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심리검사의 의미 종류 역사
1. 심리검사의 의미 = 15
1) 측정 = 15
2) 평가 = 15
3) 검사 = 16
4) 심리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 = 16
5) 심리검사 = 16
2. 심리검사의 종류 = 16
3. 심리검사의 역사 = 17
1) 초창기 = 17
2) Galton = 18
3) Cattell = 18
4) Binet = 18
5) 집단검사 = 19
6) 적성검사 = 19
7) 표준화 성취도 검사 = 20
8) 성격검사 = 20
제2장 관련 통계학
1. 측정치의 성질 = 23
1) 명명성 측정치 = 23
2) 서열성 측정치 = 23
3) 동간성 측정치 = 24
4) 비율성 측정치 = 24
5) 행동과학 측정치들의 성질 = 24
2. 평균 = 25
1) 단순 빈도분포의 평균 = 25
2) 묶음 빈도분포의 평균 = 25
3. 표준편차 = 26
1) 의미 = 26
2) 표준편차의 계산 = 26
3) 표준편차의 성질 = 28
4. 표준점수 = 28
5. 변형 표준점수 = 30
6. 백분율 = 31
7. 구간점수(stanine score) = 32
8. 표준점수와 비율 = 33
1) 정상분포 = 33
2) 정상분포와 비율 = 33
3) 비율에 해당하는 점수 구하기 = 34
4) 변형 표준점수와 비율 = 35
9. 단순 상관 = 37
1) 상관의 형태 = 37
2) 상관계수의 산출공식 = 38
3) 상관계수의 해석 = 40
4) 상관계수의 성질 = 40
5)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41
10. 특수 상관 = 41
제3장 검사의 양호도
1. 객관도와 실용도 = 45
1) 객관도 = 45
2) 실용도 = 47
2. 신뢰도 = 48
기존 신뢰도들의 종류 = 49
1) 재검사 신뢰도 = 49
2) 동형검사 신뢰도 = 51
3) 반분 신뢰도 = 52
4) 문항내적 일치도 = 53
3. 타당도 = 60
1) 내용 타당도 = 60
2) 준거 타당도 = 61
3) 구인 타당도 = 62
제4장 대안적 신뢰도와 타당도
1. 대안적 신뢰도 = 65
1) 검사의 신뢰도 = 66
2) 실시과정 신뢰도 = 68
3) 피험자 신뢰도 = 70
4) 채점의 신뢰도 = 71
5) 규준의 신뢰도 = 71
6) 점수의 신뢰도 = 72
2. 대안적 타당도 = 73
1) 내용 타당도 = 73
2) 목표 타당도 = 74
3) 준거 타당도 = 75
4) 구인 타당도 = 77
제5장 지적 능력 표준화검사
1. 표준화 검사 = 81
1) 표준화 검사의 의미 = 81
2) 규준의 제작 = 81
3) 규준의 종류 = 83
4) 좋은 규준의 조건 = 83
2. 지능검사 = 84
1) 지능의 의미 = 84
2) Binet-Simon 지능검사 = 85
3) Stanford-Binet 지능검사 = 86
4) Wechsler 지능검사 = 88
5) K-ABC = 92
3. 집단 지능검사 = 95
1) 정범모 일반 지능검사(고교용) = 95
4. 적성검사 = 100
1) Thurstone의 PMA = 101
2) 적성 진단검사 = 101
3) GATB = 105
4) 한국판 GATB = 108
5) 적성 종합검사 = 112
6) KMDAT-H 적성검사 = 115
5. 창의력 검사 = 118
1) Guilford의 확산적 사고력 검사 = 118
2) 표준화 창의성 검사 = 120
제6장 정의적 특성 표준화 검사
1. 다면적 인성검사(MMPI) = 127
1) 검사의 실시와 채점 = 127
2) 검사의 구성 = 128
3) 해석 = 131
2. 간편 MMPI 성격검사 = 133
1) 요인별 검사 문항수 = 133
2) 채점 및 해석 = 134
3. 다면적 인성검사 Ⅱ = 134
1) 제작의 개요 = 134
2) 검사의 구성 = 135
3) 실시 채점 해석 = 143
4. PAI검사 = 144
1) 검사의 구성과 문항수 = 144
2) 각 요인의 의미 및 증상 = 145
3) 실시와 채점 = 149
4) 해석 = 149
5) 규준 = 149
5. 성격 진단검사 = 151
1) 검사의 구성 = 151
2) 채점 및 해석 = 152
3) 규준 = 153
6. 한국 우울증 검사 = 154
7. 인성검사 = 155
1) 검사요인 = 156
2) 채점 및 해석 = 157
3) 규준 = 157
8. 자아개념 검사 = 157
1) 검사 및 점수의 구성 = 158
2) 채점 및 해석 = 160
9. 흥미검사 = 162
1) 흥미요인 = 162
2) 검사의 조직 = 163
3) 채점 및 해석 = 163
10. 표준화 직업흥미 검사 = 164
1) 검사의 내용과 문항수 = 164
2) 채점 및 해석 = 165
11. 직업 흥미 검사 = 166
1) 요인의 의미 = 167
2) 채점 = 168
12. 학업 동기 검사 = 170
13.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 = 172
제7장 정의적 특성 비표준화 검사
1. 자기보고식 검사 = 175
1) 자서전법 = 175
2) 질문지법 = 176
2. 관찰법 = 183
1) 일화기록법 = 183
2) 검목표법(checklist) = 184
3) 평정법 = 184
4) 동료 평정법 = 187
5) 관찰에 의한 평정의 오류 = 189
3. 면접법 = 190
4. 로올샤크 잉크반점 테스트 = 191
1) 실시 = 191
2) 채점 = 191
3) 해석 = 196
5. 주제 통각 검사 = 198
1) 구성 = 198
2) 실시 = 198
3) 분석 방법 = 199
6. 성취동기 TAT = 200
1) 성취동기의 의미 = 200
2)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의 특징 = 200
3) 검사 실시 = 201
4) 성취동기의 채점 = 202
7. MBTI = 205
8. BGT = 208
1) 실시 = 208
2) 채점 = 209
3) 규준 = 219
9. 기타의 투사법 = 220
1) HTP = 220
2) 문장완성검사(SCT) = 221
제8장 척도법
1. 총합 평정법 = 223
1) 진술문들의 수집 = 223
2) 편집 = 224
3) 검사 실시 및 답지별 비율 계산 = 224
4) 답지 점수의 결정 = 224
5) 문항 적합도 확인 = 227
2. 유사동간법 = 230
1) 진술문(문항)의 수집 = 230
2) 점수 부여 = 231
3) 진술문들의 점수 산출 = 232
4) 중앙치 순서대로 진술문 배열 = 234
5) 진술문 결정 = 234
6) 적합도 확인 절차 = 235
7) 최종 검사의 완료 = 236
3. 연속적 동간법 = 237
1) 진술문 수집 및 점수부여 = 237
2) 빈도 및 백분율 계산 = 237
3) 누가 백분율에 해당하는 Z점수 기재 = 238
4) 인접한 두 Z들 간의 차이 기재 = 238
5) 진술문의 척도치 계산 = 239
4. 상대적 비교법 = 241
1) 빈도행열의 작성 = 241
2) 비율계산 = 242
3) Z점수 확인 = 242
4) 척도치의 적합도 검증 = 243
5. Guttman의 척도 = 244
1) 의미 = 244
2) 제작과정 = 245
6. 검사의 일반적 제작과정 = 246
1) 특성의 정의 및 하위요인의 확인 = 247
2) 문항수의 결정 및 수집 = 247
3) 문항 검토위원 구성과 문항 판단 = 248
4) 문항 구인 타당도 산출 = 250
5) 구인 타당도의 해석 = 250
6) 신뢰도 평가 및 수정 = 251
7) 답지수와 표현 = 251
8) 대표적 집단에 실시 = 251
9) 답지별 빈도 조사와 x2치 계산 = 252
10) 최종문항의 결정 = 252
11) 검사시간 정하기 = 253
12) 안내문 작성 = 253
13) 신뢰도와 타당도 산출 = 253
14) 표준화 = 254
제9장 요인분석
1. 요인분석의 의미 = 255
2. 요인의 추출 = 256
1) 상관행열 = 256
2) 요인부하량과 상관계수의 관계 = 257
3) 공통량과 고유치 = 258
4) 요인의 추출 = 259
5) 요인의 수 = 269
3. 요인의 회전(rotation) = 270
1) 직교회전 = 270
2) 사교회전 = 282
참고문헌 = 296
인명색인 = 306
내용색인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