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매체와 현대예술

매체와 현대예술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승환, 저 김성재, 저 김혜영, 저 나희덕, 저 이원곤, 저 박선희, 저 심혜련, 저 박영욱, 저 유현주, 저
단체저자명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이미지연구소, 편
서명 / 저자사항
매체와 현대예술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이미지연구소 편
발행사항
서울 :   글누림,   2010  
형태사항
268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글누림 문화예술 총서 ;9
ISBN
9788963270555
일반주기
저자: 김승환, 김성재, 김혜영, 나희덕, 이원곤, 박선희, 심혜련, 박영욱, 유현주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1181camcc2200373 c 4500
001 000045755510
005 20130625193207
007 ta
008 130624s2010 ulka b 000c kor
020 ▼a 9788963270555 ▼g 03600
035 ▼a (KERIS)BIB000011995774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700.105 ▼2 23
085 ▼a 700.105 ▼2 DDCK
090 ▼a 700.105 ▼b 2010
245 0 0 ▼a 매체와 현대예술 / ▼d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이미지연구소 편
260 ▼a 서울 : ▼b 글누림, ▼c 2010
300 ▼a 268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글누림 문화예술 총서 ; ▼v 9
500 ▼a 저자: 김승환, 김성재, 김혜영, 나희덕, 이원곤, 박선희, 심혜련, 박영욱, 유현주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단행본은 2008년도 조선대학교 인문한국지원사업 기반조성을 위한 학제 간 공동연구 지원에 의하여 발간되었음
700 1 ▼a 김승환, ▼e
700 1 ▼a 김성재, ▼e
700 1 ▼a 김혜영, ▼e
700 1 ▼a 나희덕, ▼e
700 1 ▼a 이원곤, ▼e
700 1 ▼a 박선희, ▼e
700 1 ▼a 심혜련, ▼e
700 1 ▼a 박영욱, ▼e
700 1 ▼a 유현주, ▼e
710 ▼a 조선대학교. ▼b 인문학연구원. ▼b 이미지연구소,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5 2010 등록번호 11169707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5
모더니즘 미술과 매체 / 김승환 = 11
 1. 들어가며 = 11
 2. 매체로서 원근법과 사진, 영화 = 13
 3. 미래주의와 구축주의 = 19
 4. 페르낭 레제 = 29
 5. 나가며 = 33
소리예술과 매체미학 / 김성재 = 37
 1. 들어가며 = 37
 2. 소리예술의 개념과 그 매체의 특성 = 40
  1) 소리예술의 개념 = 40
  2) 소리예술의 매체 = 47
 3. 소리예술의 메시지 = 49
 4. 소리예술 매체의 인지 형식 = 54
 5. 나가며 = 60
「무진기행」에 나타난 매체 인식 연구 / 김혜영 = 65
 1. 들어가며 = 65
 2. 전달 매체로서의 언어 -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 69
  1) 전보와 편지 = 71
  2) 편지와 대화 = 73
 3. 무진 - 감각의 생성 장소 = 75
  1) 반수면이라는 상태 = 75
  2) 무진과 감각적 지각 = 78
  3) 무진의 양면성 - 향유와 공포 = 80
 4. 매체와 마음의 소통 가능성 = 85
  1) 마음의 현상학 = 85
  2) 마음의 기표로서의 비언어적 표현 = 88
  3) 마음의 소통 가능성 = 91
 5. 소설 - 마음을 포착하는 장르 = 95
김수영의 매체의식과 감각적 주체의 전환 / 나희덕 = 99
 1. 들어가며 = 99
 2. 1960년대 매체환경과 김수영의 매체경험 = 103
 3. 감각적 주체의 전환 - 시각 지향에서 청각 지향으로 = 108
 4. 시적 주체의 전환 - 쓰는 주체에서 말하는 주체로 = 113
 5. '소음'의 발견과 '요설(饒舌)'의 수사학 = 117
 6. 나가며 = 122
연결과 네트워크에 의한 현대예술의 확장 / 이원곤 = 127
 1. 들어가며 = 127
 2. 테크놀로지와 연결 = 129
  1) 몽타주 - 분해와 조립 = 129
  2) 인터장르 = 132
  3) 외적요소와의 상호작용 = 136
  4) 하이브리드 리얼리티 - 가상과 현실의 오버랩 = 138
  5) 온/오프라인 연결 = 141
  6) 과학적 가시화에 의한 과학과 예술의 공명 = 143
 3.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장소 = 145
  1) 장소와 정보 = 145
  2) 장소기반 예술활동(location based art project) = 147
 4. 마치며 = 152
매체로서의 육체와 사이보그의 딜레마 / 박선희 = 155
 1. 들어가며 = 155
 2. 사이버펑크 영화와 사이보그의 삶 = 158
 3. 사이보그의 진화 - 가상화와 매체로서의 육체 = 162
  1) 가상화 - 인간과 기계의 수렴 = 162
  2) 매체로서의 육체 = 164
 4. 사이보그의 딜레마 = 168
  1) 사이보그의 열망과 정체성 = 168
  2) 육체이탈과 재합체 사이의 긴장 = 173
 5. 맺음말 = 176
디지털 노마드와 유비쿼터스 - 영화〈본 시리즈〉를 중심으로 / 심혜련 = 181
 1. 들어가며 = 181
 2. 언제 어디서나 그리고 누구나 = 185
 3. 속도와 공간 = 192
 4. 감시와 역감시 = 196
 5. 나가며 = 201
디지털 건축과 다이어그램의 활용 / 박영욱 = 207
 1. 들어가는 말 = 207
 2. 들뢰즈는 재현적 사고에 대한 거부와 다이어그램 = 210
 3. 디지털 건축과 다이어그램 - 벤 반 베르켈, MVRDV, 피터 아이젠만의 사례를 중심으로 = 224
 4. 맺음말 = 244
디지털 매체에서 구체시의 새로운 방향 - 비주얼 포엠, 구체시, 디지털 포엠 / 유현주 = 247
 1. 들어가는 글 = 247
 2. 새로운 구체시로서의 디지털 포엠 = 251
 3. 인쇄술의 발달과 추상적 비주얼 포엠 = 253
 4. 구체시에 나타난 상호매체성 = 256
 5. 디지털 포엠과 가상적 상호매체성 = 25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