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52302 | |
005 | 20130522202234 | |
007 | ta | |
008 | 130520s2013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46055421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3162283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52.283214 ▼2 23 |
085 | ▼a 352.283214 ▼2 DDCK | |
090 | ▼a 352.283214 ▼b 2013 | |
100 | 1 | ▼a 성경륭 ▼0 AUTH(211009)103722 |
245 | 1 0 | ▼a 균형사회와 분권국가의 전망 = ▼x Prospect of balanced society and decentralized state / ▼d 성경륭 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3 | |
300 | ▼a 36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1542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283214 2013 | 등록번호 1116953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 9 제1부 지역불평등과 국가균형발전정책 제1장 지역불평등의 정치동학과 지역정책 분석 :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 21 1. 연구주제와목적 = 21 2. 연구의 관점 = 23 3. 국가발전의 두 가지 정책노선과 지 역불평등 = 32 4. 참여정부의 균형발전정책 평가 = 43 5. 이명박 정부의 불균형발전정책 평가 = 48 6. 결론 = 55 제2장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정책 : 정책설계와 성과 = 64 1. 한국 현대사의 발전과정과 참여정부의 시대적 과제 = 64 2.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필요성 = 67 3. 주요 선진국의 균형발전전략 = 71 4. 국가균형발전의 비전과 정책 중점 = 78 5.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주요 내용 개관 = 80 6.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성과 = 98 7. 균형발전사회를 위한 제언 = 103 제3장 한국의 산업화ㆍ도시화와 낙후지역 발전의 과제 = 110 1. 고도 경제성장과 지역사회 낙후성의 심화= 110 2. 지역 낙후성의 원인= 113 3. 지역 낙후성 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 115 4. 지역 낙후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탈구조화 시도= 119 제4장 생태문화적 발전전략으로서의 살기 좋은 국토공간 만들기 정책 = 124 1. 도시화의 진전과 국토공간의 질적 저하 = 124 2. 여건의 변화와 발전 패러다임의 전환 = 129 3. 살기 좋은 국토공간 만들기 정책의 개요 = 133 4. 국내외의 실천 경험과 분야별 세부사업 = 139 5. 행복추구와 국가경쟁력을 위한투자 = 151 제5장 지역혁신을 위한 지역인재육성 정책 : 누리사업을 중심으로 = 156 1. 누리사업의 배경과목표 = 156 2. 누리사업의 기획 = 160 3. 주요 성과 = 165 4. 문제점들 = 171 5. 미래 과제 = 175 제6장 참여정부의 공공갈등 관리 전략 :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정책을 중심으로 = 180 1. 참여정부 출범의 시대적 의미 = 180 2. 갈등의 양상 및 특징 = 181 3. 갈등해결 정책 = 185 4. 갈등해결 경험 :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정책' 사례분석 = 188 5. 교훈과 전망 = 195 제2부 균형발전과 한국의 미래설계 제7장 한국의 미래발전 구상 : 창조국가전략과 균형 발전전락 = 201 1. 강대국의 조건 = 201 2. 한국경제의 저혁신 함정(Bottleneck) : 실태와 평가 = 206 3. 새로운 국가발전 패 러다임 = 216 4. 창조국가전략 = 226 5. 균형발전전략 = 241 6. 결론 = 251 제8장 창조적 지역발전전략과 수도권의 미래 : 지역 공동번영의 조건과 과제 = 259 1. 서론 = 259 2. 창조적 지역발전전략의 필요성 = 264 3. 창조적 지역발전전략 구상 = 266 4. 수도권의 미 래발전전략 : 도시 규모와 질적 발전 = 276 5. 결론 = 280 제9장 수도권규제완화를 둘러싼 갈등과 상생의 조건 = 285 1. 쟁점 = 285 2. 잘못된 가정 = 287 3. 상생의 조건 = 289 제10장 한반도 균형 발전과 분권형 통일국가 구상 = 293 1. 한반도의 미래 = 293 2. 한반도균형발전 방안 = 297 3. 한반도경제공동체 = 299 4. 분권형 통일국가의 건설 = 303 5. 결론 = 307 제11장 지방을 살리는 미래 디자인 : 지방분권과국가균형발전 = 310 1. 기로에 선 한국 = 310 2. 불균형 성장전략과 지역주의의 유산 = 314 3. 참여정부의 정책설계 = 321 4. 이명박 정부의 정책 오류 = 325 5. 분권과 균형발전을 위한 10대 과제 = 331 6. 결론 = 345 제12장 균형사회와 분권국가를 위한 미래과제 = 348 1. 서론 = 348 2. 초광역경제권 구축 및 초광역정부 구성 = 349 3. 지방재정과 지 역복지 확충 = 354 4. 지방대학 육성 및 지역혁신 역량 강화 = 355 5. 지역생태공동체의 형성 = 357 6. 도농상생 정책 = 358 찾아보기 =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