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 중국의 논의

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 중국의 논의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희옥 李熙玉, 편 장윤미 長允美, 편 김도희 金都姬, 저 이문기 李汶紀, 저 이민자 李民子, 저 이종화 李鍾華, 저 이홍규 李弘揆, 저 전성흥 全聖興, 저
Title Statement
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 중국의 논의 / 이희옥, 장윤미 책임편집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Physical Medium
186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동아시아 문명총서 ;08
ISBN
9788979869972 9788979868326 (세트)
General Note
저자: 이희옥, 장윤미, 김도희, 이문기, 이민자, 이종화, 이홍규, 전성홍  
000 01200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57762
005 20130719101727
007 ta
008 130717s2013 ulka AL 000c kor
020 ▼a 9788979869972 ▼g 94340
020 1 ▼a 9788979868326 (세트)
035 ▼a (KERIS)BIB000013218808
040 ▼d 248009 ▼d 211009
082 0 4 ▼a 321.80951 ▼2 23
085 ▼a 321.80951 ▼2 DDCK
090 ▼a 321.80951 ▼b 2013
245 0 0 ▼a 중국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 ▼b 중국의 논의 / ▼d 이희옥, ▼e 장윤미 책임편집
260 ▼a 서울 : ▼b 성균관대학교출판부, ▼c 2013
300 ▼a 186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동아시아 문명총서 ; ▼v 08
500 ▼a 저자: 이희옥, 장윤미, 김도희, 이문기, 이민자, 이종화, 이홍규, 전성홍
536 ▼a 본 출판물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700 1 ▼a 이희옥 ▼g 李熙玉, ▼e▼0 AUTH(211009)17574
700 1 ▼a 장윤미 ▼g 長允美, ▼e▼0 AUTH(211009)120357
700 1 ▼a 김도희 ▼g 金都姬, ▼e
700 1 ▼a 이문기 ▼g 李汶紀, ▼e
700 1 ▼a 이민자 ▼g 李民子, ▼e
700 1 ▼a 이종화 ▼g 李鍾華, ▼e
700 1 ▼a 이홍규 ▼g 李弘揆, ▼e
700 1 ▼a 전성흥 ▼g 全聖興,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1.80951 2013 Accession No. 1116985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동아시아문명총서의 여덟 번째 책. 대체적으로 중국당정의 입장과 궤를 같이하고 있는 ‘중국식 민주론’을 중심으로 좀 더 인민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사회주의 내의 민주(democracy in socialism)를 주장하는 견해, 새로운 길이나 제3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견해, 민주주의 논의에 국가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 그리고 좀 더 자유주의적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견해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중국식 ‘사회주의적 민주’를 조감하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연구소에서 꾸준히 펴내고 있는 동아시아문명총서의 여덟 번째 책이다.

*

이 책에서 소개된 학자들과 견해는 대부분 중국내에서 활동하거나 중국내부의 논의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담론 논의에 참여하는 학자들을 넓게 포괄하고자 노력했으나, 중국내의 논의는 명확한 갈래로 구분하기 쉽지 않고 다른 주장에 대한 반론이 적다는 점에서 명료한 주장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중국 민주주의의 넓은 이념적 스펙트럼을 큰 틀에서 반영하고자했다.
대체적으로 중국당정의 입장과 궤를 같이하고 있는 ‘중국식 민주론’을 중심으로 좀 더 인민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사회주의 내의 민주(democracy in socialism)를 주장하는 견해, 새로운 길이나 제3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견해, 민주주의 논의에 국가 역할을 강조하는 견해 그리고 좀 더 자유주의적 지평을 열고자 하는 견해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 집필진(원고 게재 순) | 이희옥?장윤미 책임 편집

○ 이희옥李熙玉 |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성균중국연구소 소장
○ 장윤미張允美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 김도희金都姬 | 한신대학교 중국지역학과 교수
○ 이문기李汶紀 | 세종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 이민자李民子 | 서울디지털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 이종화李鍾華 | 목원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 이홍규李弘揆 | 동서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 전성흥全聖興 |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희옥(지은이)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성균중국연구소 소장.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의 정치변동과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이며, 주요 논저로 《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 탐색》, 《중국의 국가 대전략 연구》, 《중국의 새로운 민주주의 탐색》 등이 있다.

장윤미(지은이)

동서대학교 중국연구센터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했고,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중국지역학을 공부했다. 중국 베이징대학교 정부관리학원에서 『시장화 개혁시기 중국의 노동정치』에 관한 연구로 박사 논문을 썼다. 서강대 동아연구소, 인천대 인문학연구소,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등에서 연구했다. “중국모델론”, “문화대혁명 기억의 정치”, “중국의 관행”, “중국식 민주”, “중국 국가정체성 연구” 등 선배 및 동료 학자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많은 도움과 지적 자극을 받았고, 그 결과물을 공저 및 번역서, 논문으로 발표했다. 현재 동서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소속으로 “동아시아 서발터니티와 시민성”이란 주제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7
제1부 사회주의에서의 민주주의를 고민하다
 가오팡(高放)의 '사회주의다당제론' = 23
 왕구이슈(王貴秀)의 '사회주의 삼권분립론' = 33
 팡닝(房寧)의 '민족주의적 사회주의민주론 = 43
제2부 제3의 민주를 모색하다
 시에타오(謝韜)의 '민주사회주의론' = 55
 딩쉐량(丁學良)의 '중국모델과 사회민주주의' = 63
 추이즈위안(崔之元)의 '자유사회주의론' = 71
 장무성(張木生)의 '신민주주의 회귀론' = 79
제3부 중국식 민주를 새롭게 해석하다
 위커핑(兪可平)의 '점진개혁식 민주론' = 91
 왕샤오광(王?光)의 '인민민주론' = 99
 허바오강(何包鋼)의 '협상민주론' = 107
제4부 '국가'를 통해 중국식 민주를 말하다 
 정융녠(鄭永年)의 '국가건설론' = 117
 캉샤오광(康曉光)의 '협력주의 국가론' = 125
 판웨이(潘維)의 '자문형 법치국가론' = 133
제5부 중국 자유주의자들, 민주의 지평을 넓히다
 류쥔닝(劉軍寧)의 '자유주의론' = 145
 차오쓰위안(曹思源)의 '민주사회주의론' = 153
 친후이(秦暉)의 '자치민주(自治民主)론' = 161
 류샤오보(劉曉波)의 '자유민주주의론' = 171
찾아보기 = 17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