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국제기구 멘토링 : 10년의 국제기구 경험담과 GCF 유치과정 스토리 (Loan 1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홍상 政弘相
Title Statement
국제기구 멘토링 : 10년의 국제기구 경험담과 GCF 유치과정 스토리 / 정홍상 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하다 :   늘품플러스,   2013  
Physical Medium
286 p. : 삽화 ; 22 cm
ISBN
9788997170111
000 00647namcc2200217 c 4500
001 000045756263
005 20130702093039
007 ta
008 130628s2013 ulka 000c kor
020 ▼a 9788997170111 ▼g 0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1.2 ▼2 23
085 ▼a 341.2 ▼2 DDCK
090 ▼a 341.2 ▼b 2013
100 1 ▼a 정홍상 ▼g 政弘相 ▼0 AUTH(211009)58808
245 1 0 ▼a 국제기구 멘토링 : ▼b 10년의 국제기구 경험담과 GCF 유치과정 스토리 / ▼d 정홍상 글
246 1 1 ▼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entoring
260 ▼a 서울 : ▼b 하다 : ▼b 늘품플러스, ▼c 2013
300 ▼a 286 p. : ▼b 삽화 ; ▼c 22 cm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1.2 2013 Accession No. 1116975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국제기구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에 관한 정보를 시시콜콜하게 전해주는 책이 아니다. 인터넷을 활용해 국제기구 DB에 들어가 살짝 그곳을 견문한 뒤 요령 있게 그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와도 다르다. 한국의 고위 관료로서 ‘강산이 한 번은 변한다’는 10년의 세월 동안 국제기구에서 ‘실무자’와 ‘관리자’로서 일한 저자가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들려주는 국제기구 체험담이자 안내서다.

국제기구의 의미에서부터, 그들이 지닌 세계적 위상과 기능, 나아가 그곳에서 실제 벌어지는 일, 그리고 종내는 ‘그럼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며 국제기구에 진출해 그를 잘 활용해야 할까’ 등을 차분한 어조로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아버지가 자신의 아들에게 들려주는 듯한 국제기구에 관한 일종의 종합 소개서다. 따라서 해도 좋고 안 해도 좋은 공론(空論)은 피했다.

실제로 국제기구에서 벌어지는 일을 중심으로 저자 자신의 경험을 소개하며, 아울러 그곳에 진출하기 위해 한국의 젊은이들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등을 담백한 어조로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재능 있는 젊은이들이 더 큰 세계로 나아가 열정을 펼칠 무대인 국제기구에 대해 좀 더 현실적이고 도움이 되는 조언들을 가득 담았다.

외국인이 가득한 홀의 연단에 서서 유창한 영어로 발표를 하는 당신의 모습? 이 그림을 그린다면 국제기구에 대한 당신의 이해는 절반 수준이다. 국제기구도 상사와 부하가 있으며, 동료 사이의 냉정한 경쟁이 존재하는 직장이기 때문이다. 우선 당신이 국제기구라는 직장에서 근무한다면 ‘미션’이라고 불리는 출장을 밥 먹듯이 다니면서 아주 고된 업무를 이겨내야 한다. 가끔은 난방 시스템도 가동하지 않은 숙소에서 잠을 청하기도 해야 한다. 또 여러 나라 출신의 직장동료들이 가진 문화를 존중해야 하고, 사람끼리 어울리는 만큼 인간관계에도 신중해야 한다.
그런 일상적인 모습의 국제기구는 그럼 한국의 여느 직장과 무엇이 다를까. 무엇보다 효율이 앞장을 서고, 체계적으로 정밀하게 분화한 시스템이 그를 뒷받침한다. 정서적 관계가 아직은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한국의 풍토와는 다르다. 이 책의 미덕은 그를 모두 담담하며 세밀하게 펼쳐 국제기구라는 낯선 직장을 들여다보려는 이들에게 충실한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는 데 있다.
국제기구가 어떤 철학적 바탕에서 만들어졌는지를 말하는, ‘선생님스러운’ 대목은 우선 많지 않다. 그러나 국제기구라는 직장이 어떤 흐름에서 돌아가는지, 보고서는 왜 유용한지, 그곳에서 통용되는 영어라는 공용어는 어떻게 우리 곁으로 끌고 와야 하는지 등을 세밀하게 소개하고 있다. 직접 채용에도 관여한 적이 있던 저자의 설명은 국제기구 지원자들로 하여금 그곳의 인력 채용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창(窓)이기도 하다.
그런 세밀한 충고가 가능한 이유는 저자의 경력 때문이다. 스스로 오랜 기간 근무했기 때문에 가장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는 IMF(국제통화기금)와 ADB(아시아개발은행)를 통해 국제기구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소개한다. 실무자의 시각에서 근무했던 IMF의 업무 방식과 미션 경험, 그리고 재무국장으로서 관리자의 시각에서 일했던 ADB에서의 인사관리 경험과 성과 평가 방식, 그리고 소통을 위한 노력까지…….
마지막으로 2012년 우리나라에 최종 유치가 결정된 GCF(녹색기후기금)의 유치 과정 전반을 이끌었던 저자의 노력을 덧붙였다. 이 책을 통해 당신은 ‘실무자’와 ‘관리자’로서의 두 관점이 모두 섞인 국제기구를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국제기구를 유치하는 과정에 대한 생생하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국제관계에 대한 폭넓은 시각까지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정말 진지하게 국제기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이 책을 당신의 멘토로 주저 없이 추천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홍상(지은이)

APEC기후센터 원장을 역임했다. 기획재정부 대외경제협력관과 기상청 차장을 거쳤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를,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지은 책에 『경제정책과 재정』(1999), 『국제기구 멘토링』(2016)이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기업·정부 부문의 회계·재무관리에 관심이 많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1 국제기구 알아보기
 국제기구란 = 16 
  다양한 국제기구 = 18 
  국제기구는 왜 생기나 = 20 
  국제기구의 역할 = 23 
  국제기구에서 의사결정은 어떻게 하나 = 25 
 IMF, 어떤 곳인가_실무자의 시각에서 = 27 
  IMF는 무슨 일을 하나 = 28 
  IMF와 WB는 서로 밀접하게 협력 = 29 
  일에 집중할 수 있는 사무실 공간과 업무 방식 = 31 
  "아"해서 다르고 "어"해서 다른 영어 = 33 
  다른 문화의 경험 = 35 
  타지키스탄(Tajikistan) 미션 경험 = 37 
  미션의 사전 준비 = 39 
  미션 현장에서 = 41 
  정부와의 정책 협의 = 45 
 ADB, 어떤 곳인가_관리자의 시각에서 = 51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개발도상국에 금융지원하기 위해 설립 = 53 
  회원국들이 지분에 따라 경영권을 행사 = 57 
  3,000여 명의 직원 중 여성이 약 30% = 59 
  프로젝트 현장에서는 어떤일이 = 61 
  조직을 관리하고 이끈다는 것 = 64 
  인사관리는 어떻게 = 69 
  성과 평가와 모티베이션 = 72 
  협력과 소통을 위한 노력 = 76 
 GCF, 어떤 곳인가 = 79 
  기후 변화에 대한 논의 = 80 
  GCF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금융지원을 위해 설립 = 84 
  GCF는 무슨 일을 어떻게 하나 = 86 
  GCF의 지배구조는 어떤가 = 88 
  GCF의 재원은 얼마나 조성되나 = 90 
  GCF의 조직구조는 어떻게 되나 = 93 
  GCF의 직원은 어떻게 채용하나 = 94 
  GCF 유치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나 = 95 
  GCF 유치 이후 = 98 
Part 2 국제기구 진출하기 
 국제기구는 어떤 직장인가 = 107 
  다양한 국가 출신의 직원들과 다문화 환경 = 108 
  가치와 절차를 중요시하는 업무 방식 = 111 
  전문성을 중시하는 조직 문화 = 113 
  기구에 대한 헌신이 우선  = 116 
  업무에서 미션(mission)이 많다 = 118 
  협력과 소통이 중요하다 = 119 
  좋은 보수와 복지 혜택, 자기개발의 기회 = 121 
 국제기구에 들어가기 = 123 
  채용의 두 가지 경로 = 124 
  특정한 직책에 대한 전문가를 뽑는 것이 원칙 = 127 
  채용은 여러 단계를 거친다 = 128 
  능력 기준이지만 지역별 구성도 감안 = 131 
  업무 경력이 중요하다 = 132 
  채용과정은 해당 국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134 
  여성이 더 유리하다 = 135 
  영어는 상대방이 알아듣기 쉽도록 = 136 
  인터뷰에서는 전문성과 태도를 본다 = 137 
  인터뷰의 예상 질문 = 141 
 국제기구에서 일하기 = 145 
  업무 전문성이 우선 = 146 
  횡적인 업무 협조를 잘 해야 = 148 
  적극적인 자세가 바람직 = 150 
  동료와의 인간관계도 중요하다 = 152 
  영어를 갈고 닦아야 = 155 
  다문화 환경을 즐겨라 = 159 
Part 3 국제기구 유치하기 - GCF 유치, 어떻게 성공했나 
 GCF 유치국가를 선정한 과정 = 173 
 유치전에 뛰어 들다 = 181 
  유치전(戰)의 시작 = 181 
  민간유치위원회를 구성하다 = 186 
  유치 제안서를 경쟁력 있게 = 188 
  열정, 겸손하지만 강한 자신감 = 195 
  녹색 브로슈어와 감동을 주는 동영상 = 199 
  5월 본 기후변화회의에 데뷔하다 = 202 
  중국과 힘을 합치다 = 205 
  불확실 속에서 길을 찾다 = 207 
  곡절이 많았던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몫의 이사 선임 = 211 
  벽돌 하나하나를 쌓듯이 = 214 
 유치를 위해 설득하기 = 223 
  왜 한국이어야 하는가 = 223 
  국가별로 누가 어떻게 결정하나 = 232 
  설득의 결과는 열정과 노력, 배려가 결정한다 = 236 
  해외 언론을 통해서 이사국 결정자들에게 압력을 = 241 
  불발에 그친 세계 어린이 그림 공모전과 인천대교 걷기대회 = 243 
  경기 규칙을 잘 정하는 것이 열심히 뛰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 = 244 
  1차 이사회와 방콕 기후변화회의에서의 설득 = 246 
  워싱턴 평가위원회에서 만점(full greenlight)을 받다 = 250 
 마침내 유치에 성공하다 = 254 
  인류애, 환경 보호에서 모범인 북구 나라들 = 254 
  청와대도 적극 나서다 = 260 
  인천 송도 2차 이사회에서 감동을 = 266 
  어느 민간단체의 실패한 태클 = 268 
  인천시의 남다른 노력 = 270 
  긴박했던 투표 전 며칠 = 272 
  마침내 투표에서 유치국가로 선정되다 = 275 
  GCF의 유치에 성공한 요인 = 277 
  인화, 함께 성과를 만들어 내다 = 28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아시아국제법발전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