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8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52070 | |
005 | 20130520142159 | |
007 | ta | |
008 | 130516s2013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2684192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3167384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3 |
085 | ▼a 374 ▼2 DDCK | |
090 | ▼a 374 ▼b 2013z2 | |
100 | 1 | ▼a 남호엽 ▼0 AUTH(211009)78424 |
245 | 1 0 | ▼a 글로벌시대의 지역교육론 / ▼d 남호엽 지음 |
246 | 1 1 | ▼a Global era local education theory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3 | |
300 | ▼a 192 p. ; ▼c 23 cm | |
440 | 0 0 | ▼a 서울교육대학교 글로벌교육연구소 연구총서 ; ▼v 01 |
504 | ▼a 참고문헌(p. 177-187)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4 2013z2 | Accession No. 1116950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지역교육에 주목하여 이 책을 통해 글로벌 현실 속에서, 학습자들이 지역 주민으로서 건강하게 잘 살아가려면 어떠한 마음상태들을 형성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모색하고 있다. 즉, 글로벌 영향력과 직접적으로 조우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역 주민으로서 가져야 할 복합적인 생존 전략을 살펴보았다.
최근 인류가 처한 삶의 조건으로 글로벌화를 주목할 수 있다. 글로벌화는 지구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을 둘러싼 주위 환경을 재인식하도록 영향을 주고 있다. 오늘날 누구나 글로벌 영향력 아래에서 삶의 좌표를 구성해야 할 처지이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도 새로운 비전 설정과 실천 행보를 모색해야 할 상황이다.
필자는 지역교육에 주목하여 이 책을 통해 글로벌 현실 속에서, 학습자들이 지역 주민으로서 건강하게 잘 살아가려면 어떠한 마음상태들을 형성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모색하고 있다. 즉, 글로벌 영향력과 직접적으로 조우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역 주민으로서 가져야 할 복합적인 생존 전략을 살펴보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서문 = 5 제1부 이론과 연구방법 01. 시민성의 공간과 정체성 교육의 논리 = 13 Ⅰ. 시민성 논의 : 공간의 문제설정 = 13 Ⅱ. 시민성의 재개념화 : '정체성의 정치'와 '인권의 옹호'라는 테제 = 16 Ⅲ. 시민성의 실현 Ⅰ : 지역교육과 정체성의 문제 = 19 Ⅳ. 시민성의 실현 Ⅱ : 민족교육과 정체성의 문제 = 23 Ⅴ. 결론 : 문화 적절성을 고려한 지리교육의 실천 = 30 02. 지리교육에서 장소학습의 의의와 접근 방식 = 32 Ⅰ. 서론 = 32 Ⅱ. 장소학습의 배경 : 근대교육의 상대화 = 35 Ⅲ. 장소학습의 정의와 목표 : 스케일의 장소 이해와 실존적 내부성의 지향 = 39 Ⅳ. 장소학습의 실제 : 생활공간에서 본 삶의 의미 = 43 Ⅴ. 결론 = 47 03. 지역교과서 이해를 위한 문화기호학의 접근법 = 49 Ⅰ. 연구대상 : 정체성 문제로 본 사회과 교육과정 현상 = 49 Ⅱ. 분석 준거 : 교육의 논리에 따른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설정 = 52 Ⅲ. 분석 기법 = 59 04. 정체성의 이해와 문화연구의 접근법 = 77 Ⅰ. 시민성과 정체성의 문제 = 77 Ⅱ. 지역의 재현, 지역교과서 그리고 정체성의 담론 = 81 Ⅲ. 이해의 방법론 : 문화연구의 문제설정과 비판적 담론분석법 = 83 Ⅳ. 연구의 실제 :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정체성 담론 = 87 Ⅴ. 결론 = 90 제2부 사례 연구 05. 지역학습에 있어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 = 97 Ⅰ. 서론 = 97 Ⅱ.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사회공간적 구성 = 101 Ⅲ. 분석 결과 = 108 Ⅳ. 논의 및 결론 = 118 06. 역사경관의 재현과 지역교육의 합리성 = 122 Ⅰ. 서론 = 122 Ⅱ. 교육과정 지역화의 본질과 역사경관의 재현 문제 = 125 Ⅲ. 분석대상 및 방법 = 133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135 Ⅴ. 결론 = 138 07.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도(地圖)의 스케일 재현 방법 = 139 Ⅰ. 서론 = 139 Ⅱ. 지도(地圖)의 재현과 지역 정체성의 문제 = 141 Ⅲ. 분석 대상ㆍ방법ㆍ과정 = 146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 150 Ⅴ. 결론 = 152 08.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의미경합의 지리 = 154 Ⅰ. 문제의식 = 154 Ⅱ. 재현의 페다고지와 경관의 경합 = 156 Ⅲ. 지역화의 지향을 둘러싼 의미의 경합 = 162 Ⅳ. '지역의 얼굴 찾기'를 둘러싼 의미의 경합 = 169 Ⅴ. 결론 = 175 참고문헌 = 177 찾아보기 =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