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8c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756496 | |
005 | 20130705180231 | |
007 | ta | |
008 | 130704s2013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6808908 ▼g 04600 | |
020 | 1 | ▼a 9788966801602 (세트) |
020 | 1 | ▼a 9788966808397 (세트B) |
035 | ▼a (KERIS)BIB000013161224 | |
040 | ▼a 211014 ▼d 211009 | |
082 | 0 4 | ▼a 700.68 ▼2 23 |
085 | ▼a 700.68 ▼2 DDCK | |
090 | ▼a 700.68 ▼b 2013 | |
100 | 1 | ▼a 임연철 ▼0 AUTH(211009)31856 |
245 | 1 0 | ▼a 예술경영 / ▼d 임연철, ▼e 박정배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3 | |
300 | ▼a xxiv, 161 p. : ▼b 삽화 ; ▼c 19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박정배, ▼e 저 ▼0 AUTH(211009)123186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68 2013 | Accession No. 1116977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임연철(지은이)
언론인, 예술경영인으로 일했으며 현재는 미국 드루대 감리교 아카이브 연구원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활동 중이다. 모태신앙인으로 논산제일감리교회에서 유아세례를 받았고 고등학교를 서울(1964)에서 다니면서 경동교회에 출석하고 있으며 직분은 집사이다. 서울대학교 사학과(1972)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예술경영학석사(2002), 성균관대학교에서 공연예술학 박사(2006)를 받았다. 그리고 감신대와 총신대가 운영하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위취득 과정을 수료, 교육부로부터 신학사 학위(2014)를 받았다. 중앙일보(1974~1978)에서 기자를 시작해 동앙일보(1978~2007)에서 문화부 기자를 거쳐 문화부장, 편집부국장, 논설위원, 사업국장을 엮임했다. 중앙대(2007~2008)와 숙명여대(2012~2014) 초빙교수, 건양대(2014~2017) 대우교수를 지냈으며 공연 전시 마케팅과 홍보를 강의했다. 국립중앙극장 극장장(2009~2011)으로서 공연 기획 제작, 경영을 총괄했다. 서울 서초문화예술회관 관장(2017~2019)으로 일했다. 예술경연 관련 저술로 『문화예술 홍보론』(2007), 『문화예술 마케팅』(공역, 2007), 『극장 경영』(공역, 2011), 『뮤지엄 매니지먼트』(공역, 2011), 『예술 경영』(공저, 2013), 『공연예술 마케팅』(공역, 2016)이 있다. 종교 관련 저술로는 문화부 기자 재직 시 펴낸 『민중 속의 성직자들』(1984)이 있다. 본사에서 펴낸 『이야기 사애리시』와 『지네트 월터 이야기』는 각각 2020년과 2021년 세종도서 교양부분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박정배(지은이)
박정배 박사는 청운대학교 공연기획경영학과(4년제 최초), 문화예술경영‧MICE(석사과정)을 개설하여 틀을 만든 초대 학과장‧교수이다. 활발한 학회(KRI)에서 역할(회장‧부회장‧이사 등)과 정부·자치단체‧기업 등의 관련 분야에서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칭‧협상‧갈등관리‧한류 CEO·엔터테인먼트경영‧마케팅‧문화 전문가과정 등도 이수하며 문화융합과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예술경영의 생성과 본질 고전예술과 대중예술 예술경영의 마케팅 전략 예술경영의 마케팅 전술 문화예술 홍보 관객충성도 구축 예술경영의 e비즈니스 활용 예술교육 예술경영 스폰서십 직원ㆍ단원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