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 1
제2장 고용 및 실업구조의 현황과 추이 = 5
제1절 최근의 실업과 고용 = 5
제2절 취업자의 특성과 구조변화 = 8
1. 성별 분포 = 8
2. 연령계층별 특성 = 14
3. 산업별 분포와 추이 = 24
4. 직업별 분포와 추이 = 27
5. 종사상 지위별 분포와 추이 = 30
제3절 실업자의 특성과 구조변화 = 34
1. 실업자의 성별 분포 = 34
2. 연령별 실업의 추이 = 36
3. 학력별 실업 분포와 추이 = 37
4. 비자발적 실업자의 비중 = 40
5. 장기실업자의 비중 = 40
6. 실업자의 전직 종사상 지위별 분포 = 43
제3장 고용안정성과 실업의 위험 = 44
제1절 노동시장 불안정성 = 44
1. 노동시장 불안정성에 관한 기존 연구 = 48
2. 근속기간의 변화 = 52
3. 직장유지율의 변화 = 67
4. 노동시장 불안정성의 추정 = 76
제2절 실업의 위험과 노동시장 불안전성 = 81
1. 노동시장 불안전성의 개념 = 81
2. 비자발적 직장상실 = 83
제4장 실업자의 생활 = 94
제1절 실업자의 경제상황 = 94
1. 실업자의 생계유지방법 = 94
2. 실업가구의 경제상황 = 102
제2절 실업자의 생활만족도 = 112
1. 고용형태와 생활만족도 = 112
2. 실업자의 특성과 생활만족도 = 117
제5장 실업자의 구직활동 = 120
제1절 직장탐색 = 120
1. 전 직장을 그만둔 이유 = 120
2. 희망 직장의 성격 = 128
3. 직장탐색의 방법 및 강도 = 138
제2절 희망임금 = 146
1. 희망임금의 수준 = 146
2. 희망임금의 결정요인 = 150
제6장 실업자의 재취업과 직장상실의 비용 = 152
제1절 직장상실 비용의 이론적 배경 = 152
1. 직장상실 비용의 의의 = 152
2. 직장상실과 이직 후 임금 = 157
3. 실업기간과 이직 후 임금 = 158
4. 노동시장 이력이 반영된 임금함수 = 159
제2절 자료의 성격과 내용 = 160
제3절 실증분석의 결과와 시사점 = 164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 174
참고문헌 = 187
부표 = 196
부도 =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