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근거기반실무와 탐구정신 = 1
1. 근거기반실무의 정의와 발전 = 1
2. 근거란 무엇인가? = 2
3. 근거기반실무의 구성요소 = 4
4. 근거기반실무의 시작 = 5
5. 근거기반실무가 왜 필요한가? = 6
6. 근거기반실무 발전을 위한 핵심 활동 = 8
7. 근거기반실무 단계 = 10
8. 장애요인과 촉진요인 = 19
9. 근거기반실무 장애 극복 전략 = 20
Chapter 2 임상질문 만들기 = 27
1. 건초더미에서 바늘 찾기 : 적시에 올바른 정보 찾기 = 27
2. 검색 가능하고 답할 수 있는 질문하기 = 30
3. 왜 열심히 질문 만들기를 해야 하는가? = 42
Chapter 3 임상질문에 적절한 근거 찾기 = 44
1.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기 위한 도구 = 46
2. 바늘을 찾았는지 확인하는 방법 = 79
3. 다음 단계 = 80
Chapter 4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비평적 평가 = 82
1. 지식의 출처 = 82
2. 근거의 비중 = 83
3. 확실성과 지식의 출처 = 84
4. 과학적 근거강도에 대한 등급 = 85
5. 지식의 출처 평가 = 85
6. 내적 근거의 이해와 근거기반실무의 성과 탐색 = 87
7. 내적 근거와 외적 근거의 결합 = 89
Chapter 5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양적 근거의 비평적 평가 = 91
1. 근거의 위계 = 92
2. 양적연구에 대한 비평적 평가 원리 = 92
3. 비평적 평가에서의 예비 질문 = 113
4. 사례연구에 대한 비평적 평가 = 117
5. 환자 - 대조군 연구에 대한 비평적 평가 = 119
6. 코호트 연구에 대한 비평적 평가 = 125
7. 무작위 대조연구에 대한 비평적 평가 = 130
8. 체계적 고찰에 대한 비평적 평가 = 143
9. 평가와 합성 : 비평적 평가에서 마지막 단계 = 154
Chapter 6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한 질적 근거의 비평적 평가 = 161
1. 의사결정에 대한 질적 연구의 기여 = 162
2. 질적 연구의 선정 = 164
3. 질적 연구의 평가 = 181
4. 질적 연구의 비평적 평가 = 186
5. 질적 연구의 근거합성 = 188
Chapter 7 근거기반실무에 있어 환자의 관심, 선택 및 임상적 판단 = 194
1. 최상의 근거 : 연구와 환가의 관심 = 195
2. 근거기반실무에서 임상적 판단 = 198
3. 임상적 전문성 = 203
Chapter 8 임상실무지침을 통한 최상의 간호 = 216
1. 도구로써의 지침 = 217
2. 지침을 찾는 방법 = 218
3. 적절한 지침 찾기 = 223
4. 지침은 어떻게 개발되는가? = 231
5. 근거기반지침의 실무적용 = 233
6. 환자관리에 미치는 영향 = 235
Chapter 9 근거의 실무적용 = 239
1. 근거기반실무 비전 = 240
2. 참여의 촉진 = 243
3. 근거기반실무의 통합 = 248
4. 평가 : 근거기반실무를 임상결과에 연결 = 255
5. 임상현장에서 근거의 실무적용 : 현장 사례 = 259
Chapter 10 실무변화에 대한 결과평가 = 264
1. 결과 : 최종 산물 = 264
2. 결과관리를 위한 결과평가 = 266
Chapter 11 근거기반실무 적용 모델 = 279
1. 근거기반 임상적 의사결정 = 280
2. 조직에서 실무변화를 위한 모델 = 284
Chapter 12 근거기반간호 비전과 변화 촉진 = 325
1. 성공적 조직 변화를 위한 본질적 요소 = 325
2. 조직 변화의 4가지 모델 = 329
3. 주요 장애요인 극복하기 = 336
Chapter 13 교육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교육 = 343
1. 시작하기 : 올바른 질문하기 = 344
2. 교육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하기 = 348
3. 교육 패러다임의 이동 : 전통적 실무에서 근거기반실무로 = 362
4. 교육과정에 근거기반실무 통합 전략 = 366
5. 교육환경에서 근거기반실무 교육 전략 = 370
6. 근거기반실무 교육의 효과 평가 = 379
Chapter 14 임상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교육 = 389
1. 임상현장에서 도전 = 391
2.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위한 기관의 준비 = 394
3.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위한 필수 자원 = 395
4. 근거기반실무 교육 전략 = 398
Chapter 15 ARCC 근거기반실무 멘토 = 408
1. ARCC 모델의 개관과 근거기반실무 멘토 = 408
2. ARCC 근거기반실무 멘토 역할 = 409
3. 멘토십의 긍정적 영향 = 411
4. ARCC 근거기반실무 멘토의 결과 = 412
Chapter 16 근거의 확산 = 417
1. 구연 발표를 통한 근거 확산 = 417
2. 패널 발표를 통한 근거 확산 = 421
3. 라운드테이블 발표를 통한 근거 확산 = 423
4. 포스터 발표를 통한 근거 확산 = 424
5. 소규모 집단 발표를 통한 근거 확산 = 429
6. 팟캐스트/비디오캐스트 발표를 통한 근거 확산 = 430
7. 지역사회 모임을 통한 근거 확산 = 431
8. 병원/기관기반 및 전문가 위원회 모임을 통한 근거 확산 = 432
9. 저널클럽을 통한 근거 확산 = 433
10. 출판을 통한 근거 확산 = 438
11. 보건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근거 확산 = 446
12. 대중매체에 근거 확산 = 451
Chapter 17 근거 적용과 근거 생성을 위한 윤리적 고려 = 459
1. 두가지 윤리적 사례 = 462
2. 실무 결과 = 464
3. 연구와 질 향상의 차이 = 465
4. 연구와 근거기반 질 향상에 적용되는 윤리적 원칙 = 469
5.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와 근거기반 질 향상 = 472
6. 근거기반 질 향상 프로젝트의 심사 = 474
Ghloss : 용어해설 = 476
Index : 색인 = 484
부록 : ABCDE =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