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384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758389 | |
005 | 20130729091755 | |
007 | ta | |
008 | 130719s1999 ulkd b 000c kor | |
020 | ▼a 8995041110 ▼g 93330 | |
035 | ▼a (KERIS)BIB000007656396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1.12042 ▼2 23 |
085 | ▼a 331.12042 ▼2 DDCK | |
090 | ▼a 331.12042 ▼b 1999z3 | |
245 | 0 0 | ▼a OECD 고용전략과 경험 : ▼b 선진국의 실업극복 경험과 교훈 / ▼d [OECD 편] ; ▼e 한국노동재단 역 |
246 | 1 | ▼i 프랑스어표제: ▼a La mise en oeuvre de la strategie de l'OECD pour l'emploi : ▼b l'experience pays membres |
246 | 1 9 | ▼a Implementing the OECD jobs strategy : ▼b member countries' experience |
246 | 3 | ▼a Mise en oeuvre de la strategie de l'OECD pour l'emploi |
260 | ▼a 서울 : ▼b 한국국제노동재단, ▼c 1999 | |
300 | ▼a 160 p. : ▼b 도표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 p. 149-154 | |
650 | 0 | ▼a Manpower policy ▼z OECD countries |
650 | 0 | ▼a Job creation ▼z OECD countries |
650 | 0 | ▼a Unemployment ▼z OECD countries |
650 | 0 | ▼a Full employment policies ▼z OECD countries |
710 | ▼a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e 편 | |
710 | ▼a 한국국제노동재단, ▼e 역 | |
910 | 0 | ▼a OECD, ▼e 편 |
910 | 0 | ▼a Korea International Labour Foundation,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331.12042 1999z3 | Accession No. 5110037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 10 요약 = 12 해설 = 25 제1장. OECD 회원국의 최근 노동시장 = 25 I.1. 실업의 최근 변화 = 27 I.2. 고용동향 = 34 I.3. 노동공급 상황 = 42 I.4. 임금 동향, 소득 분포, 실업 = 44 I.5. 결론 : OECD 회원국 노동시장의 주요 경향 = 51 제2장. 정책 이니셔티브와 OECD의 권고사항 II.1. 세금 및 급여 = 55 II.2. 고용보호 입법 = 70 II.3. 임금 형성과 임금유연성 = 73 II.4. 근로시간 유연성 및 시간제 근로 = 81 II.5.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 85 II.6. 교육 및 훈련 = 93 II.7. 생산물 시장경쟁 = 103 II.8. 혁신과 기술 = 109 II.9. 기업가 정신 = 113 제3장. 다방면에 걸친 주제 : 정책간 상충 및 상호작용 = 117 III.1. 평등과 효율성의 관계 = 119 III.2. 단결, 사회적 합의 및 개혁 프로세스 = 124 III.3. 구조적 정책간의 상호작용 = 127 III.4. 거시경제 발전과 구조적 발전간의 상호작용 = 129 미주 = 141 참고문헌 = 149 별첨 = 155 별첨 1 : 구조적 실업동향의 결정 = 155 별첨 2 : 부문별 고용이동과 실업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