 적용 확대하기 = 373 고려사항 = 375 요약 = 376 용어해설 = 377 참고문헌 = 387 찾아보기 =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