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모더니즘 미술과 매체 / 김승환 = 11
1. 들어가며 = 11
2. 매체로서 원근법과 사진, 영화 = 13
3. 미래주의와 구축주의 = 19
4. 페르낭 레제 = 29
5. 나가며 = 33
소리예술과 매체미학 / 김성재 = 37
1. 들어가며 = 37
2. 소리예술의 개념과 그 매체의 특성 = 40
1) 소리예술의 개념 = 40
2) 소리예술의 매체 = 47
3. 소리예술의 메시지 = 49
4. 소리예술 매체의 인지 형식 = 54
5. 나가며 = 60
「무진기행」에 나타난 매체 인식 연구 / 김혜영 = 65
1. 들어가며 = 65
2. 전달 매체로서의 언어 -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 69
1) 전보와 편지 = 71
2) 편지와 대화 = 73
3. 무진 - 감각의 생성 장소 = 75
1) 반수면이라는 상태 = 75
2) 무진과 감각적 지각 = 78
3) 무진의 양면성 - 향유와 공포 = 80
4. 매체와 마음의 소통 가능성 = 85
1) 마음의 현상학 = 85
2) 마음의 기표로서의 비언어적 표현 = 88
3) 마음의 소통 가능성 = 91
5. 소설 - 마음을 포착하는 장르 = 95
김수영의 매체의식과 감각적 주체의 전환 / 나희덕 = 99
1. 들어가며 = 99
2. 1960년대 매체환경과 김수영의 매체경험 = 103
3. 감각적 주체의 전환 - 시각 지향에서 청각 지향으로 = 108
4. 시적 주체의 전환 - 쓰는 주체에서 말하는 주체로 = 113
5. '소음'의 발견과 '요설(饒舌)'의 수사학 = 117
6. 나가며 = 122
연결과 네트워크에 의한 현대예술의 확장 / 이원곤 = 127
1. 들어가며 = 127
2. 테크놀로지와 연결 = 129
1) 몽타주 - 분해와 조립 = 129
2) 인터장르 = 132
3) 외적요소와의 상호작용 = 136
4) 하이브리드 리얼리티 - 가상과 현실의 오버랩 = 138
5) 온/오프라인 연결 = 141
6) 과학적 가시화에 의한 과학과 예술의 공명 = 143
3.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장소 = 145
1) 장소와 정보 = 145
2) 장소기반 예술활동(location based art project) = 147
4. 마치며 = 152
매체로서의 육체와 사이보그의 딜레마 / 박선희 = 155
1. 들어가며 = 155
2. 사이버펑크 영화와 사이보그의 삶 = 158
3. 사이보그의 진화 - 가상화와 매체로서의 육체 = 162
1) 가상화 - 인간과 기계의 수렴 = 162
2) 매체로서의 육체 = 164
4. 사이보그의 딜레마 = 168
1) 사이보그의 열망과 정체성 = 168
2) 육체이탈과 재합체 사이의 긴장 = 173
5. 맺음말 = 176
디지털 노마드와 유비쿼터스 - 영화〈본 시리즈〉를 중심으로 / 심혜련 = 181
1. 들어가며 = 181
2. 언제 어디서나 그리고 누구나 = 185
3. 속도와 공간 = 192
4. 감시와 역감시 = 196
5. 나가며 = 201
디지털 건축과 다이어그램의 활용 / 박영욱 = 207
1. 들어가는 말 = 207
2. 들뢰즈는 재현적 사고에 대한 거부와 다이어그램 = 210
3. 디지털 건축과 다이어그램 - 벤 반 베르켈, MVRDV, 피터 아이젠만의 사례를 중심으로 = 224
4. 맺음말 = 244
디지털 매체에서 구체시의 새로운 방향 - 비주얼 포엠, 구체시, 디지털 포엠 / 유현주 = 247
1. 들어가는 글 = 247
2. 새로운 구체시로서의 디지털 포엠 = 251
3. 인쇄술의 발달과 추상적 비주얼 포엠 = 253
4. 구체시에 나타난 상호매체성 = 256
5. 디지털 포엠과 가상적 상호매체성 =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