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55834 | |
005 | 20200526130852 | |
007 | ta | |
008 | 130625s2013 ulka 000c kor | |
020 | ▼a 9788984114159 ▼g 9336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a chi ▼a jpn ▼h chi ▼h jpn |
082 | 0 4 | ▼a 343.5096 ▼2 23 |
085 | ▼a 343.5096 ▼2 DDCK | |
090 | ▼a 343.5096 ▼b 2013 | |
245 | 2 0 | ▼a (한중일 비교) 해상법 : ▼b 制定과 改正 = ▼x KoreanㆍJapaneseㆍChinese maritime codes with their revisions / ▼d 蔡利植, ▼e 箱井崇史, ▼e 金秋 編譯 |
260 |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3 | |
300 | ▼a iii, 445 p. : ▼b 삽화 ; ▼c 26 cm | |
546 | ▼a 일부 중국어와 일본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 |
546 | ▼a 一部 日韓, 漢韓對譯 | |
700 | 1 | ▼a 채이식, ▼g 蔡利植, ▼d 1949-, ▼e 편역 ▼0 AUTH(211009)133976 |
700 | 1 | ▼a 箱井崇史, ▼e 편역 |
700 | 1 | ▼a 김추, ▼g 金秋, ▼e 편역 |
900 | 1 0 | ▼a 하코이 타카시, ▼e 편역 |
900 | 1 0 | ▼a Hakoi, Hakoi, ▼e 편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3.5096 2013 | 등록번호 11169709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11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3.5096 2013 | 등록번호 1117184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는 이웃하고 있는 중국 및 일본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무역에 기반을 둔 경제적인 교류는 먼저 이웃 나라와 해상운송을 생각해야 한다. 특히 한국, 중국 및 일본이 현재 세계 해운과 조선을 주도하고 있기에 이를 뒷받침하는 법률도 여러 나라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한중일 세 나라의 법률이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비교하고 정리하였다.
해상활동은 국가의 중요한 산업이고, 특히 우리는 국가 경제의 핵심인 무역이 해상활동에 의존하고 있는 점에서 해상법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즉 해상법이라고 하면 처음부터 국제적인 해상법을 말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국제적인 성격은 부분적으로는 지역성으로도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이웃하고 있는 중국 및 일본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무역에 기반을 둔 경제적인 교류는 먼저 이웃 나라와 해상운송을 생각해야 한다. 특히 한국, 중국 및 일본이 현재 세계 해운과 조선을 주도하고 있기에 이를 뒷받침하는 법률도 여러 나라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한·중·일 세 나라의 법률이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비교하고 정리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채이식(엮은이)
1949년 경북 상주 출신으로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이후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런던대학교에서 해상법을 공부한 후 한국인 최초의 영국변호사가 되었다. 이후 20여 년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해상법을 강의하였다. 1995년에는 1년간 미국 코네티컷 대학에서 미국해상법을 연구하였고, 1999년 및 2003년에 각각 8개월씩 프랑스 엑스-마르세유 대학에서 프랑스해상법을 연구하였고, 2006년 스페인 마드리드 까르로스 3세 대학에서 8개월 동안 스페인해상법을 연구하였고 또 2014년에는 독일 베를린 대학에서 해상법을 연구하였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장 및 한국해법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법무부 상법(해상편) 개정위원회 위원장으로 2007년 현행 상법 해상편의 개정을 주도하였고, 현재도 법무부 상법(해상보험) 개정위원회 위원장으로 상법 중 해상보험법의 개정을 주도하고 있다. 2005년부터 5년간 국제해사기구(IMO) 법률위원회 의장으로 세계해사조약을 총괄한 바 있으며, 2010년부터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대 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동 법학전문대학원의 명예교수로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ⅰ 한국 해상법 = 1 한국 해상법 개요 = 3 해상편 : 1962년 제정 상법 = 13 해상편 : 1991년 개정 상법 = 35 해상편 : 2007년 개정 상법 = 69 선박소유자 등의 책임제한절차에 관한 법률 = 107 일본 해상법 = 127 해상법의 개정사 = 128 일본상법 1899년-1945년[의용상법 1912년-1962년] = 144 일본상법 1946년-2012년 = 202 국제해상물품운송법 = 252 선박소유자 등의 책임제한에 관한 법률 = 270 중국 해상법 = 331 중국 해상법 = 333 중화인민공화국 해상법 =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