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 심리의 검사방법 이해

교육과 심리의 검사방법 이해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허경조
Title Statement
교육과 심리의 검사방법 이해 / 허경조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청주 :   충북대학교출판부,   2013  
Physical Medium
318 p : 삽화, 도표 ; 26 cm
Series Statement
충북대학교 교양문고 ;10
ISBN
978897295207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96-298)과 색인수록
000 00651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59563
005 20130731095559
007 ta
008 130729s2013 hbkad b LB 001c kor
020 ▼a 9788972952077 ▼g 9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26 ▼a 150.287 ▼2 23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3
100 1 ▼a 허경조 ▼0 AUTH(211009)82585
245 1 0 ▼a 교육과 심리의 검사방법 이해 / ▼d 허경조 저
260 ▼a 청주 : ▼b 충북대학교출판부, ▼c 2013
300 ▼a 318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40 0 0 ▼a 충북대학교 교양문고 ; ▼v 10
504 ▼a 참고문헌(p. 296-298)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3 Accession No. 1116991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허경조(지은이)

<교육과 심리의 통계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심리검사의 의미 종류 역사
 1. 심리검사의 의미 = 15
  1) 측정 = 15
  2) 평가 = 15
  3) 검사 = 16
  4) 심리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 = 16
  5) 심리검사 = 16
 2. 심리검사의 종류 = 16
 3. 심리검사의 역사 = 17
  1) 초창기 = 17
  2) Galton = 18
  3) Cattell = 18
  4) Binet = 18
  5) 집단검사 = 19
  6) 적성검사 = 19
  7) 표준화 성취도 검사 = 20
  8) 성격검사 = 20
제2장 관련 통계학
 1. 측정치의 성질 = 23
  1) 명명성 측정치 = 23
  2) 서열성 측정치 = 23
  3) 동간성 측정치 = 24
  4) 비율성 측정치 = 24
  5) 행동과학 측정치들의 성질 = 24
 2. 평균 = 25
  1) 단순 빈도분포의 평균 = 25
  2) 묶음 빈도분포의 평균 = 25
 3. 표준편차 = 26
  1) 의미 = 26
  2) 표준편차의 계산 = 26
  3) 표준편차의 성질 = 28
 4. 표준점수 = 28
 5. 변형 표준점수 = 30
 6. 백분율 = 31
 7. 구간점수(stanine score) = 32
 8. 표준점수와 비율 = 33
  1) 정상분포 = 33
  2) 정상분포와 비율 = 33
  3) 비율에 해당하는 점수 구하기 = 34
  4) 변형 표준점수와 비율 = 35
 9. 단순 상관 = 37
  1) 상관의 형태 = 37
  2) 상관계수의 산출공식 = 38
  3) 상관계수의 해석 = 40
  4) 상관계수의 성질 = 40
  5)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41
 10. 특수 상관 = 41
제3장 검사의 양호도
 1. 객관도와 실용도 = 45
  1) 객관도 = 45
  2) 실용도 = 47
 2. 신뢰도 = 48
  기존 신뢰도들의 종류 = 49
   1) 재검사 신뢰도 = 49
   2) 동형검사 신뢰도 = 51
   3) 반분 신뢰도 = 52
   4) 문항내적 일치도 = 53
 3. 타당도 = 60
  1) 내용 타당도 = 60
  2) 준거 타당도 = 61
  3) 구인 타당도 = 62
제4장 대안적 신뢰도와 타당도
 1. 대안적 신뢰도 = 65
  1) 검사의 신뢰도 = 66
  2) 실시과정 신뢰도 = 68
  3) 피험자 신뢰도 = 70
  4) 채점의 신뢰도 = 71
  5) 규준의 신뢰도 = 71
  6) 점수의 신뢰도 = 72
 2. 대안적 타당도 = 73
  1) 내용 타당도 = 73
  2) 목표 타당도 = 74
  3) 준거 타당도 = 75
  4) 구인 타당도 = 77
제5장 지적 능력 표준화검사
 1. 표준화 검사 = 81
  1) 표준화 검사의 의미 = 81
  2) 규준의 제작 = 81
  3) 규준의 종류 = 83
  4) 좋은 규준의 조건 = 83
 2. 지능검사 = 84
  1) 지능의 의미 = 84
  2) Binet-Simon 지능검사 = 85
  3) Stanford-Binet 지능검사 = 86
  4) Wechsler 지능검사 = 88
  5) K-ABC = 92
 3. 집단 지능검사 = 95
  1) 정범모 일반 지능검사(고교용) = 95
 4. 적성검사 = 100
  1) Thurstone의 PMA = 101
  2) 적성 진단검사 = 101
  3) GATB = 105
  4) 한국판 GATB = 108
  5) 적성 종합검사 = 112
  6) KMDAT-H 적성검사 = 115
 5. 창의력 검사 = 118
  1) Guilford의 확산적 사고력 검사 = 118
  2) 표준화 창의성 검사 = 120
제6장 정의적 특성 표준화 검사
 1. 다면적 인성검사(MMPI) = 127
  1) 검사의 실시와 채점 = 127
  2) 검사의 구성 = 128
  3) 해석 = 131
 2. 간편 MMPI 성격검사 = 133
  1) 요인별 검사 문항수 = 133
  2) 채점 및 해석 = 134
 3. 다면적 인성검사 Ⅱ = 134
  1) 제작의 개요 = 134
  2) 검사의 구성 = 135
  3) 실시 채점 해석 = 143
 4. PAI검사 = 144
  1) 검사의 구성과 문항수 = 144
  2) 각 요인의 의미 및 증상 = 145
  3) 실시와 채점 = 149
  4) 해석 = 149
  5) 규준 = 149
 5. 성격 진단검사 = 151
  1) 검사의 구성 = 151
  2) 채점 및 해석 = 152
  3) 규준 = 153
 6. 한국 우울증 검사 = 154
 7. 인성검사 = 155
  1) 검사요인 = 156
  2) 채점 및 해석 = 157
  3) 규준 = 157
 8. 자아개념 검사 = 157
  1) 검사 및 점수의 구성 = 158
  2) 채점 및 해석 = 160
 9. 흥미검사 = 162
  1) 흥미요인 = 162
  2) 검사의 조직 = 163
  3) 채점 및 해석 = 163
 10. 표준화 직업흥미 검사 = 164
  1) 검사의 내용과 문항수 = 164
  2) 채점 및 해석 = 165
 11. 직업 흥미 검사 = 166
  1) 요인의 의미 = 167
  2) 채점 = 168
 12. 학업 동기 검사 = 170
 13.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 = 172
제7장 정의적 특성 비표준화 검사
 1. 자기보고식 검사 = 175
  1) 자서전법 = 175
  2) 질문지법 = 176
 2. 관찰법 = 183
  1) 일화기록법 = 183
  2) 검목표법(checklist) = 184
  3) 평정법 = 184
  4) 동료 평정법 = 187
  5) 관찰에 의한 평정의 오류 = 189
 3. 면접법 = 190
 4. 로올샤크 잉크반점 테스트 = 191
  1) 실시 = 191
  2) 채점 = 191
  3) 해석 = 196
 5. 주제 통각 검사 = 198
  1) 구성 = 198
  2) 실시 = 198
  3) 분석 방법 = 199
 6. 성취동기 TAT = 200
  1) 성취동기의 의미 = 200
  2)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의 특징 = 200
  3) 검사 실시 = 201
  4) 성취동기의 채점 = 202
 7. MBTI = 205
 8. BGT = 208
  1) 실시 = 208
  2) 채점 = 209
  3) 규준 = 219
 9. 기타의 투사법 = 220
  1) HTP = 220
  2) 문장완성검사(SCT) = 221
제8장 척도법
 1. 총합 평정법 = 223
  1) 진술문들의 수집 = 223
  2) 편집 = 224
  3) 검사 실시 및 답지별 비율 계산 = 224
  4) 답지 점수의 결정 = 224
  5) 문항 적합도 확인 = 227
 2. 유사동간법 = 230
  1) 진술문(문항)의 수집 = 230
  2) 점수 부여 = 231
  3) 진술문들의 점수 산출 = 232
  4) 중앙치 순서대로 진술문 배열 = 234
  5) 진술문 결정 = 234
  6) 적합도 확인 절차 = 235
  7) 최종 검사의 완료 = 236
 3. 연속적 동간법 = 237
  1) 진술문 수집 및 점수부여 = 237
  2) 빈도 및 백분율 계산 = 237
  3) 누가 백분율에 해당하는 Z점수 기재 = 238
  4) 인접한 두 Z들 간의 차이 기재 = 238
  5) 진술문의 척도치 계산 = 239
 4. 상대적 비교법 = 241
  1) 빈도행열의 작성 = 241
  2) 비율계산 = 242
  3) Z점수 확인 = 242
  4) 척도치의 적합도 검증 = 243
 5. Guttman의 척도 = 244
  1) 의미 = 244
  2) 제작과정 = 245
 6. 검사의 일반적 제작과정 = 246
  1) 특성의 정의 및 하위요인의 확인 = 247
  2) 문항수의 결정 및 수집 = 247
  3) 문항 검토위원 구성과 문항 판단 = 248
  4) 문항 구인 타당도 산출 = 250
  5) 구인 타당도의 해석 = 250
  6) 신뢰도 평가 및 수정 = 251
  7) 답지수와 표현 = 251
  8) 대표적 집단에 실시 = 251
  9) 답지별 빈도 조사와 x2치 계산 = 252
  10) 최종문항의 결정 = 252
  11) 검사시간 정하기 = 253
  12) 안내문 작성 = 253
  13) 신뢰도와 타당도 산출 = 253
  14) 표준화 = 254
제9장 요인분석
 1. 요인분석의 의미 = 255
 2. 요인의 추출 = 256
  1) 상관행열 = 256
  2) 요인부하량과 상관계수의 관계 = 257
  3) 공통량과 고유치 = 258
  4) 요인의 추출 = 259
  5) 요인의 수 = 269
 3. 요인의 회전(rotation) = 270
  1) 직교회전 = 270
  2) 사교회전 = 282
참고문헌 = 296
인명색인 = 306
내용색인 = 31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