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클라우제비츠와) 한반도, 평화와 전쟁 : 제2 핵시대, 신냉전과 동북아, 2013년 체제 한반도 조화 안보·통일의 과제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진석 姜塡錫
Title Statement
(클라우제비츠와) 한반도, 평화와 전쟁 : 제2 핵시대, 신냉전과 동북아, 2013년 체제 한반도 조화 안보·통일의 과제 / 강진석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인,   2013  
Physical Medium
538 p. : 삽화 ; 26 cm
ISBN
978895506506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525-538
000 00816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55107
005 20130622180611
007 ta
008 130618s2013 ulka b 000c kor
020 ▼a 9788955065060 ▼g 93390
035 ▼a (KERIS)BIB000013195776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55.0330519 ▼a 355.02 ▼2 23
085 ▼a 355.033053 ▼2 DDCK
090 ▼a 355.033053 ▼b 2013z3
100 1 ▼a 강진석 ▼g 姜塡錫 ▼0 AUTH(211009)132775
245 2 0 ▼a (클라우제비츠와) 한반도, 평화와 전쟁 : ▼b 제2 핵시대, 신냉전과 동북아, 2013년 체제 한반도 조화 안보·통일의 과제 / ▼d 강진석 지음
260 ▼a 서울 : ▼b 동인, ▼c 2013
300 ▼a 538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525-538
536 ▼a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33053 2013z3 Accession No. 1116968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내 최초의 '전쟁철학서'이며 '정의전쟁론'이다. 북한이 핵무장을 하고 군사위협을 고조시키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이 지향해야 할 건전한 전쟁철학과 안보철학은 무엇인가를 규명하였다. 이것은 향후 예상되는 북한의 정치 심리전에서 현혹되지 않고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을 이루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저자는 북한의 핵무장으로 기존의 안보.통일관련 정책과 전략들이 무력화된 현시점에서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의 길을 클라우제비츠 이론을 통해 찾았다. '클라우제비츠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전쟁철학의 단서를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현대 전쟁의 논리와 철학'을 규명, 국민들의 전쟁철학과 국가안보철학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한반도 조화 안보.통일 전략으로서 5차원 3원전략(Five Dimension Triad Strategy)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이 책은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전쟁과 평화', '전략의 철학', '전쟁과 윤리'(정의전쟁론)로서 저자는 이 3가지가 조화를 이루는 오센틱 전쟁철학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한국적 전쟁철학의 조화적 접근모형을 제시하고 한반도의 조화통일 안보철학과 전략방향을 도출하였다.

북한이 핵무장을 완료하고 정전협정 무효화를 선언하였다.
그 의미는 무엇이며 무엇을 노리는 것인가?
동북아 신냉전시대, 콱 막힌 한반도의 통일과 안보
손자와 클라우제비츠에게 해법을 묻는다

통일은 시급하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김일성 주체사상, 선군정치,
통일전선전술을 극복하고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추진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의 길은 무엇인가

클라우제비츠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한반도 평화통일 안보철학과 전략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
안보·통일 지도자(대통령)의 조건들을 따져본다

일반인과 전문가들의 한반도 전쟁과 평화의 이해를 위한
한반도 조화 안보·통일 전략론이자 국가안보철학서

이 책은 국내 최초의 ‘전쟁철학서’이며 ‘정의전쟁론’이다. 북한이 핵무장을 하고 군사위협을 고조시키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이 지향해야 할 건전한 전쟁철학과 안보철학은 무엇인가를 규명하였다. 이것은 향후 예상되는 북한의 정치 심리전에서 현혹되지 않고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을 이루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저자는 북한의 핵무장으로 기존의 안보·통일관련 정책과 전략들이 무력화된 현시점에서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의 길을 클라우제비츠 이론을 통해 찾았다. ‘클라우제비츠의 현대적 해석’을 통해 전쟁철학의 단서를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현대 전쟁의 논리와 철학’을 규명, 국민들의 전쟁철학과 국가안보철학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한반도 조화 안보·통일 전략으로서 5차원 3원전략(Five Dimension Triad Strategy)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이 책은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전쟁과 평화’, ‘전략의 철학’, ‘전쟁과 윤리’(정의전쟁론)로서 저자는 이 3가지가 조화를 이루는 오센틱 전쟁철학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한국적 전쟁철학의 조화적 접근모형을 제시하고 한반도의 조화통일 안보철학과 전략방향을 도출하였다.
2015년 전시작전권이 환수될 예정이다. 우리의 독자적인 전쟁철학과 안보철학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서 우리가 준비하고 대비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제시한 국가안보철학서로서 일반인과 전문가들의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북한이 핵으로 무장하였다. 지금까지의 모든 통일 접근 노력이 물거품이 되었다.
학자와 전문가들이 망연자실하고 있다.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손자와 클라우제비츠에게 그 해법을 묻는다.

우리에게 통일이란 안전하고 평화로워야 하며, 분단 이전 상태로의 복귀가 아닌
단군·대한 역사 회복의 새로운 미래 창조를 의미한다.

저자가 최초로 제시하는 통일한국이 지향해야 할 국가핵심가치체계와
5개차원의 삼위일체전략(삼원전략)을 통하여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의 길을 모색해 본다.
그것은 ①건전한 전쟁철학과 안보철학, ②국제안보 협력, ③기반안보체제 구축 ④상생안보협력, ④국가가치 구현으로써 각 차원별로 3위일체 요소들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을 보장한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철학을 토대로
한반도 ‘조화안보·통일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통일한국을 이끌 지도자론(대통령 리더십)을 검토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진석(지은이)

한국안보통일연구원 국방연구소장 조화안보통일리더십 연구소 대표 공군협회 「항공우주력 연구」 편집장 공군사관학교 졸업(이학사) 국방대학원 졸업(안전보장학 석사) 충남대 대학원(정치학박사) NATO School, CTBTO OSI Course(2007) KAIST 지식최고경영자과정 예) 공군대령(전투기조종사) 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전) 공군대학 교수 겸 정책전략처장(AWC) 전) UN 제1위원회(안보·군축) 한국대표단 리더십 철학, 국방·군사정책/전략, 항공우주력 전문가로 활동 <주요저술> “9.11테러와 미국의 안보전략 변화”. (박사학위 논문) “국가대전략 수립을 위한 안보통일철학 연구” 「항공우주력연구」 2013. 12. 공군발전협회. 『전쟁과 정치』. 한원, 1989 『전략의 철학』. 평단, 1996 『한국의 안보전략과 국방개혁』. 평단, 2005 『현대전쟁의 논리와 철학 』. 동인, 2012 『클라우제비츠와 한반도 평화와 전쟁』. 동인, 2013 『군사사상사』. 공저, 플랫미디어, 2013 『리더십 철학』, 동인, 2013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시작하는 글 = 5
개관 : 안전하고 평화로운 통일의 길 = 17
제1부 클라우제비츠와 현대전쟁
 서론 : 클라우제비츠에게 한반도 해법을 묻는다 = 31
 chapter 1 클라우제비츠 개요 = 33
  제1절 연구ㆍ접근방법: 지식사회학적 고찰 = 34
  제2절 클라우제비츠 시대적, 사회적 상황과 생애 = 36
  제3절 클라우제비츠의 사상 형성과 집필 활동 = 38
   1. 뷜로우(B??00FC?ow) 논문에 대한 비판 = 38
   2. 황태자 교육 교과서『전쟁의 제 원리』(Principles of War) = 39
   3. 1830년 미완성의 비망록 = 40
  제4절 클라우제비츠의 영향 = 43
   1. 총력전 시대의 대두 = 43
   2. 제1, 2차 세계대전 = 44
   3.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전쟁전략과 한국전쟁 = 45
   4. 핵시대의 대두와 클라우제비츠 유용성 논쟁: 레이몽 아롱과 아나톨 라포포트 = 47
  제5절『전쟁론』개요 = 51
  제6절 한국에서의 클라우제비츠 연구 = 62
 chapter 2 클라우제비츠의 현대적 해석 = 66
  제1절 클라우제비츠『전쟁론』해석 개관 = 67
  제2절 전쟁철학의 접근과 클라우제비츠 = 69
  제3절 클라우제비츠에 대한 해석의 논리: 접근 = 78
   1. 총론 = 79
   2. 전쟁은 정치의 단절(붕괴)일 뿐이라는 논리 = 87
   3. 전쟁은 정치의 계속(연장)이라는 논리 = 89
   4. 평가 = 99
  제4절 클라우제비츠 해석의 여러 시각들 = 102
   1. 절대전 사상의 숭배와 비판 = 102
   2. 현실주의자들의 수용과 현대 핵시대에서의 적용 = 109
   3. 현대전과 국가안전보장: 군사적 시각(해리 서머즈의 견해) = 121
  제5절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인식방법과 영향 = 130
   1. 전쟁술 사상의 변천: '전쟁원칙' 중심의 교리주의적 경직성의 대두와 발전 = 130
   2. 나폴레옹 전쟁과 클라우제비츠의 인식방법: 비판적 분석 = 135
   3. 클라우제비츠 인식방법의 영향 = 140
  제6절 클라우제비츠의 전쟁관: 전쟁의 이중성 = 145
   1. 절대전 이론 = 145
   2. 현실전 이론 = 155
  제7절 전략환경의 변화와 클라우제비츠 유용성 논쟁 = 180
   1. 정치사상가 레이몽 아롱의 옹호: 실용주의 차원 = 181
   2. 게임이론가 라포포트의 또 다른 잘못된 이해: 교조주의(Dogmatism) = 188
  제8절 현대 핵시대의 전쟁의 이중성과 클라우제비츠의 교훈 = 198
   1. 클라우제비츠에 비춰본 현대 핵전략 이론 = 198
   2. 현대전에 있어서 정치연장의 두 의미 = 202
 chapter 3 제4세대 전쟁이론의 도전 = 210
  제1절 개요 = 212
  제2절 제4세대 전쟁이론가들의 클라우제비츠 비판 = 214
  제3절 클라우제비츠 비판 분석 = 219
   1. 전쟁양상의 변화와 본질의 변화에 대한 혼동 = 219
   2. 삼위일체 이론의 변증법적 균형 미고려 = 220
   3. 삼위일체 각 요소에 대한 이해부족 및 잘못된 해석 = 221
  제4절 결론 = 224
 chapter 4 문화ㆍ문명 전쟁과의 관련성 논쟁 = 227
  제1절 현대 전장환경의 변화와 문화ㆍ문명 전쟁론의 대두 = 228
  제2절 문명충돌론과 문명조화론 = 233
   1. 탈냉전과 문명충돌 논쟁의 대두 = 233
   2. 미국의 패권과 문명의 대립 = 234
   3. 문명충돌론의 비판과 극복 = 235
  제3절 문화전쟁론과 비정치적 전쟁론 = 238
   1. 존 키건의 문화전쟁론 = 238
   2. 크레벨트의 비정치적 전쟁론 = 244
  제4절 정보혁명과 클라우제비츠 = 246
   1. 현대전과 정보혁명 = 246
   2. 정보혁명과 클라우제비츠 비판 분석 = 248
  제5절 소결론 = 251
 chapter 5 클라우제비츠와 손자의 비교: 현실주의 전쟁이론 = 253
  제1절 서론 = 254
  제2절 손자의 전쟁관 = 256
   1. 손자병법 개관 = 256
   2. 손자병법의 현대적 평가 = 263
   3. 손자 전쟁이론의 분석: 정치적 현실주의 정책차원의 전쟁관 = 264
  제3절 손자와 클라우제비츠의 융합: 대테러전 = 267
   1. 21세기 손자의 귀환 = 267
   2. 대테러전과 손자의 간접 접근법 = 268
   3. 21세기 군사전략: 융합이론을 향해서 = 272
 chapter 6 현대 국가안보전략에의 적용과 과제 = 275
  제1절 전략가적 차원에서 전쟁의 위상 = 278
  제2절 전쟁의 삼위일체적 본질 = 282
   1. 제1극(경향): 인적요소 - 원시본능적 열정과 적대적 증오 = 283
   2. 제2극: 우연성과 개연성의 요소 - 전장의 불확실성 = 285
   3. 제3극: 지적요소 - 국가의 이성적인 자아통제 능력 = 286
   4. 의지적 투신과 자아통제 = 287
  제3절 전쟁의 이중성: 절대전과 현실전 = 289
   1. 평화와 전쟁의 상관성 = 290
   2. 절대전의 현실전으로의 전환단계 = 291
  제4절 현실전의 이중성: 섬멸전과 소모전 = 298
   1. 현실전의 두 가지 유형 = 298
   2. 델브류크의 해석: 섬멸전략과 소모전략 = 299
   3. 기동전 전략의 본질 = 300
   4. 전략의 선택: 삼위일체 = 304
  제5절 국가 통치역량: 클라우제비츠와 플라톤 = 307
   1. 서론 = 307
   2. 접근방법: 해석적 분석 = 308
   3. 철인왕과 천재의 개념 = 310
   4. 비교 분석 = 312
   5. 결론 = 319
 chapter 7 클라우제비츠의 현대적 의의와 한반도에 주는 교훈 = 320
  제1절 현대적 안보 개념과 철학적 기초 제공 = 321
  제2절 안보ㆍ통일 정책, 전략 수립 시 고려사항 = 327
제2부 한반도 평화와 전쟁: 조화 안보ㆍ통일 철학과 전략
 서론: 거북선 안보철학으로 미래를 준비하자 = 333
 chapter 1 문제의 인식: 접근 = 337
  제1절 한반도 조화 안보ㆍ통일 철학 정립 필요성 = 338
   1.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 = 338
   2. 한국안보의 전통과 교훈 = 341
   3. 한국안보의 현 실태 및 취약점 = 342
  제2절 한반도 통일의 의미 = 345
   1. 통일의 역사적 배경 = 345
   2. 통일의 의의와 시급성 = 347
  제3절 한반도 조화 안보ㆍ통일의 접근 = 350
   1. 조화 안보ㆍ통일 접근의 개념 = 350
   2. 국가비전체계 구축 = 352
 chapter 2 조화 안보ㆍ통일 패러다임: 5차원 3원 전략 = 358
  제1절 한반도 문제의 범위 = 359
  제2절 한반도 평화통일 접근방안 = 361
   1.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 361
   2. 한반도 화해ㆍ상생 프로세스 = 362
   3. 소결론 = 363
  제3절 한반도 조화 안보ㆍ통일 전략 구상 = 364
   1. 기본 개념: 거북선 안보철학 = 364
   2. 조화 안보ㆍ통일 전략의 기본구도 = 367
 chapter 3 국가가치 정립 = 369
  제1절 국가가치의 개념과 필요성 = 370
  제2절 북한의 국가가치: 김일성 주체사상과 선군정치 이념 = 372
  제3절 통일한국의 국가가치체계 = 374
 chapter 4 전쟁철학과 국가안보 철학 = 381
  제1절 전쟁과 평화관 = 382
  제2절 전략의 철학 = 384
  제3절 전쟁과 정의 = 387
 chapter 5 국제안보 협력 = 390
  제1절 국제안보체제의 세 가지 차원 = 391
  제2절 각 안보차원의 상충과 조화: 균형 = 393
   1. 국제체제 안보와 국가안보 = 393
   2. 사회체제 안보와 국가안보 = 393
   3. 국제체제 안보와 사회체제 안보 = 394
  제3절 조화적 접근 = 395
   1. 전략적 구조적 해결방안 = 397
   2. 전술적 실천적 해결방안 = 397
 chapter 6 기반안보 = 399
  제1절 기반안보의 개념과 북한의 위협 = 400
   1. 기반안보의 개념과 실태 = 400
   2. 북한의 안보전략과 군사적 위협 = 402
   3. 통일 전략 = 406
   4. 사이버 전략 = 410
  제2절 국방/군사차원: 우연성과 개연성의 요소 = 413
   1. 북한 핵 무장/위협에 대한 대책 = 413
   2. 군사동맹과 전시작전권 환수 = 425
   3. 국방개혁(3군 균형발전)과 적정 국방비 확보 = 430
   4. 영토문제(NLL) = 432
   5. 정전협정과 교전규칙의 문제점 = 434
  제3절 정부차원: 지적요소 = 438
   1. 이성적 자아통제 능력의 확보 = 438
   2. 남북 상호주의 접근 = 441
   3. 국가위기관리 체제의 발전 = 447
  제4절 국민적 차원: 인적요소 = 450
   1. 북한의 통일전선전술(기만전략) 차단 및 대응 = 450
   2. 인도주의적 지원 및 교류확대 = 456
 chapter 7 남북 상생안보 협력 = 462
  제1절 상생안보의 개념과 필요성 = 463
  제2절 남북문제 경과 및 기존의 대안 평가 = 464
   1. 노태우ㆍ김영삼 정부: 남북대화 토대마련 = 464
   2.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관계개선 기초 마련 = 464
   3. 노무현 정부(참여정부): 포괄적 해법(선불제) = 465
   4. 이명박 정부: '비핵ㆍ개방 3000', '그랜드 바겐'(후불제) = 466
   5. 박근혜 정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 466
  제3절 조화적 안보ㆍ통일 접근: 상생안보(포괄적 안보-안보교환) = 468
   1. 조화 안보ㆍ통일 프로세스 = 468
   2. 전략적(구조적) 전술적(협상적) 접근방안 = 469
제3부 천재를 기다리며: 통일한국 지도자론
 서론 = 477
 chapter 1 조화 안보ㆍ통일 리더십: 과제와 요구되는 역량 = 479
  제1절 리더십 컨피던시와 공공 지도자(Public Leadership) 역량 = 482
   1. 리더십과 리더십 역량 개념 = 482
   2. 한국사회의 공공리더십 = 483
  제2절 정치ㆍ안보 리더들의 과제 = 485
   1. 정치지도자들의 임무 = 485
   2. 한국 정치지도자들의 과제 = 486
  제3절 정치적 리더에게 요구되는 역량 = 487
   1. 정치적 리더십 역량 = 487
   2. 정치적 리더의 자질 = 489
  제4절 안보ㆍ통일 리더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통치역량 = 492
   1. 통치역량의 필요성과 개념 = 492
   2. 조화 안보ㆍ통일 지도자 역량 = 496
  제5절 지도자 육성/훈련체계 = 504
   1. 일본의 사례 = 504
   2. 영국과 미국의 사례 = 505
   3. 한국 = 505
  제6절 조화통일 오센틱 리더십 컨피던시 종합 = 507
 chapter 2 밀리터리 리더십 컨피던시 = 509
  제1절 군사전문직업상 요구되는 자질 = 511
  제2절 장교단의 계급별 요구자질 = 513
  제3절 자학자습의 필요성 = 515
  제4절 전략이론의 역할과 한계 = 518
 chapter 3 결론 = 521
참고문헌 = 5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Grossman, Dave (2023)
井上孝司 (2023)
日本経済新聞社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