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범죄와 형벌의 법경제학 : 경제학자의 시선으로 범죄와 형벌의 문제를 바라보다

범죄와 형벌의 법경제학 : 경제학자의 시선으로 범죄와 형벌의 문제를 바라보다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종인 李種仁
서명 / 저자사항
범죄와 형벌의 법경제학 : 경제학자의 시선으로 범죄와 형벌의 문제를 바라보다 / 이종인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3  
형태사항
270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545
ISBN
9788946055452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9-264)과 색인수록
000 00826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751971
005 20130520181221
007 ta
008 130516s2013 ggkd b 001c kor
020 ▼a 9788946055452 ▼g 93360
035 ▼a (KERIS)BIB000013171214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40.11 ▼2 23
085 ▼a 340.11 ▼2 DDCK
090 ▼a 340.11 ▼b 2013z1
100 1 ▼a 이종인 ▼g 李種仁 ▼0 AUTH(211009)45731
245 1 0 ▼a 범죄와 형벌의 법경제학 : ▼b 경제학자의 시선으로 범죄와 형벌의 문제를 바라보다 / ▼d 이종인 지음
246 1 1 ▼a Law and economics of crime and punishment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3
300 ▼a 270 p. : ▼b 도표 ; ▼c 24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545
504 ▼a 참고문헌(p. 259-264)과 색인수록
900 1 0 ▼a Lee, Jong-in,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11 2013z1 등록번호 1116951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형사법의 틈새에 경제학의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관련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다

이 책은 전통 법학 분야의 하나인 형사법을 관찰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폭력과 상해, 사기와 횡령, 뇌물수수와 부당 내부거래 등 각종 범죄행위가 만연하고 있다. 소년범죄와 약물범죄, 환경범죄와 사이버범죄와 같은 과거와는 다른 신종 범죄도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형사법 개혁 논의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 형법 이론에서는 현실에서 왜 범죄가 발생하는지, 형사법의 분명한 목표가 무엇인지에 등에 관해 속 시원히 보여주지 못하는 측면이 적지 않다. 경제학은 이러한 형사법의 틈새를 채워주고 다양한 범죄와 형벌 논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여러 분석기법을 제공한다.
이 책은 ‘형법’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필자의 연구물과 강의 자료뿐 아니라 관련 문헌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집필된 것이므로, 각종 범죄행위와 형벌을 이해하고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법과 법률제도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은 법학과 경제학을 탐구하는 사람뿐 아니라, 입법 담당자와 공공정책 문제에 관심 있는 많은 사람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형법에 대한 ‘경제학의 역할’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 책

기본적으로 경제학에서의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법과 제도를 연구하는 분야가 이른바 ‘법경제학’인데, 근래에 범죄와 형벌의 문제도 이러한 법경제학의 영역에 포함된다. 법경제학 분야에서는 현실적으로 3대 사법 분야인 재산권법, 계약법, 불법행위법뿐만 아니라, 이 책의 분석대상인 형사법 등과 같은 법제도가 국가경제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당연하다고 간주한다. 예컨대 지난 세기 동안 동유럽과 제3세계 여러 국가에서 볼 수 있었던 재산권의 불인정이나 계약의 신뢰성 결여는 결과적으로 이들 국가의 경제를 파탄에 빠지게 한 주된 원인이 되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논의들은 형법 분야뿐 아니라 전통 법학의 핵심 분야인 계약법과 재산권법 그리고 불법행위법 등의 분야에서의 법학적 사고에 대한 경제 이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일상생활에서 겪는 현실의 여러 법현상을 효율성의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또한 이 책의 형법에 대한 경제적 접근과 응용은 독자의 법과 경제학에서의 지평을 넓혀준다.
따라서 이 책은 그 활용범위가 형법의 경제학 강좌 교재에 국한하지 않으며, 법학과 경제학을 탐구하거나 법제도나 경제정책을 담당하는 정책담당자와 실무행정가, 사법실무를 담당하는 법률가들도 읽어보아야 할 필독서로 볼 수 있다. 우리말로 된 범죄와 형벌 및 형사법에 대한 경제분석 내지 법경제학 학술서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이 책은 앞으로 형사법과 같은 개별 법 분야에 대한 경제분석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종인(지은이)

서울대학교(임산공학·농경제학)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부동산도시계획학 석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소비자(보호)원 정책연구실에서 연구위원을 역임했고, 2010년부터는 여의도연구원 수석연구위원(경제정책2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의 로스쿨과 동 대학의 동아시아연구소 및 히토쓰바시(一橋) 대학에서 객원연구원을 역임했고, 국회의 국제경쟁력강화 및 제도개선특별위원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서울시립대학교, 인하대학교, 강원대학교, 명지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에서 경제학과 법경제학, 소비자 경제학 강의를 담당해왔다. 『헤럴드경제』, 『오피니언타임스』, 『뉴스더원』 등의 전문가 칼럼니스트 활동을 하고 있다. 이메일 jongin_lee@yahoo.com, jongilee@caroline.edu 저서 『법경제학』(주해 역저, Cooter & Ulen, 비봉출판사, 2000) 『제조물책임과 제품안전성의 법경제학』(학술정보, 2006) 『불법행위법의 경제학』(도서출판 한울, 2010) 『소비자의 시선으로 시장경제를 바라보다』(이담북스, 2011) 『세상을 바꿀 행복한 소비자』(이담북스, 2012) 『범죄와 형벌의 법경제학』(도서출판 한울, 2013) 『소비자와 글로벌마켓 중심의 시장경제』(공저, 박영사, 2014) 『당신이 소비자라면』(이담북스, 2015) 『경쟁정책과 소비자후생』(법영사, 2015) 『소비자 중시의 시장경제론』(박영사,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을 펴내면서 = 5
제1부 형법과 법경제학
 제1장 경제학자가 바라보는 형 법
  1. 형법의 목적 = 15
  2. 범죄 = 18
  3. 형벌 = 30
  4. 형법의 제기능 = 33
 제2장 법경제학의 기초 = 44
  1. 법경제학의 의의와 정립과정 = 44
  2. 법의 경제분석 사례 = 48
  3. 법경제학의 활용 = 57
 제3장 형법의 경제분석에 대한 역사적 이해 = 61
  1. 형법에 대한 경제적 접근의 연혁 = 62
  2. 형법의 경제분석 선례 = 67 
제2부 형법의 경제분석
 제4장 형법의 필요성 : 불법행위법과의 비교 = 75
  1. 불법행위법상 완전배상의 한계 = 76 
  2. 피해자 권리보호의 필요성 = 78
  3. 범죄억제를 위한 수단 = 79
 제5장 범죄행위 결정에 관한 기초 이론 = 83
  1. 범죄행위 결정가설 = 83
  2. 범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 = 87
  3. 수리적 이해 = 93
  4. 합리성 접근법의 한계 = 95
 제6장 범죄의 최적 억제이론 = 100
  1. 형법의 목표 : 범죄의 사회적 비용 최소화 = 100
  2. 범죄의 최적 억제 = 102
  3. 최적 범죄억제의 수리적 분석 = 106
  4. 예산제약 아래에서의 최적 형벌수준 = 108
 제7장 범죄억제의 제 수단 분석 = 117
  1. 벌금형과 자유형 간의 선택 = 117 
  2. 범죄의 사적 억제 = 129 
 제8장 최적 범죄억제이론의 확장 = 132
  1. 특별억제 = 132
  2. 한계적 억제 = 136
  3. 범죄행위의 자수 = 138
  4. 포괄적 법집행 = 142
 제9장 형법의 제원리 = 144
  1. 형법상의 고의 = 145
  2. 형법상의 미수 = 151
  3. 인과관계 = 160
  4. 책임능력 = 167
  5. 플리바게닝 = 170
  6.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 = 177
제3부 형법의 경제분석의 응용
 제10장 마약범죄에 대한 경제분석 = 183
  1. 불법거래 동향과 중독행위 결정요인 = 186
  2. 마약억제정책의 경제적 효과 = 191 
  3. 마약억제정책이 범죄에 미치는 효과 = 196
  4. 정책상의 딜레마와 해법 = 205
  5. 형사정책에의 시사 = 212
 제11장 미수범죄의 경제학 = 216
  1. 미수의 가벌성 분석 = 217
  2. 피해자 주의수준 분석 = 231
  3. '효율성' 이외의 형사정책적 측면 = 237
 제12장 총기소지와 범죄와의 관계 = 240
  1. 총기소지의 역사적 배경 = 240 
  2. 총기소지율과 범죄율 = 242
  3. 총기규제의 범죄억제효과 = 243
 제13장 사형제도의 범죄억제력 = 251 
  1. 사형제도의 논점 = 251
  2. 사형제도의 범죄억제 효과 = 252
  3. 법경제학적 분석의 성과와 한계 = 258
주요 참고문헌 = 259
판례 찾아보기 = 265
인명 찾아보기 = 266
용어 찾아오기 = 268

관련분야 신착자료

Dreier, Horst (2023)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박주영 (2023)
양천수 (2022)
손동유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