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화관광분야 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문화관광분야 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류정아, 연구책임 전병태, 연구책임 최경은, 연구책임 이상열, 연구책임 김현경, 연구 이남희, 연구 김태희, 연구 정선경, 연구 강윤희, 연구
서명 / 저자사항
문화관광분야 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 류정아 [외 연구책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형태사항
xxiii, 132 p. : 삽화, 도표 ; 25 cm
총서사항
특별연구 ;2012-06
ISBN
9788960353824
일반주기
연구보조: 김현경, 이남희, 김태희, 정선경, 강윤희  
서지주기
참고문헌(p. 125-128)과 부록수록
000 01220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756471
005 20130705092705
007 ta
008 130704s2012 ulkad b 000c kor
020 ▼a 9788960353824 ▼g 93300
035 ▼a (KERIS)BIB000013192932
040 ▼a 244031 ▼c 244031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38.4791 ▼2 23
085 ▼a 338.4791 ▼2 DDCK
090 ▼a 338.4791 ▼b 2012z5
245 0 0 ▼a 문화관광분야 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 ▼d 류정아 [외 연구책임]
246 1 1 ▼a (The) directions and tasks of the culture-tourism convergence policy
260 ▼a 서울 : ▼b 한국문화관광연구원, ▼c 2012
300 ▼a xxiii, 132 p. : ▼b 삽화, 도표 ; ▼c 25 cm
490 1 0 ▼a 특별연구 ; ▼v 2012-06
500 ▼a 연구보조: 김현경, 이남희, 김태희, 정선경, 강윤희
504 ▼a 참고문헌(p. 125-128)과 부록수록
700 1 ▼a 류정아, ▼e 연구책임 ▼0 AUTH(211009)13186
700 1 ▼a 전병태, ▼e 연구책임 ▼0 AUTH(211009)14251
700 1 ▼a 최경은, ▼e 연구책임 ▼0 AUTH(211009)20194
700 1 ▼a 이상열, ▼e 연구책임 ▼0 AUTH(211009)141412
700 1 ▼a 김현경, ▼e 연구
700 1 ▼a 이남희, ▼e 연구
700 1 ▼a 김태희, ▼e 연구
700 1 ▼a 정선경, ▼e 연구
700 1 ▼a 강윤희, ▼e 연구
830 0 ▼a 특별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 ▼v 2012-06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8.4791 2012z5 등록번호 1116977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류정아(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프랑스 파리 고등사회과학원(EHESS)에서 사회인류학 및 프랑스민족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논문을 위한 현지조사는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 지역에서 수행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는 지역문화정책, 지역축제, 성평등문화정책, 프랑스문화정책, 문화다양성, 문화엑스포, 복합문화공간, 문화콘텐츠융합 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단 위원(2020∼2021), 외교부 무상원조관계기관협의회 민간전문가단 위원(2020), 서울시 축제위원회 위원장(2019∼2021),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실무위원회 위원(2017∼2021), 문화재청 자체평가위원(2014∼2021), 문체부 지역문화협력위원회 위원(2015∼2017), 문체부 양성평등문화정책실무위원회 위원(2015∼2016),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실 관광진흥비서관(2013∼2014)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박사학위논문의 한글 번역본인 『전통성의 현대적 발견: 남프랑스 마을의 축제문화』(1998)를 비롯해 『마르셀 모스, 증여론』(2016), 『축제와 융합콘텐츠 전략』(2015), 『세계축제의 향연』(공저, 2015), 『지속가능발전 종합전략: 대한민국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모델 제시』(공저, 2015), 『축제이론』(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축제와 문명』(1998)이 있다.

전병태(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책임연구원

최경은(지은이)

서울대학교 지리학 박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상열(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25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6


1. 사회경제 발전 패러다임 변화에 선도적 대응 26


2. 창조산업 발전의 국가 정책적 토대 구축 27


3. 문화예술과 과학기술의 다차원적 네트워킹 모색 27


4. 문화관광 융합정책의 비전과 세부 전략 수립 28


제2절 연구 방법 30


1. 문헌연구 및 자료조사 30


2.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및 설문조사 31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32


1. 융합연구의 방향 정립 32


2. 융합정책 추진 토대 구축 32


3. 융합적 정책환경 조성 계기 마련 33


제2장 융합연구의 특성과 현황 34


제1절 융합연구의 특성 35


1. 다학문적ㆍ학제적ㆍ초학문적인 소통과 협력 35


2. 문제 해결 및 지속가능한 발전 지향 38


제2절 해외 융합연구의 추세 40


1. 융ㆍ복합 연구를 통한 글로벌 지속가능성 모색 40


2. 과학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통한 예술영역 확장 43


3. 과학과 인문사회과학 융합연구를 통한 혁신 도모 46


4. 융합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 양성 47


제3절 국내 융합연구 및 추진체계 현황 51


1. 관련 법ㆍ제도 및 정책 동향 51


2. 분야별 융합연구 및 지원 현황 60


3. 국내 융합연구 발전의 시사점 64


제3장 문화관광 융합정책의 의미와 발전배경 68


제1절 창조산업과 문화콘텐츠산업의 관계 69


1. 창조산업의 개념과 범주 69


2. 우리나라에서 창조산업의 포괄 범위 74


제2절 창조경제시대의 도래와 창조산업의 발전 76


1. 소프트 콘텐츠의 창조적 가치 부각 76


2. 정부 부처 간 융합형 정책 협력 77


3. 다양한 참여주체의 거버넌스 활성화 79


제3절 문화자원과 콘텐츠산업의 연계 80


1. 문화예술정책과 콘텐츠산업정책의 연계 80


2. 문화콘텐츠산업 가치와 문화예술 가치의 상호 연동 82


3. 콘텐츠산업과 네트워크산업 발전과정의 차별화 83


제4장 문화관광 분야별 융합효과와 사례 85


제1절 문화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효과와 사례 86


1. 새로운 형태의 예술 영역 창출 86


2. 예술의 대중화 및 소통 효과 극대화 90


3. 과학기술 제품에 감성 부여 및 부가가치 창출 95


제2절 문화자원과 콘텐츠산업의 융합효과와 사례 97


1. 첨단 융합 콘텐츠 기술 개발 활성화 97


2. 전통문화자원의 콘텐츠산업 활용 수요 증대 98


3. 지역문화 경쟁력 제고 102


제3절 문화관광산업의 융합효과와 사례 105


1. 문화콘텐츠 융합형 관광산업 발전 105


2. 기술기반 융합형 관광서비스 발전 111


3. 의료ㆍMICE 융합형 관광산업 발전 113


제5장 문화관광 융합정책 추진전략 120


제1절 전문가 의견 조사 121


1. 조사 방법 및 목적 121


2. 융합정책연구 현황 및 정책방향 122


제2절 문화관광 융합정책 시스템 구축 효율화 전략 129


1. 문화관광 융합 정책 네트워크 구축 129


2. 문화관광 정책환경 변화 예측 시스템 구축 131


3. 문화관광 정책정보의 생산ㆍ연동ㆍ공유체계 구축 132


제3절 융합자원 활용 활성화 및 시너지효과 극대화 전략 134


1. 거버넌스-파트너십 융합공동체 기반 조성 134


2. 융합형 전문 인력 교육시스템 구축 135


3. 문화관광 융합의 시너지 효과 및 가치 창출 기반 조성 135


제6장 결론 138


참고문헌 141


ABSTRACT 145


[부록] 설문지 147


판권기 149


[표 2-1] 융합연구의 발전단계 37


[표 2-2] 시대별 융합연구 배경과 발전분야 39


[표 2-3] 영국 EPSRC의 공정ㆍ환경과 지속가능성 프로그램(PES) 41


[표 2-4] 도출된 융합분야 영역 및 분야 42


[표 2-5] 주요 융합연구 추진 해외사례 49


[표 2-6] 영국ㆍ미국ㆍEU의 문화 융합형 서비스 및 콘텐츠 연구개발 사례 50


[표 2-7]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 내 문화예술과 과학기술 융합 사업 53


[표 2-8] 융합연구 현황 주요 결과 55


[표 2-9] 2010년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 57


[표 2-10] 스마트문화예술 (Smart Arts) 창조의 주요 내용 58


[표 2-11] 주요 대학의 학문융합 추진 현황 59


[표 2-12] 주요 융합연구 추진 국내사례 60


[표 2-13] 2010년 인문한국연구소 지원사업 목록 63


[표 2-14] 미국과 영국의 융합연구사업과 한국융합연구사업의 비교 65


[표 3-1] 유네스코 문화통계체계(FSC)에서의 문화부문 73


[표 3-2] 제조업, 서비스업, 문화콘텐츠산업에서 혁신과 R&D 특성 비교 77


[표 3-3] 지역문화 원형가치의 실용 콘텐츠화 단계적 접근 81


[표 3-4] 스로스비의 동심원 모델에 의한 문화산업 범주 도식 82


[표 4-1] 문화예술 분야에 적용된 CT 요소 92


[표 4-2] 런던 스트리트 뮤지엄 프로그램 내용 94


[표 4-3] 콘텐츠산업과 고유문화의 연계 유형 99


[표 4-4] 문화원형 과제 통합포털서비스 현황 100


[표 4-5] 문화원형 디지털사업의 연도별 투자예산 101


[표 4-6] 문화관광콘텐츠의 국내외 사례 106


[표 4-7] 참여형 문화체험관광 사례 109


[표 4-8] 의료관광 상품화 추진 사례 115


[표 4-9] 의료관광단지 개발 추진 사례 116


[표 4-10] MICE 산업의 유형별 정의 118


[표 5-1] 융합연구의 추세 122


[표 5-2] 융합연구의 목적 123


[표 5-3] 융합연구의 지원 124


[표 5-4] 융합정책의 과제 우선순위 125


[표 5-5] 융합연구의 지원 126


[표 5-6] 융합정책의 과제 중요 요건 128


[그림 1-1] 문화관광정책 수립을 위한 융합연구의 방향과 비전 29


[그림 2-1] 융합연구의 유형별 네트워크 구조 36


[그림 2-2] 융합연구의 체계 37


[그림 2-3] ICC내부 45


[그림 2-4] ICC에서 선보인 크리스타 소머러와 로랑 미뇨노의 ''Life Spacies'' 45


[그림 2-5]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의 학문ㆍ신기술ㆍ산업 융합 개념도 52


[그림 2-6] 산업융합발전 개념도 54


[그림 3-1] UNCTAD의 창의성 구분과 관계도 70


[그림 3-2] UNCTAD의 창조산업 분류 70


[그림 3-3] 스로스비의 동심원 모델에서 바라본 창조산업의 구성 71


[그림 3-4] 문화원형 사례로 본 창작콘텐츠 활용 분야 76


[그림 3-5] 효율적 창조산업 정책 마련을 위한 정부부처 간 협력 78


[그림 3-6] 창조산업의 발전을 위해 협력하는 다양한 주체들 79


[그림 4-1] 하이브리드 예술가 이이남의 ''신 고흐의 자화상'' 88


[그림 4-2] 여수엑스포 디지털갤러리 영상 88


[그림 4-3] 국립중앙박물관 가상박물관 스크린샷 89


[그림 4-4] 구글 아트프로젝트 예술작품 90


[그림 4-5] 구글 아트프로젝트 박물관 뷰 90


[그림 4-6] 미국의 키드로봇에서 만든 아트토이 작품 91


[그림 4-7] 아트토이 전시회 91


[그림 4-8]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디어 아트 작품 92


[그림 4-9]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 MOMA 전시 모습 92


[그림 4-10] 뉴욕 현대미술관의 증강현실 기술 활용 전시 모습 94


[그림 4-11] 런던박물관 스트리트 뮤지엄 95


[그림 4-12] 아트디오스 96


[그림 4-13] 하상림의 꽃작품 96


[그림 4-14] 문화 전달 플랫폼의 개념 97


[그림 4-15] 원이엄마의 편지 102


[그림 4-16] 원이엄마의 미투리 102


[그림 4-17] 서남권 특화산업디자인 역량강화사업 사업 방향 103


[그림 4-18] 서남권 디자인 거점기관(광주디자인센터)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104


[그림 4-19] 일본 유바리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108


[그림 4-20] 미국 디즈니랜드 108


[그림 4-21] 뉴질랜드 반지의 제왕 호비튼마을의 촬영지 마타마타 108


[그림 4-22] 뉴질랜드 통가리로 국립공원 내 루아페후산 108


[그림 4-23] 애비 로드 스튜디오 110


[그림 4-24] 애비 로드 횡단보도 110


[그림 4-25] 비틀즈 관광버스 110


[그림 4-26] 리버풀의 비틀즈 스토리 110


[그림 4-27] 신라역사여행 앱 111


[그림 4-28] 북한산 둘레길 앱 111


[그림 4-29]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TOURBOT 로봇 112


[그림 4-30]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3D 영상 113


[그림 4-31] 황룡사 9층 목탑 3D 복원 113


[그림 5-1] 문화관광 융합정책 모형도 129


[그림 5-2] 문화예술 콘텐츠 활용 네트워크 구조 137

관련분야 신착자료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22)
백인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