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실업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실업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금재호 조준모, 저
Title Statement
실업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 금재호, 조준모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0  
Physical Medium
201 p. : 도표 ; 24 cm
Series Statement
연구보고서 ;2000-12
ISBN
897356317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187-195
000 00733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758407
005 20130724173946
007 ta
008 130719s2000 ulkd b 000c kor
020 ▼a 8973563173 ▼g 93330
035 ▼a (KERIS)BIB000010031366
040 ▼d 211009
082 0 4 ▼a 331.137 ▼2 23
085 ▼a 331.137 ▼2 DDCK
090 ▼a 331.137 ▼b 2000a1
100 1 ▼a 금재호 ▼0 AUTH(211009)84548
245 1 0 ▼a 실업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 ▼d 금재호, ▼e 조준모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0
300 ▼a 201 p. : ▼b 도표 ; ▼c 24 cm
490 1 0 ▼a 연구보고서 ; ▼v 2000-12
504 ▼a 참고문헌: p.187-195
700 1 ▼a 조준모, ▼e
830 0 ▼a 연구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 ; ▼v 2000-12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137 2000a1 Accession No. 5110037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 1

제2장 고용 및 실업구조의 현황과 추이 = 5

 제1절 최근의 실업과 고용 = 5

 제2절 취업자의 특성과 구조변화 = 8

  1. 성별 분포 = 8

  2. 연령계층별 특성 = 14

  3. 산업별 분포와 추이 = 24

  4. 직업별 분포와 추이 = 27

  5. 종사상 지위별 분포와 추이 = 30

 제3절 실업자의 특성과 구조변화 = 34

  1. 실업자의 성별 분포 = 34

  2. 연령별 실업의 추이 = 36

  3. 학력별 실업 분포와 추이 = 37

  4. 비자발적 실업자의 비중 = 40

  5. 장기실업자의 비중 = 40

  6. 실업자의 전직 종사상 지위별 분포 = 43

제3장 고용안정성과 실업의 위험 = 44

 제1절 노동시장 불안정성 = 44

  1. 노동시장 불안정성에 관한 기존 연구 = 48

  2. 근속기간의 변화 = 52

  3. 직장유지율의 변화 = 67

  4. 노동시장 불안정성의 추정 = 76

 제2절 실업의 위험과 노동시장 불안전성 = 81

  1. 노동시장 불안전성의 개념 = 81

  2. 비자발적 직장상실 = 83

제4장 실업자의 생활 = 94

 제1절 실업자의 경제상황 = 94

  1. 실업자의 생계유지방법 = 94

  2. 실업가구의 경제상황 = 102

 제2절 실업자의 생활만족도 = 112

  1. 고용형태와 생활만족도 = 112

  2. 실업자의 특성과 생활만족도 = 117

제5장 실업자의 구직활동 = 120

 제1절 직장탐색 = 120

  1. 전 직장을 그만둔 이유 = 120

  2. 희망 직장의 성격 = 128

  3. 직장탐색의 방법 및 강도 = 138

 제2절 희망임금 = 146

  1. 희망임금의 수준 = 146

  2. 희망임금의 결정요인 = 150

제6장 실업자의 재취업과 직장상실의 비용 = 152

 제1절 직장상실 비용의 이론적 배경 = 152

  1. 직장상실 비용의 의의 = 152

  2. 직장상실과 이직 후 임금 = 157

  3. 실업기간과 이직 후 임금 = 158

  4. 노동시장 이력이 반영된 임금함수 = 159

 제2절 자료의 성격과 내용 = 160

 제3절 실증분석의 결과와 시사점 = 164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 174

참고문헌 = 187

부표 = 196

부도 = 19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