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럽연합 : 연속성과 정체성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장붕익, 저 김용민, 저 김일곤, 저 송병준, 저 이선필, 저
Title Statement
유럽연합 : 연속성과 정체성 = European Union : continuity & identity / 장붕익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Huebooks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Physical Medium
287 p. : 연표 ; 23 cm
Series Statement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유럽연합총서 ;2
ISBN
9788974647544 9788974646912 (세트)
General Note
공저자: 김용민, 김일곤, 송병준, 이선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1-[272])과 색인수록
000 00976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761910
005 20130820133342
007 ta
008 130307s2013 ulkj b AU 001c kor
020 ▼a 9788974647544 ▼g 94920
020 1 ▼a 9788974646912 (세트)
035 ▼a (KERIS)BIB000013116300
040 ▼a 241047 ▼d 211059 ▼d 211009
082 0 4 ▼a 341.2422 ▼2 23
085 ▼a 341.2422 ▼2 DDCK
090 ▼a 341.2422 ▼b 2013
245 0 0 ▼a 유럽연합 : ▼b 연속성과 정체성 = ▼x European Union : continuity & identity / ▼d 장붕익 [외]
260 ▼a 서울 : ▼b Huebooks : ▼b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c 2013
300 ▼a 287 p. : ▼b 연표 ; ▼c 23 cm
440 0 0 ▼a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유럽연합총서 ; ▼v 2
500 ▼a 공저자: 김용민, 김일곤, 송병준, 이선필
504 ▼a 참고문헌(p. 271-[272])과 색인수록
700 1 ▼a 장붕익, ▼e▼0 AUTH(211009)36757
700 1 ▼a 김용민, ▼e
700 1 ▼a 김일곤, ▼e
700 1 ▼a 송병준, ▼e▼0 AUTH(211009)83405
700 1 ▼a 이선필, ▼e▼0 AUTH(211009)106559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1.2422 2013 Accession No. 11170072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과 유럽연합은 2011년 7월 자유무역협정 및 기본협정서 발효를 통해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이는 자유무역을 통한 상호번영과 사회, 교육, 문화, 환경, 안보 등 제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해 국제사회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유럽연합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유럽통합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담고 있는 이 책은 더욱 밀접해지고 있는 한-EU 관계 속에서 매우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과 유럽연합은 2011년 7월 자유무역협정 및 기본협정서 발효를 통해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이는 자유무역을 통한 상호번영과 사회, 교육, 문화, 환경, 안보 등 제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해 국제사회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유럽통합이라는 초유의 실험은 전 세계 국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다. 21세기 국제화 시대는 과거의 국가 주도의 역학관계를 넘어선 다자관계 속의 폭 넓은 합의와 협력을 통한 신질서 구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유럽연합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전략적 동반자이다.
유럽연합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유럽통합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담고 있는 이 책은 더욱 밀접해지고 있는 한-EU 관계 속에서 매우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용민(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시카고 대학교 정치학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플라톤은 내 머리에, 루소는 내 가슴에, 키케로는 내 혀 위에”라는 모토를 지니고 정치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정치사상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저로 『루소의 정치철학』(2004)이 있고, 『루소, 정치를 논하다』(공저, 2017),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공저, 2007) 등 많은 편저와 논문이 있다.

송병준(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이선필(지은이)

이탈리아에서 유럽정치를 전공한 백면서생이 몇 년 전 어느 날 갑자기 애견 학원을 개원하면서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 개들과 부대끼고 어느덧 우리 집 서열 1위가 된 ‘일월이’와 함께 살게 되면서 동물권과 반려 문화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서울 양재동에서 애견 옷 학원과 애견 수제 간식 학원을 운영하며 한국외대에서 <동물복지의 인문학> 교양 강의를 하고 있다.

장붕익(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네덜란드어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HUFS-HRI EU Center) 소장 네덜란드 레이덴 대학교 Doctorandus

김일곤(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EU 조약 연구단 전임연구원 - 저서 및 논문 󰡔주요국 사용자단체의 현황과 역할 비교분석󰡕(공저, 2020) 「유럽연합(EU)의 노동시장규제와 산업보조금에 관한 회원국 선호의 연구: 영국과 독일의 생산레짐을 중심으로」(Ph. D.) 「포스트 포디즘적 노동시장개혁과 가족정책: 영국과 독일을 중심으로」(2020) 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유럽통합의 사상과 역사 
 제1장 '유럽'의 탄생과 배경 
  1. '유럽'의 탄생 = 3 
  2. 역사 속의 유럽통합 사상 = 5 
 제2장 냉전과 유럽통합 
  1. 민족국가의 위기와 유럽통합 = 10 
  2. 냉전과 유럽협력 = 13 
  3. 성공한 공동체와 실패한 공동체 = 15 
 제3장 유럽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1. 로마조약 = 23 
  2. 드골, 케네디, 유럽공동체 = 27 
  3. 유럽통합의 위기와 발전 = 32 
  4. 유럽회의주의와 낙관주의 = 40 
 제4장 유럽연합의 탄생과 발전 
  1. 마스트리히트조약 = 49 
  2. 경제통화동맹과 단일화폐 = 55 
  3. 유럽연합의 심화와 확대 = 56 
  4. 유럽헌법과 리스본조약 = 60 
제2부 유럽연합의 기구와 운영 
 제5장 유럽연합의 정책결정기구 
  1. 유럽연합의 기구 구성 = 67 
  2. 유럽위원회 = 70 
  3. 이사회 = 78 
 제6장 유럽연합의 입법, 사법 및 자문기구 
  1. 유럽의회 = 88 
  2. 유럽연합 사법재판소 = 96 
  3. 유럽경제사회위원회와 지역위원회 = 101 
 제7장 유럽연합의 정책결정과정 
  1. 정책결정 유형 = 106 
  2. 공동체 방식 = 111 
  3. 회원국간 조정과 개방적 조정 = 116 
 제8장 유럽연합의 제도적 구조와 운영 
  1. 유럽연합의 조약 = 123 
  2. 유럽연합과 회원국의 권한 = 129 
  3. 유럽연합의 예산 = 134 
제3부 유럽연합의 경제정책과 유로화 
 제9장 유럽연합의 단일시장 
  1. 단일시장 계획 = 143 
  2. 단일시장정책 = 148 
  3. 단일시장 운영 = 154 
 제10장 경제통화동맹의 형성과 운영 
  1. 경제통화동맹의 형성 = 160 
  2. 유로존과 유럽중앙은행 = 166 
  3. 유로존 정책 = 171 
제4부 유럽연합의 제 정책 
 제11장 유럽연합의 공동통상정책 
  1. 공동통상정책의 발전 및 특징 = 179 
  2. 공동통상정책의 운영 = 187 
  3. 유럽연합의 FTA 정책 = 190 
 제12장 유럽연합의 결속정책 
  1. 지역정책 = 195 
  2. 공동농업정책 = 207 
  3. 리스본 전략과 고용정책 = 216 
 제13장 유럽연합의 기타 공동정책 
  1. 환경정책 = 224 
  2. 인권정책 = 234 
  3. 인도적 지원과 대외원조 = 240 
  4. 공동외교안보정책 = 247 
  5. 유럽연합의 내무사법협력 = 260 
참고문헌 = 271 
찾아보기 = 273 
유럽통합 연표 = 28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