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컴퓨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 1
1.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 2
1.1.1. 구성요소로 본 인터넷 = 2
1.1.2. 서비스 측면에서 본 인터넷 = 5
1.1.3.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 6
1.2.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 9
1.2.1. 접속 네트워크 = 11
1.2.2. 물리 매체 = 17
1.3. 네트워크 코어 = 20
1.3.1. 패킷 교환 = 21
1.3.2. 회선교환 = 24
1.3.3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 28
1.4.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손실과 처리율 = 32
1.4.1.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 개요 = 32
1.4.2. 큐잉 지연과 패킷 손실 = 35
1.4.3. 종단간 지연 = 37
1.4.4.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처리율 = 40
1.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 43
1.5.1. 계층구조 = 43
1.5.2. 캡슐화 = 48
1.6. 공격받는 네트워크 = 50
1.7. 컴퓨터 네트워킹과 인터넷의 역사 = 54
1.7.1. 패킷 교환 개발 : 1961∼1972 = 54
1.7.2. 독점 네트워크와 인터네트워킹 : 1972∼1980 = 56
1.7.3. 네트워크 확산 : 1980∼1990 = 57
1.7.4. 인터넷 급증 : 1990년대 = 58
1.7.5. 새천년 = 59
1.8. 요약 = 60
복습문제 = 61
연습문제 = 64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70
인터뷰 : 레너드 클라인록(Leonard Kleinrock) = 72
Chapter 2 애플리케이션 계층 = 75
2.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원리 = 76
2.1.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구조 = 76
2.1.2. 프로세스 간 통신 = 80
2.1.3. 애플리케이션이 이용 가능한 트랜스포트 서비스 = 85
2.1.4. 인터넷 전송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서비스 = 85
2.1.5.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 88
2.1.6. 이 책에서 다루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 89
2.2. 웹과 HTTP = 89
2.2.1. HTTP 개요 = 90
2.2.2. 비지속 연결과 지속 연결 = 91
2.2.3. HTTP 메시지 포맷 = 94
2.2.4. 사용자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 : 쿠키 = 98
2.2.5. 웹 캐싱 = 101
2.2.6. 조건부 GET = 105
2.3. 파일 전송 : FTP = 106
2.3.1. FTP 명령과 응답 = 108
2.4. 인터넷 전자메일 = 108
2.4.1. SMTP = 111
2.4.2. HTTP와의 비교 = 113
2.4.3. 메일 메시지 포맷 = 114
2.4.4. 메일 접속 프로토콜 = 114
2.5. DNS-인터넷의 디렉터리 서비스 = 119
2.5.1. DNS가 제공하는 서비스 = 120
2.5.2. DNS 동작 원리 개요 = 122
2.5.3. DNS 레코드와 메시지 = 127
2.6. P2P 애플리케이션 = 132
2.6.1. P2P 파일 분배 = 132
2.6.2. DHT(Distribrted Hash Table) = 138
2.7. 소켓 프로그래밍 : 네트워크 응용 생성 = 143
2.7.1. UDP를 이용한 소켓 프로그래밍 = 145
2.7.2. TCP 소켓 프로그래밍 = 150
2.8 요약 = 155
복습문제 = 156
연습문제 = 158
소켓 프로그래밍 문제 = 165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HTTP = 167
DNS = 167
인터뷰 : 마크 앤드리슨(Marc Andreessen) = 168
Chapter 3 트랜스포트 계층 = 171
3.1. 트랜스포트 계층 서비스 및 개요 = 172
3.1.1. 트랜스포트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의 관계 = 172
3.1.2. 인터넷 트랜스포트 계층의 개요 = 175
3.2. 다중화와 역다중화 = 177
3.3.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 UDP = 184
3.3.1. UDP 세그먼트 구조 = 187
3.3.2. UDP 체크섬 = 188
3.4.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의 원리 = 189
3.4.1. 신뢰적인 데이터 전달 프로토콜의 구축 = 191
3.4.2. 파이프라인된 신뢰적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200
3.4.3. N부터 반복(Go-Back-N, GBN) = 204
3.4.4. 선택적 반복 = 208
3.5. 연결지향형 트랜스포트 : TCP = 214
3.5.1. TCP 연결 = 214
3.5.2. TCP 세그먼트 구조 = 216
3.5.3. 왕복시간(RTT) 예측과 타임아웃 = 221
3.5.4. 신뢰적인 데이터 전달 = 224
3.5.5. 흐름 제어 = 232
3.5.6. TCP 연결 관리 = 235
3.6. 혼잡제어의 원리 = 241
3.6.1. 혼잡의 원인과 비용 = 241
3.6.2. 혼잡제어에 대한 접근법 = 247
3.6.3. 네트워크-지원 혼잡제어 예 : ATM ABR 혼잡 제어 = 248
3.7. TCP 혼잡 제어 = 250
3.7.1. 공평성 = 259
3.8. 요약 = 262
복습문제 = 264
연습문제 = 267
프로그래밍 문제 = 277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TCP 조사 = 278
UDP 조사 = 278
인터뷰 : 벤 제이콥슨(Van Jacobson) = 279
Chapter 4 네트워크 계층 = 281
4.1. 개요 = 282
4.1.1. 포워딩과 라우팅 = 282
4.1.2. 네트워크 서비스 모델 = 286
4.2. 가상회선과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 288
4.2.1. 가상회선 네트워크 = 289
4.2.2. 데이터그램 네트워크 = 291
4.2.3. VC와 데이터그램 네트워크의 기원 = 293
4.3. 라우터 안에는 무엇이 있을까? = 294
4.3.1. 입력 처리 = 296
4.3.2. 스위칭 = 298
4.3.3. 출력 처리 = 300
4.3.4. 어디에서 큐잉이 일어날까? = 300
4.3.5. 라우팅 제어 기능 = 304
4.4. 인터넷 프로토콜(IP) : 인터넷에서의 포워딩과 주소체계 = 304
4.4.1. 데이터그램 형식 = 305
4.4.2. IPv4 주소체계 = 310
4.4.3.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323
4.4.4. IPv6 = 326
4.4.5. IPv6 보안 개요 = 331
4.5. 라우팅의 원리 = 333
4.5.1. 링크 상태(LS) 라우팅 알고리즘 = 335
4.5.2. 거리 벡터(DV) 라우팅 알고리즘 = 339
4.5.3. 계층적인 라우팅 = 347
4.6. 인터넷에서의 라우팅 = 351
4.6.1. 인터넷에서의 인트라-AS 라우팅 : RIP = 351
4.6.2. 인터넷에서의 인트라-AS 라우팅 : OSPF = 354
4.6.3. 인터-AS 라우팅 : BGP = 357
4.7.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라우팅 = 365
4.7.1. 브로드캐스트 라우팅 알고리즘 = 365
4.7.2. 멀티캐스트 = 370
4.8. 요약 = 377
복습문제 = 378
연습문제 = 380
소켓 프로그래밍 문제 = 392
프로그래밍 문제 = 392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UDP 조사 = 393
인터뷰 : 빈턴 서프(Vinton G. Cerf) = 394
Chapter 5 링크 계층 : 링크, 접속망, 랜 = 397
5.1. 링크 계층 소개 = 398
5.1.1. 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 = 398
5.1.2. 링크 계층이 구현되는 위치 = 400
5.2. 오류 검출 및 정정 기술 = 402
5.2.1. 패리티 검사 = 403
5.2.2. 체크섬 방법 = 405
5.2.3. 순환중복검사 = 406
5.3. 다중 접속 링크와 프로토콜 = 408
5.3.1. 채널 분할 프로토콜 = 410
5.3.2. 랜덤 접속 프로토콜 = 412
5.3.3. 순번 프로토콜 = 420
5.3.4. DOCSIS : 케이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링크 계층 프로토콜 = 421
5.4. 스위치 근거리 네트워크 = 422
5.4.1. 링크 계층 주소체계와 ARP = 423
5.4.2. 이더넷 = 430
5.4.3. 링크 계층 스위치 = 436
5.4.4 가상 근거리 네트워크(VLAN) = 441
5.5. 링크 가상화 : 링크 계층으로서의 네트워크 = 445
5.5.1.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 = 445
5.6. 데이터 센터 네트워킹 = 448
5.7. 총정리 : 웹 페이지와 요청에 대한 처리 = 453
5.7.1. 시작하기 : DHCP, UDP, IP 그리고 이더넷 = 454
5.7.2. 여전히 시작하기 : DNS와 ARP = 455
5.7.3. 여전히 시작하기 : DNS 서버로의 인트라-도메인(Intra-Domain) 라우팅 = 456
5.7.4. 웹 클라이언트-서버 상호작용 : TCP와 HTTP = 457
5.8. 요약 = 459
복습문제 = 460
연습문제 = 461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467
인터뷰 : 사이먼 랩(Simon S.Lam) = 468
Chapter 6 무선과 이동 네트워크 = 471
6.1. 개요 = 472
6.2. 무선 링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특징 = 476
6.2.1. CDMA = 479
6.3. Wi-Fi : 802.11 무선 랜 = 482
6.3.1. 802.11 구조 = 483
6.3.2. 802.11 MAC 프로토콜 = 487
6.3.3. IEEE 802.11 프레임 = 492
6.3.4. 동일한 IP 서브넷 내에서의 이동성 = 495
6.3.5. 802.11의 진전된 특징 = 496
6.3.6. PAN : 블루투스와 지그비 = 498
6.4. 셀룰러 인터넷 접근 = 500
6.4.1. 셀룰러 네트워크 구조 개요 = 501
6.4.2. 3G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 인터넷의 무선 가입자로의 확대 = 503
6.4.3. 4세대(4G)를 향하여 = 506
6.5. 이동성 관리 : 원리 = 507
6.5.1. 주소체계 = 509
6.5.2. 이동 노드로의 라우팅 = 511
6.6. 이동 IP = 517
6.7.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이동성 관리 = 520
6.7.1. 이동 사용자로의 콜 전달 = 521
6.7.2. GSM에서의 핸드오프 = 523
6.8. 무선과 이동성 :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의 영향 = 525
6.9. 요약 = 528
복습문제 = 528
연습문제 = 530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533
인터뷰 : 데보라 에스트린(Debora Estrin) = 534
Chapter 7 멀티미디어 네트워킹 = 537
7.1. 멀티미디어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 538
7.1.1. 비디오의 특성 = 538
7.1.2. 오디오의 특성 = 539
7.1.3.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 540
7.2. 스트리밍 저장 비디오 = 543
7.2.1. UDP 스트리밍 = 544
7.2.2. HTTP 스트리밍 = 545
7.2.3. 적응적 스트리밍과 DASH = 550
7.2.4. 콘텐츠 분배 네트워크(CDN) = 554
7.2.5. 사례 연구 : 넷플릭스, 유튜브, Kankan = 557
7.3. Voice-over IP = 560
7.3.1. IP 최선형 서비스의 한계 = 560
7.3.2. 수신자의 오디오 지터 제거 = 563
7.3.3. 패킷 손실의 복구 = 565
7.3.4. 사례 연구 : 스카이프(Skype) VoIP = 568
7.4. 실시간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토콜 = 571
7.4.1. RTP = 571
7.4.2. SIP = 574
7.5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네크워크 = 580
7.5.1. 최선형 네트워크의 설정 = 581
7.5.2. 다중 서비스 클래스의 제공 = 582
7.5.3. Diffserv = 593
7.5.4. 연결별 QoS 보장 : 자원 예약과 콜 수락 = 596
7.6. 요약 = 599
복습문제 = 600
연습문제 = 602
프로그래밍 문제 = 609
인터뷰 : 헤닝 슐츠린(Henning Schulzrinne) = 610
Chapter 8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 = 613
8.1. 네트워크 보안이란? = 614
8.2. 암호의 원리 = 616
8.2.1. 대칭키 암호화 = 617
8.2.2. 공개키 암호화 = 623
8.3. 메시지 무결성과 전자서명 = 629
8.3.1. 암호화 해시 함수 = 630
8.3.2. 메시지 인증 코드 = 632
8.3.3. 전자서명 = 633
8.4. 종단점 인증 = 639
8.4.1. 인증 프로토콜 ap1.0 = 640
8.4.2. 인증 프로토콜 ap2.0 = 641
8.4.3. 인증 프로토콜 ap3.0 = 641
8.4.4. 인증 프로토콜 ap3.1 = 642
8.4.5. 인증 프로토콜 ap4.0 = 643
8.5. 전자메일의 보안 = 644
8.5.1. 보안 전자메일 = 645
8.5.2. PGP = 648
8.6. TCP 연결의 보안 : SSL = 650
8.6.1. 큰 그림 = 651
8.6.2. 보다 안전한 그림 = 654
8.7. 네트워크 계층 보안 : IPsec과 가상 사설망 = 656
8.7.1. IPsec과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s, VPNs) = 656
8.7.2. AH와 ESP 프로토콜 = 658
8.7.3. Security Associations = 658
8.7.4. IPsec 데이터그램 = 659
8.7.5. IKE : IPsec에서의 키 관리 = 663
8.8. 무선 랜 보안 = 664
8.8.1.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664
8.8.2. IEEE 802.11i = 666
8.9. 운영 보안 : 방화벽과 침입 탐지 시스템 = 668
8.9.1. 방화벽 = 669
8.9.2. 침입 탐지 시스템 = 676
8.10. 요약 = 679
복습문제 = 680
연습문제 = 682
와이어샤크 실험문제 = 688
IPsec 실습 = 689
인터뷰 : 스티븐 벨로빈(Steven M.Bellovin) = 690
Chapter 9 네트워크 관리 = 693
9.1. 네트워크 관리란 무엇인가? = 693
9.2.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반구조 = 697
9.3. 인터넷 표준 관리 프레임워크 = 701
9.3.1. 관리 정보의 구조 : SMI = 703
9.3.2. MIB = 706
9.3.3. SNMP 프로토콜 동작과 전송 매핑 = 708
9.3.4. 보안과 관리 = 711
9.4. ASN.1 = 714
9.5. 결론 = 718
복습문제 = 719
연습문제 = 720
인터뷰 : 제니퍼 렉스포드(Jennifer Rexford) = 721
참고문헌 = 725
찾아보기 =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