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74n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755111 | |
005 | 20130622141245 | |
007 | ta | |
008 | 130618s2013 tjk b MB 000c kor | |
020 | ▼a 9788975994753 ▼g 9333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3.095195 ▼2 23 |
085 | ▼a 323.095345 ▼2 DDCK | |
090 | ▼a 323.095345 ▼b 2013 | |
245 | 0 0 | ▼a 지역사회의 인권을 외치다 / ▼d 양해림 [외] |
260 | ▼a 대전 : ▼b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c 2013 | |
300 | ▼a 230 p. ; ▼c 23 cm | |
440 | 1 0 | ▼a (충남대학교시민사회연구소ㆍ대전시민사회연구소) 시민사회연구 시리즈 ; ▼v 02 |
500 | ▼a 공저자: 이상재, 강현수, 손정아, 김병구, 두오균, 허종 | |
500 | ▼a 부록: 정신보건법과 관련된 주요 대법원 판례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양해림, ▼e 저 ▼0 AUTH(211009)137971 |
700 | 1 | ▼a 이상재, ▼e 저 ▼0 AUTH(211009)141415 |
700 | 1 | ▼a 강현수, ▼e 저 ▼0 AUTH(211009)67628 |
700 | 1 | ▼a 손정아, ▼e 저 ▼0 AUTH(211009)49988 |
700 | 1 | ▼a 김병구, ▼e 저 ▼0 AUTH(211009)23911 |
700 | 1 | ▼a 두오균, ▼e 저 ▼0 AUTH(211009)10796 |
700 | 1 | ▼a 허종, ▼e 저 ▼0 AUTH(211009)128787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95345 2013 | Accession No. 1116968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민사회연구 시리즈 2권. 허종교수의 “유신체제 이전 충남대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을 제외하고 충남대학교 시민사회구소와 대전시민사회연구소에서 공동 개최한 지난 2012년 9월 7일 “대전 충청지역 인권: 지역사회인권을 외치다.”의 토론회에서 발표한 내용들을 수록했다.
총괄적 내용뿐만 아니라, 대전 충청지역사회 인권의 현안문제들, 즉 대전 충남의 인권교육과 권력기관 감시운동 현황, 대전지역의 성매매 관한 여성의 인권, 대전 충청지역의 인권과 복지, 지방정부 차원의 인권정책, 장애인의 권리, 유신체제 이전 충남대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 등을 다루었다.
‘모든 인간은 존엄하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허종교수의 “유신체제 이전 충남대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을 제외하고 충남대학교 시민사회구소와 대전시민사회연구소에서 공동 개최한 지난 2012년 9월 7일 “대전 충청지역 인권: 지역사회인권을 외치다.”의 토론회에서 발표한 내용들을 수록했다.
총괄적 내용뿐만 아니라, 대전 충청지역사회의 인권의 현안문제들, 즉 대전 충남의 인권교육과 권력기관 감시운동 현황, 대전지역의 성매매 관한 여성의 인권, 대전 충청지역의 인권과 복지, 지방정부 차원의 인권정책, 장애인의 권리, 유신체제 이전 충남대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 등을 다루었다.
[ 저자서문 ]
이른바 ‘모든 인간은 존엄하다’는 의미는, 인간이 ‘그 자체 목적’으로서 존재하며, 어떠한 경우도 타자나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인간의 시민적.정치적 권리는 인간의 존엄성으로부터 나온다. 존엄한 인간의 삶에는 시민적.정치적 권리와 경제적.사회적 문화적 권리가 요청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양해림(지은이)
강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트리어대학교,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내고 있다.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장, 한국해석학회장, 한국니체학회장, 한국환경철학회장, 한국역사철학회장, 대전시민사회연구소장,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공동의장, 대전광역시 인권위원회 인권위원장을 지냈다.
강현수(지은이)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을 전공하면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진보학술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던 시기에 한국공간환경학회 설립에 참여했고 지금까지 이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1년간 학위 후(Post Doc.) 과정 및 방문교수, 미국 MIT에서 1년간 방문교수 생활을 경험했으며, 현재 중부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도시나 지역에서 진정한 발전이란 과연 무엇이며 이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평생 화두로 삼아 공부하고 있다. 최근에는 발전이란 곧 주민들의 자유와 권리의 확장이라는 생각에 몰두해 있다. 주요 저서로 《현대도시문제의 이해》,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유럽의 지역발전정책》,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이론과 실천》, 《도시, 소통과 교류의 장》, 《신지역발전론》, 《인권도시 만들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e?토피아》, 《세계의 테크노폴: 21세기 산업단지 만들기》, 《모빌리티》 등이 있다.
허종(지은이)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지은 책으로는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등 다수가 있습니다.
이상재(지은이)
대전충남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고 있는 인권운동가. 1990년대 중반부터 대전 지역의 몇 개 시민단체에서 활동했다.
손정아(지은이)
여성인권티움 부설 여성인권지원상담소 느티나무
김병구(지은이)
변호사/대전시민사회연구소 부소장
두오균(지은이)
대전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소장

Table of Contents
01 1.들어가는 말 :왜 인권인가? 2.인권의 기원 및 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 인권의 분류 3.인권과 주권: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4.맺음말:누구를 위한 인권인가? 02 대전ㆍ충남의 인권교육과 권력기관 감시운동 현황 1.지역의 인권교육 2.대전ㆍ충남의 인권관련 국가권력기관 개혁운동 03 지방정부 차원의 인권 정책 1.머리말:지방정부와 인권 2.지역 인권 조례 및 인권 헌장 제정 3.지역 단위 인권 실행기구 4.포괄적 지역 단위 인권 실행 프로그램 5.영역별 지역 단위 인권 실행 프로그램 6.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적극적 인권 행정 사례 7.맺음말 04 성매매여성의 인권 1.들어가는 말 2.나가며 05 인권과 복지 -정신보건정책을 중심으로- 1.들어가는 말 2.사례에서의 문제상황 3.정신보건환자에 대한 정책에 관하여 4.인권개념의 역사적 발전 5.인권과 기본권 6.정신보건법의 문제 7.맺음말 06 장애인의 차별받지 않을 권리 -참정권을 중심으로- 1.서론:참정권이란? 2.본론 3.결론 07 유신체제 이전 충남대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 1.머리말 2.학생운동의 전개과정 2.학생운동의 성격과 특징 4.맺음말 부록 - 정신보건법과 관련된 주요 대법원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