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러시아의 한국학과 북우 계봉우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병석 尹炳奭, 저 반병률, 潘炳律, 1956-, 저 박노자, 저 조원형 趙原珩, 저 류준필 柳浚弼, 저 이영호 李榮昊, 저 이현주 李賢周, 저 임학성 林學成, 저 계학림, 저 이원용 李元容, 저
단체저자명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서명 / 저자사항
러시아의 한국학과 북우 계봉우 = Buku Gye Bong-U and making of Korean studies in Russi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3  
형태사항
316 p. : 삽화, 초상화 ; 24 cm
총서사항
동아시아한국학연구총서 ;16
ISBN
9788956268668 9788956268354 (세트)
일반주기
글쓴이: 윤병석, 반병률, 박노자(Tikhonov Vladimir), 조원형, 류준필, 이영호, 이현주, 임학성, 계학림, 이원용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수록
주제명(개인명)
계봉우   桂奉瑀,   1880-1959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56538
005 20230309151519
007 ta
008 130704s2013 ulkac b 000c dkor
020 ▼a 9788956268668 ▼g 93810
020 1 ▼a 9788956268354 (세트)
035 ▼a (KERIS)BIB000013208090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951.9007202 ▼2 23
085 ▼a 953.007202 ▼2 DDCK
090 ▼a 953.007202 ▼b 2013
245 0 0 ▼a 러시아의 한국학과 북우 계봉우 = ▼x Buku Gye Bong-U and making of Korean studies in Russia / ▼d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260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13
300 ▼a 316 p. : ▼b 삽화, 초상화 ; ▼c 24 cm
440 0 0 ▼a 동아시아한국학연구총서 ; ▼v 16
500 ▼a 글쓴이: 윤병석, 반병률, 박노자(Tikhonov Vladimir), 조원형, 류준필, 이영호, 이현주, 임학성, 계학림, 이원용
504 ▼a 참고문헌과 부록수록
536 ▼a 이 책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600 1 4 ▼a 계봉우 ▼g 桂奉瑀, ▼d 1880-1959
700 1 ▼a 윤병석 ▼g 尹炳奭, ▼e▼0 AUTH(211009)144167
700 1 ▼a 반병률, ▼g 潘炳律, ▼d 1956-, ▼e▼0 AUTH(211009)87837
700 1 ▼a 박노자, ▼e▼0 AUTH(211009)92588
700 1 ▼a 조원형 ▼g 趙原珩, ▼e▼0 AUTH(211009)69284
700 1 ▼a 류준필 ▼g 柳浚弼, ▼e▼0 AUTH(211009)77362
700 1 ▼a 이영호 ▼g 李榮昊, ▼e▼0 AUTH(211009)7390
700 1 ▼a 이현주 ▼g 李賢周, ▼e▼0 AUTH(211009)102413
700 1 ▼a 임학성 ▼g 林學成, ▼e▼0 AUTH(211009)95063
700 1 ▼a 계학림, ▼e
700 1 ▼a 이원용 ▼g 李元容, ▼e▼0 AUTH(211009)34350
710 ▼a 인하대학교. ▼b 한국학연구소, ▼e
900 1 0 ▼a Yoon, Hyung-seok, ▼e
900 1 0 ▼a Ban, Byung-yool, ▼e
900 1 0 ▼a Vladimir, Tikhonov, ▼e
900 1 0 ▼a Cho, Wonh-yong, ▼e
900 1 0 ▼a Ryu, Jun-pil, ▼e
900 1 0 ▼a Lee, Young-ho, ▼e
900 1 0 ▼a Lee, Hyunju, ▼e
900 1 0 ▼a Lhim, Hag-seong, ▼e
900 1 0 ▼a Ге, Хакрим, ▼e
900 1 0 ▼a Ge, Khakrim, ▼e
900 1 0 ▼a Lee, Wonyong,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7202 2013 등록번호 1116977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한국학을 재구축하자는 취지로 제안한 '동아시아한국학'의 실천방안 중 하나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국가사적 시야에서 소외된 변방의 한국학을 발굴함으로써 한국학의 계보를 재구축을 하고자 하였다. 이 책이 바로 그 결실이 되었고, 이 책에서 북우 계봉우의 한국학을 검토한 것은 '러시아 한국학'의 계보를 추적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한국학을 재구축하자는 취지로 제안한 ‘동아시아한국학’의 실천방안 중 하나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국가사적 시야에서 소외된 변방의 한국학을 발굴함으로써 한국학의 계보를 재구축을 하고자 하였다. <러시아의 한국학과 북우(北愚) 계봉우(桂奉瑀)>(소명출판, 2013)가 바로 그 결실이 되었고, 이 책에서 북우 계봉우의 한국학을 검토한 것은 ‘러시아 한국학’의 계보를 추적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국학’의 체계를 세운 인물, 계봉우
해외에서 한국학을 연구한 인물로 박은식, 신채호를 대표적으로 들고 그들을 통해 한국사학사가 구축되었다. 그들은 중국에서 활동했고 글이 국내에서 출판되거나 언론에 게재되었다. 그래서 국내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계봉우는 다르다. 계봉우는 80년의 삶을 한국,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 동아시아 4개국을 넘나들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 민족의 독립운동과 함께 한국 관련 저술과 교육에 전념하여 ‘한국학’의 체계를 세운 인물이다. 그는 어떤 특정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국어학, 국문학, 한국사는 물론 한국의 경제, 종교, 민속, 음악 등 한국학 전반에 걸쳐 연구하고 저술하였다. 그가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활동했지만 특별히 중앙아시아에서 한국학의 선구적 업적을 남긴 점은 주목해야 할 점이다.
계봉우는 함경도에서 출생한 후 간도, 연해주, 중앙아시아 등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하고 그 일환으로 한국학에 관한 저술 및 교육에 전념한 인물이나, 의외로 국내학계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이다. 러시아의 한국학이 주류 계보에서 소외된 계봉우를 통해 그 실마리가 열리게 되었음을 볼 때 해외에 사장된 한국학의 다양한 계보를 발굴하는 작업이 절실함을 느낀다. 이러한 우회로를 통해 복수의 한국학을 발견하고 그 상생적 소통을 통해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한국학의 재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계봉우는 의병과 독립운동 연구과정에서 일찍이 주목된 인물이다. 그가 ‘뒤바보’, ‘북우(北愚)’, ‘사방자(四方子)’라는 필명으로 연해주 독립운동의 실상을 담은 <아령실기(俄領實記)>나, 한말 의병의 항일투쟁을 담은 <의병전(義兵傳)> 등의 저술을 남겼기 때문이다. 민족운동가로서의 삶과 러시아 한국학자로서의 삶이 결합하여 계봉우는 ‘동아시아한국학’의 계보 상에서 부활했다.

계봉우의 민족운동과 한국학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봉우의 항일민족운동과 러시아의 한국학’에서는 계봉우의 삶과 저술활동을 개관하고, 그의 항일민족운동을 정리한 글을 실었다. 그가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한 뒤 박미하일을 만나 한문과 한국학에 대한 이해를 전수함으로써 러시아 한국학의 태동에 기여한 과정은 러시아 한국학의 태동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계봉우와 박미하일의 조우는 러시아 지역 ‘한국인의 민족학’과 ‘러시아 한국학’ 두 계보의 연계성을 말해준다.
‘계봉우의 한국학 연구’에는 국어학, 한국문학, 한국역사, 전통사회 인식, 사회주의 인식 등 한국학에 관한 각론에 해당하는 글을 실었다.
계봉우의 언어학 관련 주요 저작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문학사 서술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실었다. 또한 민족운동의 고양과 전변 속에서 그의 한국역사 인식의 특성과 변화, 그것이 해외 한국인의 민족학으로서 어떤 특성을 지닌 것인지를 확인하였고, 계봉우의 저서 <조선역사>를 분석하여 그의 독특한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부록에서는 아버지인 계봉우의 삶과 한국학 연구를 회고한 계학림 선생의 글, 그리고 계봉우의 저술 목록을 조사하여 실었다. 계학림 선생은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의 학술회의에서 회고를 해주시기도 했지만 이 책에는 2000년 카자흐스탄 크즈일오르다에서 99부 한정판으로 간행된 <삶 후의 삶(Жизнь после жизни)>을 번역하여 실었다. 계봉우는 자서전으로 <꿈속의 꿈>을 남겼는데, 아들의 글은 아버지의 꿈이 아닌 삶과, 그의 삶이 문헌으로, 훈장으로, 후학의 연구로 부활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한국학 계보의 재구축을 위하여
계봉우는 근대 동아시아에서 한국학의 성립 및 계보를 정리하는데 있어 빠뜨릴 수 없는 인물이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이 책을 통해 그가 함경도, 간도, 상해, 연해주, 중앙아시아에서 역경을 견디며 민족운동에 나선 과정을 살피는 한편, 그의 한국학을 문학, 역사, 종교, 이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족의 독립을 염원한 계봉우의 삶 속에서 한국학을 각 분야별로 검토하고, 러시아 한국학의 태동과 관련된 계기를 살펴볼 수 있었다. <러시아의 한국학과 북우(北愚) 계봉우(桂奉瑀)>이 출간됨으로써 계봉우와 러시아 한국학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한국학 계보의 재구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윤병석(尹炳奭 Yoon Byungseok) 인하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반병률(潘炳律 Ban Byungyool)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박노자(Vladimir Tikhonov)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교 인문학부 문화연구 및 동방언어과 교수
조원형(趙原珩 Cho Wonhyong) 국립국어원 연구사
류준필(柳浚弼 Ryu Junpil)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HK교수
이영호(李榮昊 Lee Youngho) 인하대학교 인문학부 사학전공 교수, 한국학연구소 소장
이현주(李賢周 Lee Hyunju) 국가보훈처 연구관
임학성(林學成 Lhim Hagseong)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HK교수
계학림(Ге Хакрим) 계봉우 선생의 막내 아들
이원용(李元容 Lee Wonyong) 러시아어 번역 및 러시아 관련 자유기고가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엮은이)

2007년부터 ‘동아시아 상생과 소통의 한국학’을 의제로 삼아 인문한국(HK)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생과 소통을 꾀하는 동아시아한국학이란, 우선 동아시아 각 지역과 국가의 연구자들이 자국의 고유한 환경 속에서 축적해 온 ‘한국학(들)’을 각기 독자적인 한국학으로 재인식하게 하고, 다음으로 그렇게 재인식된 복수의 한국학(들)이 서로 생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구성해내는 한국학이다. 우리는 바로 이를 ‘동아시아한국학’이라는 고유명사로 명명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간행사 = 3
서문 = 5
제1부 계봉우의 항일민족운동과 러시아의 한국학 = 11
 계봉우의 민족운동과 한국학 / 윤병석 = 13
 러시아혁명 전후 시기 계봉우의 항일민족운동, 1919∼1922 : 기독교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 반병률 = 31
 계봉우와 미하일 朴의 한국학 : 근현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해서 / 박노자 = 68
제2부 계봉우의 한국학 연구 = 93
 언어학자 '게봉우' : 민족어 연구와 마르주의 사이에서 / 조원형 = 95
 계봉우의 문학사 인식과 서술 :『조선문학사』를 중심으로 / 류준필 = 138
 계봉우의 한국역사 인식과 역사관 / 이영호 = 157
 계봉우의 사회주의사상과 역사서술 체계 : 독립운동사 서술체계를 중심으로 / 이현주 = 190 
 계봉우의 한국사회사 인식 :『朝鮮歷史』의 階級 및 奴隸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 임학성 = 224
부록 _ 삶 후의 삶 : 한국의 영웅, 학자, 계몽가인 나의 아버지 계봉우에 대한 회고 / 계학림 = 253
필자 소개 = 315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김민수 (2022)
서종원 (2022)
최보영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