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안주엽, 저 노용진, 저 박우성, 저 박찬임, 저 이주희, 저 허재준, 저
Title Statement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 안주엽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1-  
Physical Medium
책 : 도표 ; 23 cm
Series Statement
연구보고서 ;2001-05
ISBN
8973563335 (v.1)
General Note
집필: 노용진, 박우성, 박찬임, 이주희, 허재준  
1. x, 286 p.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969camcc2200337 c 4500
001 000045758888
005 20130810105130
007 ta
008 130724m20019999ulkd b 000c kor
020 ▼a 8973563335 (v.1) ▼g 93330
035 ▼a (KERIS)BIB000008823519
040 ▼a 211032 ▼c 211032 ▼d 999999 ▼d 211009
082 0 4 ▼a 331.25729 ▼2 23
085 ▼a 331.25729 ▼2 DDCK
090 ▼a 331.25729 ▼b 2001
245 0 0 ▼a 비정규근로의 실태와 정책과제 / ▼d 안주엽 [외]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1-
300 ▼a 책 : ▼b 도표 ; ▼c 23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1-05
500 ▼a 집필: 노용진, 박우성, 박찬임, 이주희, 허재준
500 ▼a 1. x, 286 p.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안주엽, ▼e▼0 AUTH(211009)138000
700 1 ▼a 노용진, ▼e
700 1 ▼a 박우성, ▼e
700 1 ▼a 박찬임, ▼e
700 1 ▼a 이주희, ▼e
700 1 ▼a 허재준, ▼e
830 0 ▼a 연구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 ▼v 2001-05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25729 2001 1 Accession No. 5110039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 노동시장의 비정규화 / 안주엽 = 1
제2장 비정규근로의 추이와 구조변화 / 안주엽 = 8
 제1절 「경제활동인구조사」 = 8
  1. 「경제활동인구조사」 조사의 개관 = 8
  2. 「경제활동인구조사」의 목적 및 조사대상 = 10
  3.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조사지역 및 조사방법 = 10
  4.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조사항목 = 11
  5. 「경제활동인구조사」와 비정규근로 = 11
 제2절 비정규근로 비중의 추이 = 13
 제3절 비정규근로의 구조변화 = 20
  1. 여성을 중심으로 한 노동시장 비정규화 = 20
  2. 청소년층과 고령층을 중심으로 한 비정규근로의 확산 = 22
  3. 저학력을 중심으로 비정규화 = 30
 제4절 산업별·직종별 노동시장의 비정규화 = 34
  1. 산업별 종사상 지위의 분포 및 추이 = 35
  2. 직종별 종사상 지위의 분포 및 추이 = 40
제3장 비정규근로 확산의 이론적 고찰 / 안주엽 = 45
 제1절 비정규근로의 확산 원인 = 45
 제2절 기업의 이윤극대화와 비정규노동의 수요 = 46
  1. 기업의 생산활동 = 46
  2. 동일노동비용과 최적 비정규집약도 = 49
 제3절 부가급부의 도입과 최적 비정규집약도의 변화 = 52
  1. 정규근로에 대한 부가급부의 도입 = 53
  2. 부가급부의 도입과 시장균형의 변화 = 53
  3. 최적 비정규집약도의 상승 = 55
  4. 부가급부 도입과 산업노동수요의 변화 = 56
 제4절 비정규근로 확산 원인의 실증분석 방법론과 한계 = 60
제4장 비정규근로의 실태 / 안주엽 = 63
 제1절 「한국노동패널」의 자료 = 63
 제2절 비정규근로의 규모 = 64
  1. 비정규근로의 분포 : 1차년도(1998년) 자료 = 64
  2. 비정규근로의 확산 : 2차년도(1999년) 자료 = 74
  3. 다양한 고용형태의 조사 : 3차년도(2000년) 자료 = 84
 제3절 고용형태와 임금 = 87
  1. 종사상 지위와 임금격차 : 1차년도(1998년) = 87
  2. 자기선언적 비정규근로와 임금격차 : 2차년도(1999년) = 89
  3. 다양한 고용형태와 임금격차 : 3차년도(2000년) = 91
  4. 고용형태별 차별의 존재 : 임금결정식의 추정 = 95
 제4절 고용형태와 사회보험 = 98
  1. 비정규근로와 사회보험 : 2차년도(1999년) = 98
  2. 비정규근로와 4대 사회보험 : 3차년도(2000년) = 101
 제5절 다양한 고용형태와 근로조건 = 103
제5장 다양한 고용형태와 비정규근로 정의의 논의 / 안주엽 = 106
 제1절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 = 106
 제2절 다양한 고용형태의 규모 = 110
  1. 근로형태의 구분과 비정규근로의 규모 = 110
  2. 근로형태별 근속년수 = 113
 제3절 다양한 고용형태와 근로실태 = 115
  1. 고용형태별 임금 = 115
  2. 고용형태별 사회보험 가입 = 122
  3. 고용형태별 근로조건 = 126
 제4절 비정규근로의 정의 = 132
제6장 정규-비정규근로와 임금격차 / 안주엽 = 141
 제1절 서론 = 141
 제2절 임금격차에 관한 기존 문헌 = 144
 제3절 분석자료 및 기초분석 = 146
  1. 「한국노동패널」 자료 = 146
  2. 표본의 기초분석 = 147
 제4절 임금격차의 실증분석 = 153
  1. 비정규근로의 결정요인 = 153
  2. 최근의 경제위기와 비정규근로 = 154
  3. 임금방정식의 추정 = 157
  4. 임금격차의 분해 = 161
  5. 전환회귀모형의 추정 : 고용형태 선택과 임금 = 162
 제5절 결론 = 166
제7장 비정규근로와 직무만족 / 노용진 ; 박우성 = 169
 제1절 서론 = 169
 제2절 분석자료 = 170
 제3절 표본 비정규근로의 특성 = 172
 제4절 분석의 결과 = 175
  1. 정규근로와 비정규근로의 직무만족 비교 = 175
  2. 비정규근로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 177
 제5절 정책적 시사점 = 183
제8장 비정규근로와 노사관계 / 이주희 = 187
 제1절 연구의 의의 = 187
 제2절 비정규근로 유형별 노사관계의 현황 및 문제점 = 189
  1. (단기근로)계약직 = 189
  2. 간접고용 = 190
  3. 기타 비임금 비정규근로 = 196
 제3절 노동운동의 대응방향 및 평가 = 198
  1. 노동운동 상급단체의 활동 = 198
  2. 외국 노동운동 비정규근로 조직화 사례가 주는 시사점 = 200
 제4절 앞으로의 연구 및 정책과제 = 202
제9장 비정규근로자 고용보험 적용방안 / 허재준 = 207
 제1절 서론 = 207
  1. 저조한 고용보험 적용률 = 207
  2. 적용률 저조의 원인과 대응방안 = 207
  3. 본고의 내용 = 209
 제2절 피보험자 관리 및 징수제도 = 210
  1. 적용제외자 규정 = 210
  2. 고용관련기록의 작성과 신고 = 212
 제3절 실업급여 수급요건 등 실업급여 지급방안 = 214
  1. 수급자격 인정의 특례 = 214
  2. 실업급여 수급개시 후 소정급여일수 동안의 실업인정 = 216
  3. 구직급여 지급방식 = 217
  4. 소정급여일수 = 218
 제4절 소요재정추계 = 219
 제5절 요약 및 일용근로자 고용보험 적용의 효과 = 224
제10장 산재보험제도와 비정규근로 / 박찬임 = 229
 제1절 서론 = 229
 제2절 산재보험제도와 비정규근로 관련 문제 = 230
  1. 적용범위의 문제 = 230
  2. 징수체계의 문제 = 233
  3. 급여의 문제 = 237
 제3절 타사회보험제도의 비정규근로 관리 = 242
  1. 국민연금 = 243
  2. 의료보험 = 244
  3. 고용보험 = 244
  4. 외국 산재보험제도에서의 비정규근로자 관리 = 245
 제4절 요약 및 결론 = 248
제11장 결론 : 정당한 근로복지 / 안주엽 = 251
 제1절 연구요약 = 251
 제2절 비정규근로를 둘러싼 연구과제 = 261
  1. 비정규근로의 역할 : 초석인가 함정인가? = 261
  2. 비정규근로의 확산 원인의 규명 = 263
  3. 임금 및 근로복지에서 차별의 존재 여부와 규모의 규명 : 합리적 수준의 모색 = 264
  4. 고용안정성 = 265
  5. 비정규근로와 노사관계 = 267
 제3절 비정규근로와 정책과제 = 268
  1. 정책방향 : 정당한 근로복지 시현 = 268
  2. 정책방안 = 269
  3. 정책 설정 및 평가를 위한 연구인프라 확충 = 276
참고문헌 = 2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