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기금운용철학 및 중장기 기금운용 목표 / 신성환[홍익대학교 경영학부] = 5
Ⅰ. 국민연금기금의 특성 = 7
1. 국민연금기금의 설치목적 = 7
2. 국민연금기금의 특성 = 7
3. 국민연금기금의 성격 = 8
4. 기금운용철학 수립 및 중장기 기금운용 목표 설정의 필요성 = 8
Ⅱ. 국민연금기금운용의 철학 = 9
1. 국민연금기금의 장기적 안정성 원칙 = 9
2. 국민연금기금의 수익성 원칙 = 9
3. 국민연금기금의 공공성 원칙 = 10
Ⅲ. 중장기 자산배분 분석 = 10
1. 중장기 자산배분 분석 방법의 개요 = 10
2. 경제변수 분석 = 12
3. 연간 보험료 및 연금 지급액 분석 = 25
4. 분석 대상 투자 자산배분안 계획 = 27
5. 종합적인 자산배분안 분석 = 34
6. 자산배분안 검토 및 분석 결과 = 35
7. 허용위험 분석 = 45
Ⅳ. 중장기 자산배분 제안 내용 요약 = 49
1. 2012년 목표 자산배분 = 49
2. 목표 자산배분안 설정 근거 = 50
3. 목표 자산배분안의 예상성과 = 51
제2장 국민연금기금의 중장기 정책적 자산배분 / 연구책임자 김원식[건국대학교 경제학과] ; 연구원 김진수[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연구원 김재진[조세연구원] ; 연구원 김우찬[KDI School] = 53
〈요약〉 = 55
Ⅰ. 서론 = 82
Ⅱ. 정책적 자산배분 전략 = 83
1. 연금기금의 운용현황 = 83
2. 연금 재정추계 = 89
3. 연금기금의 자본시장 및 국민경제에 대한 영향 = 92
4. 정책적 자산배분 모형 = 100
Ⅲ. 복지부문 자산배분 = 112
1. 국민연금 복지부문 투자 현황 및 추이 = 114
2. 국민연금기금 복지투자의 당위성 = 125
3. 선진국 복지투자 현황 및 시사점 = 134
4. 복지투자의 정책방향 = 141
5. 복지투자의 배분규모 = 142
6. 복지부문 투자대상 및 우선순위 = 145
7. 복지사업 종류별 자금배정 = 150
8. 결어 = 151
Ⅳ. 공공부문 자산배분 = 153
1. 공공부문에서의 기금운용 = 153
2. 공공부문에서의 기금운용의 문제점 및 당위성 = 164
3. 공공부문에서의 기금운용 관련 시사점 = 168
4. 공공부문 투자방향 = 170
5. 결어 = 179
Ⅴ. 금융부문의 자산배분 = 181
1. 주식 = 182
2. 채권 = 191
3. 해외 연기금운용의 예 = 202
4. 요약 = 205
Ⅵ. 기업지배구조에 기초한 투자전략 = 207
1. 논의 배경 = 207
2. 주주권 행사 필요성 = 208
3. 주주권 행사에 대한 반론과 대응 = 224
4. 의결권 행사체계의 확립 = 228
5. 의결권 이외의 주주권 행사 = 241
제3장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 / 오규택[중앙대학교 경영대학] = 263
Ⅰ. 연구목적과 방법론 = 265
Ⅱ. 채권의 장기수익률 예측 = 266
Ⅲ. 주식의 장기수익률 예측 = 272
Ⅳ. 부동산투자 방안 = 284
Ⅴ. 벤처투자 방안 = 311
Ⅵ. 해외투자 방안 = 331
Ⅶ. 전략적 자산배분 = 356
Ⅷ. 적극적 자산운용과 위험관리 = 360
Ⅸ. Outsourcing 방안 = 369
제4장 국민연금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 강동수[한국개발연구원] = 383
Ⅰ. 서론 = 385
1. 문제 인식 = 385
2. 연구의 범위 = 387
Ⅱ. 실물경제 파급효과 = 389
1. 저축에 미치는 영향 = 389
2. 투자에 미치는 영향 = 394
3. 경제성장 및 후생에 미치는 영향 = 395
Ⅲ. 국민연금의 예산불균형에 따른 국민경제적 영향 분석 = 397
1. 분석의 목적 = 397
2. 세대중첩모형의 개요 = 399
3. 경제주체별 최적화 = 402
4. 일반균형 = 404
5. 국민연금의 예산불균형 효과 분석 = 405
6. 시뮬레이션 = 406
7. 시사점 = 416
Ⅳ. 금융경제 파급효과 = 417
1. 국민연금기금의 특성 = 417
2.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 420
3.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 = 424
4. 기업에 미치는 영향 = 427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429
1. 이론적인 검토 결과 = 429
2. 국민연금의 현실적인 문제점 = 430
제5장 국민연금 기금운용 관리체계의 개선 / 원종욱 ; 석재은 ; 문승주[한국보건사회연구원] = 435
〈요약〉 = 437
Ⅰ. 서론 = 471
1. 수익성 원칙 = 473
2. 안정성 원칙 = 473
3. 공공성 원칙 = 473
Ⅱ. 기금운용환경의 변화 = 475
1. 기금운용 관련법 및 규정 변화 = 475
2. 기금운용현황 = 481
3. 기금운용 업무체계 및 집행과정 = 487
4. 기금규모의 변화전망 = 490
5. 국내외 투자/금융시장 환경의 변화 = 498
Ⅲ. 국민연금 기금운용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 505
1. 국민연금 기금운용 관련법 및 규정 = 505
2. 국민연금 기금운용 관리 프로세스 = 528
3. 국민연금 기금운용 관리조직체계 = 535
4.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 및 실무평가위원회의 실질적 운영 현황 : 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 537
5. 국민연금 기금운용 관리체계의 문제점 = 559
6. 규제·감독체계의 과정상 문제점 = 569
7. 요약정리 = 573
Ⅳ. 외국의 공적연금기금 및 국내 자산운용기관의 관리체계의 비교 = 576
1. 미국 = 576
2. 일본 = 576
3. 캐나다 年金基金(Canada Pension Plan : CPP) = 593
4. 칠레 = 604
Ⅴ. 기금운용 관리감독체계의 개선방안 = 616
1. 개선방안 제1안 = 617
2. 개선방안 제2안 = 620
3. 개선방안 제3안 = 622
4. 개선방안 비교 = 627
Ⅵ. 정책제언 = 628
제6장 국민연금 기금운용의 성과평가 개선방안 / 우재룡[한국펀드평가대표이사] ; 임웅기[연세대학교경영학과교수] ; 박종학[SEI엣셋코리아자산운용팀장] = 631
Ⅰ. 서론 = 633
1. 기금운용 성과평가의 개선필요성 = 633
2. 국민연금 기금운용 성과평가의 목적 = 634
3. 연구의 주제 = 635
Ⅱ. 성과평가에 관련된 기금운용 체계 = 637
1. 기금운용의 의사결정과정 = 637
2. 국민연금 기금운용 계획 = 638
3.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친 기금운용 규정 개정 = 639
Ⅲ. 기금운용 성과평가과정 개선방안 = 640
1. 현행 기금운용성과의 평가과정 = 640
2. 기금운용 성과평가 과정의 문제점 = 644
3. 개선방안 = 648
Ⅳ. 기금 회계처리 및 수익률의 산출방법 개선 = 653
1. 현행 기금회계처리 및 수익률 산출방법 = 653
2. 기금회계 처리방법의 문제점 = 660
3. 기금운용 수익률 집계상 문제점 = 662
4. 국민연금의 벤치마크에 대한 검토 = 664
5. 개선방안 = 682
Ⅴ. 기금운용성과의 공시방법 개선방안 = 688
1. 공시의 의의 = 688
2. 국민연금기금의 운용성과 공시현황 = 689
3. 기금운용성과 공시방법의 문제점 = 692
4. 외국의 연기금의 공시정책 사례 = 693
5. 미국의 쉬운 용어를 사용한 공시정책 = 698
6. AIMR의 공시권고안 = 701
7. 개선방안 = 704
〈부록〉 = 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