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6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Niney, Francois 조화림, 역 박희태, 역
서명 / 저자사항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 프랑수아 니네 지음 ; 조화림, 박희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예림기획,   2012  
형태사항
303 p. ; 23 cm
총서사항
문예과학총서 ;42
원표제
Le documentaire et ses faux-semblants
ISBN
9788957870426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54479
005 20160510092719
007 ta
008 130613s2012 ulk 001c kor
020 ▼a 9788957870426 ▼g 93680
035 ▼a (KERIS)BIB000012742205
040 ▼a 241044 ▼c 241044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070.18 ▼2 23
085 ▼a 070.18 ▼2 DDCK
090 ▼a 070.18 ▼b 2012
100 1 ▼a Niney, Francois
245 1 0 ▼a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 ▼b 다큐멘터리와 그 아류들 / ▼d 프랑수아 니네 지음 ; ▼e 조화림, ▼e 박희태 옮김
246 1 9 ▼a Le documentaire et ses faux-semblants
246 3 9 ▼a Documentaire et ses faux-semblants
260 ▼a 서울 : ▼b 예림기획, ▼c 2012
300 ▼a 303 p. ; ▼c 23 cm
440 0 0 ▼a 문예과학총서 ; ▼v 42
500 ▼a 색인수록
536 ▼a 이 역서는 2011년도 전북대학교 저술 장려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700 1 ▼a 조화림, ▼e▼0 AUTH(211009)65966
700 1 ▼a 박희태, ▼e
900 1 0 ▼a 니네, 프랑수아,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12 등록번호 11169627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4-01-29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12 등록번호 1117561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01. 진실이란 무엇인가? = 11
02. '다큐멘터리'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5
03. 영화의 장르인가 영화의 속성인가? = 19
04. 시나리오, 배경, 배우가 없는 영화인가? = 26
05. 작가 없는 이미지들인가? = 30
06. 태양(자연조명)이 없는 영화인가? = 35
07. 촬영이란 무엇인가? = 41
08. 영화 속 시간과 실제 시간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 46
09. 쇼트를 구성하는 시간성이란 무엇인가? = 50
10. 다큐멘터리는 영화인가? = 53
11. 현장에서 포착한 것일수록 더 진실에 가까운가? = 58
12. 많이 연출될수록 더 거짓에 가까운 것인가? = 63
13. 재구성: 다큐멘터리인가 픽션인가? = 67
14. 재편집된 영화는 어떻게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가? = 74
15. 어디서부터 연출이고 어디까지가 다큐멘터리인가? = 77
16. 다큐멘터리의 변용이란 무엇인가? = 83
17. 다큐멘터리는 컬러일 때 더 '진짜'일까? = 87
18. 우리는 다큐멘터리에서 무엇을 인지할 수 있는가? = 88
19. 무엇이 우리를 둘러싼 실제 세계와 허구를 구별하는가? = 96
20. 스크린에서 '실제' 혹은 '진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104
21. 픽션은 거짓말인가? = 111
22. 다큐멘터리라고 하는 특유의 형태가 존재하는가? = 114
23. 관점의 양태들과 그 효과는 무엇인가? = 119
24. 언제 객관적인 것이 주관적이 되는가? = 125
25. 다큐멘터리에서 기대하는 관점은? = 130
26. 왜 몽타주가 필요한가? = 133
27. 몽타주는 조작인가? = 140
28. 모든 몽타주는 자의적인가? = 149
29. 촬영이 우선인가 몽타주가 우선인가? = 155
30. 시퀀스 쇼트는 데쿠파주보다 더 진실된 것인가? = 164
31. 해설은 어디서 오는가? = 167
32. 외화면 음성에서 무엇을 볼 수 있는가? = 175
33. 이미지에는 이면(裏面)이 있는가? = 179
34. 무엇이 다큐멘터리와 르포르타주를 구분하는가? = 183
35. 좋은 '주제'란 무엇인가? = 188
36. 예술인가 선전도구인가? = 194
37. 이미지는 증거가 될 수 있는가? = 200
38. 촬영은 무엇을 입증할 수 있는가? = 205
39. 보는 것은 아는 것인가? = 214
40. 기록이미지는 과거의 현실인가? = 222
41. 재촬영이란 무엇인가? = 229
42. 이미지들은 어떻게 해서 반전되는가? = 233
43. '다큐-픽션' : 거짓 다큐멘터리인가 가짜 픽션인가? = 239
44. "허구가 가미된 다큐멘터리"는 어떻게 진실을 말하는가? = 245
45. 다큐멘터리와 픽션은 동시에 가능한가? = 255
46. 영화는 세계와의 접촉인가? = 263
47. 우스꽝스러운 다큐멘터리는 허구일 수도 있지만 현실을 보다 사실적으로 포착 가능하지 않을까? = 272
48. 다큐멘터리의 연극성에 대해 말할 수 있을까? = 275
49. 동물들은 다큐멘터리에 대해 뭐라고 말할까? = 281
50. 완전한 영화를 향해 = 284
부록
 01 영화인 cin◆U00E9◆aste 찾아보기 = 291
 02 영화제목 찾아보기 = 297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