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부평 향약회 시운을 2013년 4 월 9일차운함 = 1
또 = 2
기양사의 향사 = 3
죽천서원 추향 운을 차운함 = 4
용강사 추향 운을 차운함 = 4
또 = 5
또 = 6
봉양재의 모임에서 읊다 병오 6월 3일 = 7
보인계 시운을 차운함 = 8
회포를 술회함 = 10
일가 형 참판 박남현씨 모친 팔순 장수의 경사를 축하드리며 = 11
봄날 우연히 읊다 = 13
또 = 14
봉양재에서 객을 대하고 = 15
글방을 개설하는 시운에 차운함 = 16
홀로 번민하며 = 17
글 읽는 아이들과 대화함 = 18
홀로 즐김 = 19
나태함을 기록한 시 = 20
삼가 망미정 시운에 차운함 = 22
답답한 속을 풂 = 23
산중에 들어가 느낀 소감 = 24
또 = 25
또 = 26
소감을 쓰다 = 27
객을 대함 = 28
사람을 전송하며 = 29
또 = 30
술회 = 31
밤에 앉아 = 33
가을에 느낀 소감 = 34
산중에 느낀 소감 = 35
손자를 경계함 = 36
홀로 즐김 = 37
답답한 속을 풀기 위해 이웃과 놀다 = 38
자취를 감춤 = 40
자유인의 경지를 마음껏 펼치다 = 41
술회 = 42
벗을 생각하며 = 43
세상을 한탄함 = 44
한가함을 기록함 = 45
가을 흥취 = 46
돌아와 앉아 = 48
소춘(小春) 에 느낀 소감을 읊다 = 49
슬픈 가을 = 50
객과 앉아 = 51
겨울밤에 읊음 = 53
홀로 앉아 = 54
겨울비를 한탄하며 = 55
한가하게 앉아 = 56
겨울 날 저문 경치 = 58
한가함을 기록함 = 59
달밤에 객과 함께 앉아 = 60
회포를 기록함 = 61
회포를 붙이다 = 62
답답한 속을 풂 = 63
마을의 여러 벗과 헤어지며 = 64
봉양재에서 한가로이 읊은 시 = 65
곡우 = 66
연적 = 67
객과 함께 밤에 앉아 = 68
술을 사오다 = 69
스스로를 경계하는 시 = 70
권학시 = 71
눈을 읊다 = 72
독서 = 73
동지 = 74
혼례 = 75
까치소리 듣고 = 76
벗과 헤어지며 = 77
까마귀 떼 = 77
이웃 어른의 회갑을 축하하며 =78
우연히 읊다 = 80
만수사 추향 운에 감사 차운함 = 81
화엄사 가는 도중 = 81
겨울 까마귀 = 83
보인계에 대한 시 = 84
남원 광한루에서 풍영계(風詠契) 를 치루며 지은 시 = 85
또 = 85
이두희(李料熙) 아버님 회갑연에 차운함 = 86
또 = 87
부산 흥용단에서 읊은 시 = 88
광주 향교 백일장 시 = 89
또 = 90
고당의 육십일세 회갑연을 축하하며 = 91
또 = 93
송포 어른 미수(米壽) 를 운에 삼가 화답함 = 94
또 = 95
예양서원 참배 시 = 96
또 = 96
향약회에 대해 읊음 = 97
김현대 부친 회갑을 삼가 축하하는 시 = 98
또 = 98
신암 이상호의 호에 대한 시 = 99
매운 안종철 호에 대한 시 = 100
정유년 봄 대제에 대한 시 = 101
예양서원 = 102
관산 축천서원에서 = 103
박정희 대통령을 위한 만사 = 104
호산의 회갑에 지은 시 = 105
또 = 106
월출산에 올라 = 108
또 = 108
또 = 109
또 = 110
또 = 111
또 = 112
또 = 112
보인계 시운을 차운함 = 113
무신년 겨울 보인계 시를 보고 = 114
양촌의 시를 차운함 = 115
석계의 시운을 차운함 = 116
농정 시를 차운함 = 117
농은 시를 삼가 차운함 노동 문장옥의 호운 = 119
능주 오류촌 민씨 담락정 중건 시 = 120
보인계의 시를 차운함 = 121
아산 정형 회갑을 축하하며 드리는 시 = 122
보인계 시운을 차운함 = 123
또 = 124
장흥 대동계 시 = 125
또 = 126
또 = 126
부곡 강희 때 읊음 = 127
또 = 128
강진 풍동에서 소계와 헤어지며 주다 = 128
또 = 129
여천군 구암리 서동수 부친 회갑을 축하함 = 130
보인계 시운을 차운함 = 131
강진 풍동 소계 김맹용의 시운을 차운함 이수 = 132
또 = 133
임성재 선생에 대해 = 134
동곡 인형을 위한 만사 = 135
본면 향약회에 대해 읊다 = 135
화순 춘양 민도은을 위한 호운 이수 = 136
우연히 읊음 육수 = 137
또 = 138
또 = 139
또 = 140
또 = 140
또 = 141
보인계희에 대해 읊음 = 142
임파의 회갑을 축하하며 읊음 = 143
풍영계 모임 시운을 차운함 = 144
봉양재 원운 = 145
또 = 146
경암의 원운 = 147
낙천 영당을 짓고 봉안한다는 말을 듣고 당시 느낀 소감을 읊음 = 148
김매기 = 149
금계사 추향 운을 차운함 = 150
회갑에 읊다 = 151
글공부 하던 자리를 거두며 = 152
도산단 유림의 모임 = 153
능주 향교에 대해 읊음 = 154
또 = 155
향약회 때 읊은 시 신해 = 156
또 = 157
또 = 158
금헌정 시운에 차운함 = 159
또 = 160
중추에 벗과 모여 = 161
또 = 161
고당집을 발간한 후 = 162
절산 김씨 유지의 시를 차운함 = 163
향약 시운을 차운함 정미 삼월 십삼일 = 164
죽천정에 대해 읊음 사월 십일 = 165
안양면 학송리 마윤하 공적비에 대한 시 = 166
임학래 호운을 차운함 = 167
도산단 추향 = 167
호고당 시운을 차운함 = 168
또 = 169
조용히 읊음 = 169
비 내린 후에 읊음 = 170
반딧불 = 171
서
지촌 최현에게 보냄 = 173
정현 허혼에게 답함 = 175
박도섭에게 답함 = 178
동곡 김준식에게 답함 = 180
보인계 여러분들에게 보냄 = 183
이교채에게 답함 = 184
족형 상진에게 보냄 = 186
또 = 187
또 = 189
보정 김정희에게 보냄 = 191
족인에게 보냄 = 193
또 = 194
김유신에게 답함 = 195
정철환에게 답함 = 197
노대식에게 답함 = 201
노대식에게 보냄 = 203
감정재 창건 사실기 = 204
봉양재 사실기 = 208
경암에 대해 자술함 = 212
진원 박씨 선산기 = 215
12대조고 행직 남포 강진현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공 가장 대작 = 217
비망기 = 226
도사선생을 위한 제문 = 228
스스로를 경계하는 설 = 232
죽탄 추용희를 위한 제문 = 235
금암 성구용을 위한 제문 = 238
윤문 = 240
이교채에게 보냄 = 242
족형에게 보냄 = 244
이찬휴에게 보냄 = 246
이찬휴에게 보냄 = 248
부록
봉양재 원운 = 251
또 = 252
봉양재 원운을 삼가 차운함 = 253
봉양재 원운에 차운함 / 제주 후인 양희갑 = 254
차운함 / 두남 박종주 = 255
차운함 / 족종 박래현 = 256
차운함 / 연사 노연철 = 257
차운함 / 민영록 = 258
차운함 / 광산 후생 노근 = 259
차운함 / 족종 용진 = 260
차운함 / 광산 석초 김영교 = 261
차운함 / 광산 죽계 노만식 = 262
차운함 / 영광 춘파 김정식 = 263
차운함 / 족종 박재주 = 264
차운함 / 족생 박형관 = 265
차운함 / 정양 안종남 = 266
차운함 / 족생 박형우 = 267
봉양재 원운을 차운함 / 남강 이영춘 = 268
차운함 / 계은 문재룡 = 270
차운함 / 산운 유중원 = 271
차운함 / 이동일 = 272
차운함 / 송호 김장호 = 273
차운함 / 항와 문충렬 = 274
차운함 / 김철환 = 275
경암 원운 = 276
차운함 / 족종 용진 = 277
차운함 / 성암 서명흠 = 278
차운함 / 족종 박재주 = 279
차운함 / 족생 박형관 = 280
차운함 / 정양 안종남 = 282
차운함 / 족생 박형우 = 283
차운함 / 남강 이영춘 = 284
차운함 / 산운 유중원 = 285
차운함 / 권영태 = 287
차운함 / 김귀수 = 288
차운함 / 이동일 = 289
차운함 / 송호 김장호 = 290
차운함 / 연파 양희룡 = 291
차운함 / 낙천 이교천 = 292
차운함 / 김철환 = 293
또 = 294
삼가 경암 원운에 화답함 / 계재 유상철 = 295
박강재 수연운 / 임헌 임병준 원고= 296
차운함 / 후당 문재희 원고 = 297
차운함 / 일가 박길주 원고 = 298
차운함 / 하동 후인 정순완 원고 = 299
차운함 / 일가 박재주 원고 = 301
차운함 / 진주 후인 강재명 원고= 302
대형 박강재 수연시를 삼가 차운함 / 연파 김병현 원고 = 303
차운함 / 영평 문계선= 304
차운함 / 족손 박형관 = 305
차운함 / 청풍 김익재 = 307
차운함 / 족손 박형우 = 308
차운함 / 정효림 = 309
차운함 / 김용규 = 310
벗 안동 김노동 원고 = 310
봉화 박강재 축수서문 / 벗 김문옥 씀 = 312
박강재형을 방문하여 / 강재 김재식 삼가 드림 = 318
삼가 차운함 / 죽탄 추용희 = 319
양회갑이 보낸 편지 = 320
강에 관한 설을 박봉화공에게 보냄 = 322
봉양재기 = 325
봉양재기 = 328
박옹께 보내는 강재 서문 = 332
서 / 아우 김문옥 = 335
봉양재운을 차운한 시와 소서를 함께 보냄 = 348
성기운 삼가 답함 = 356
狀 / 아우 노대식 = 374
유인 김해김씨 만사 / 성산 이종필 = 383
유인 김해김씨 만사 / 밀성 손중희 = 384
유인 김해 김씨 만사 / 광산 이민수 = 384
감정재 실기 = 385
십오세 통정대부 휘 공건 묘표 = 389
십팔세 학생공 휘 만우 묘표 = 394
십구세 통정대부 휘 취현 묘표 = 398
이십세 학생공 휘 치옥 묘표 = 403
이십일세 석전공 휘 형춘 묘표 = 410
이십이세 유재공 휘 휘환 묘표 = 415
의사 송은공 행장 = 421
송은공 휘 중일 묘표 = 429
선고 강재거사 부군 가장 = 434
강재 박기현(堪鉉) 공의 묘갈명과 서문 = 447
강재거사 박기현공 유적비 = 457
유사
모친께서 자립심을 일깨우다 = 465
형편이 어려워 손바닥에 글을 적어 외우다 = 466
솔개의 도움으로 모친의 병을 낫게 하다 = 467
강도를 물리치다 = 467
서약보발(鼠藥保髮) = 468
스승의 어려움을 해소해 주다 = 469
6ㆍ25 동란 때 목숨을 걸고 靑年들을 救命하다 = 469
6ㆍ25때 曉堂 金文鈺씨를 돕다 = 470
60 리를 돌아가 개 주인을 찾아주다 = 471
삼년동안 성묘 길을 고양이가 동행하다 = 471
偸葬한 사람을 용서하고 양보해주다 = 472
종손이 도박으로 잃은 산소를 두 번 찾아 주다 = 472
장홍군수에게 간언하여 직원을 깨우치게 하다 = 473
도박에 빠진 마을 청년을 깨우치다 = 473
행상인들의 복장을 고치다 = 474
어려운 시기에 過客들을 먹여 살리다 = 474
祭室 甘井齋 創建 = 475
집안을 일으킨 祖母 宣氏 = 476
발문 =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