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36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53621 | |
005 | 20130608135444 | |
007 | ta | |
008 | 130607s201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8170089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3080893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24 ▼2 23 |
085 | ▼a 497.24 ▼2 DDCK | |
090 | ▼a 497.24 ▼b 2013 | |
100 | 1 | ▼a 이봉형 ▼0 AUTH(211009)134641 |
245 | 1 0 | ▼a 차용어 음운론 / ▼d 이봉형 |
246 | 1 1 | ▼a Loanword phonology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3 | |
300 | ▼a xii, 30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0 | ▼a 부록: 한국어 영어차용어 경음화 자료 | |
504 | ▼a 참고문헌(p. 276-291)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0년도 정부지원(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24 2013 | 등록번호 1116960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차용어 음운론의 의의, 차용어 음운론과 모국어 음운론의 차이점을 논하고, 차용어 적응에 관한 기존의 3가지 모형을 소개한다. 3가지 모형 기술과 더불어 다양한 사례들을 예시하고 모형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등장 배경의 근원을 추적하여 상호 모순적인 관계가 아닌 보완적인 관계임을 밝힌다.
이어서 차용어 전파의 역할을 기술하고 적응은 물론 비적응, 변이에서 안정화, 모국어 내적 변화로 인한 차용어의 변화, 차용어로 인한 모국어 소리체계 변화의 예를 한국어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차용어와 중간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혀 양자 간의 관계설정을 모색한다.
본 도서는 국내외 차용어 음운론에 관한 전문서가 부재한 현실에 주목하면서 착수하게 되었다. 지난 20여 년간의 활발한 연구활동 결과 괄목할만한 학문적 연찬이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조감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가늠해 주는 단행본이 전무한 것이다. 이제 막 입문하는 신진학자들은 물론 기성학자들에게도 차용어 음운론 전체를 아우르는 전문도서가 절실한 것이다.
본 도서의 학술적 가치는 차용어 음운론의 지평을 넓혀 준데 있다. 기존의 차용어 음운론은 주로 차용어가 외국어에서 유입되어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부합하도록 적응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차용어가 유입된 이후 모국어 화자들에게 전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모국어 변화가 차용어 적응에 미치는 영향, 차용어 유입으로 인한 모국어 소리체계의 변화, 차용어와 모국어 차별화 경향인 반모국어화의 경향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차용어 음운론의 의의, 차용어 음운론과 모국어 음운론의 차이점을 논한다. 이어서 차용어 적응에 관한 기존의 3가지 모형을 소개한다. 즉 차용어 입력부를 중심으로 제안된 음향신호 모형, 음운형태 구조 모형, 문자언어 모형이 그것이다. 3가지 모형 기술과 더불어 다양한 사례들을 예시하고 모형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등장 배경의 근원을 추적하여 상호 모순적인 관계가 아닌 보완적인 관계임을 밝힌다.
이어서 차용어 전파의 역할을 기술하고 적응은 물론 비적응, 변이에서 안정화, 모국어 내적 변화로 인한 차용어의 변화, 차용어로 인한 모국어 소리체계 변화의 예를 한국어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차용어 변이의 문제는 전반적인 언어 변이의 문제와 결부하여 논한다. 변이분석 도구로서 GoldVarb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한국어의 영어 차용어 경음화를 예로 들어 분석하여 차용어 변이에 관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차용어와 중간언어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혀 양자 간의 관계설정을 모색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일러두기 = ⅷ 제1장 차용어란? = 3 1. 차용어의 정의 = 3 2. 친차용 언어(loan-friendly language) = 6 3. 차용어 음운론의 의의 = 10 4. 차용어 음운론과 모국어 음운론 = 13 제2장 3가지 모형 = 17 1. OT와 차용어 분석 = 17 2. 3가지 차용어 입력부 모형 = 22 2.1. 음향신호 모형 = 22 2.2. 음운형태 구조 모형 = 25 2.3. 문자언어 모형 = 27 제3장 모형별 사례연구 = 29 1. 음향신호 모형 = 29 2. 음운형태구조 모형 = 45 2.1. 들어가기 = 45 2.2. L2 문법 = 47 2.3. L1 문법 = 61 3. 문자언어 모형 = 77 3.1. 문자언어의 역할 = 77 3.2. 문자언어 개입 사례들 = 87 제4장 차용어 적응과 비적응 = 101 1. 서론 = 101 2. 적응 = 106 2.1. 음절 민감 반응 = 106 2.2. 모음삽입을 주도하는 요인들 = 119 2.3. 차용어 적응의 형태음소적 작용 = 132 3. 비적응 = 139 제5장 차용어 전파 = 147 1. 서론 = 147 2. 차용어, 누가 주체인가? = 151 3. 차용어 전파: 적응에서 비적응으로 = 162 3.1. 일본어의 /ti/ = 162 3.2. 한국어의 /j/ = 165 4. 차용어 전파: 변이에서 안정화로 = 170 4.1. 한국어 /w/ = 170 4.2. 한국어 /r/ = 172 5. L1 내적 변화와 차용어 = 173 6. 차용어 유인 L1 변화 : 반모국어화 = 181 제6장 차용어와 변이(variation) = 195 1. 변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 = 195 2. 후보자 등급이론과 변이현상 = 205 3. 차용어변이 사례연구: 한국어에서의 모음삽입 = 218 3.1. 문맥의존 = 218 3.2. 문맥자유 모음삽입 = 224 4. 변이분석 프로그램 GoldVarb = 237 4.1. GoldVarb 소개 = 237 4.2. 영어차용어 경음화 분석 = 242 제7장 차용어와 중간언어(interlanguage) = 255 1. 서론 = 255 2. 공통점 = 259 3. 차이점 = 267 〈부록〉한국어 영어차용어 경음화 자료 = 272 참고문헌 = 276 색인(한국어) = 292 English Index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