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4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51969 | |
005 | 20130520131854 | |
007 | ta | |
008 | 130516s2013 ggka 000c kor | |
020 | ▼a 9788998629014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3165471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2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13z1 | |
100 | 1 | ▼a 김정권 ▼0 AUTH(211009)82541 |
245 | 1 0 | ▼a 역량(Competence), 자녀 성공의 핵심 경쟁력! / ▼d 김정권 지음 |
246 | 3 | ▼a 역량, 자녀 성공의 핵심 경쟁력! |
246 | 3 | ▼a Competence, 자녀 성공의 핵심 경쟁력! |
260 | ▼a 광명 : ▼b 드림人, ▼c 2013 | |
300 | ▼a 263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더 이상의 스펙은 자녀의 성공을 보장하지 못한다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13z1 | 등록번호 11169513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학이 더 이상 자녀의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 막막한 현실에 나침반이 될 만한 책이 나왔다. 저자는 60년 만에 변화된 다양한 교육 입시정책들의 변화 원인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국내외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 정책들을 철저하게 분석한다.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성공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지식·정보·상식·텍스트·언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창의력과 이를 타인과 소통하기 위한 원활한 소통 능력을 강조한다.
두 번째로 다양한 지식, 정보, 학문간 통합하고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그리고 세 번째로 ‘자율적으로 목표를 정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기 관리 능력과 다른 사람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관계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어 저자는 ‘좋은 학원 선택 요령’을 언급하면서 학부모들이 교육기관에 대한 왜곡된 이해를 큰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학생 개인의 생애 역량을 강화시켜 교과 성적과 다양한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학원’을 선택하라고 충고하면서 학원-교수 학습시스템을 점검하라고 귀띔한다.
대학은 더 이상 자녀의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다
부모의 교육마인드가 ‘역량 중심’이 아니라면 자녀의 미래는 없다
사교육! 허세와 기만을 벗고 제대로 된 역량 교육에 나서라
교육컨설턴트 김정권(교육마케팅연구소장)이 파헤치고 제시하는 역량중심의 인재 교육법
대학진학률 72.7%.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진학률을 자랑 하지만 가장 높은 자살율과 가장 낮은 학습흥미도를 기록하고 있다. 졸업과 동시에 절반 가까운 47% 이상의 대졸자가 백수가 되어야 한다. 학비 융자 채무까지 지고 있는 자식을 바라보는 부모들은 절망 섞인 한숨부터 나온다. 기업은 기업대로 ‘사람은 있으되 사람이 없다’며 볼멘소리다.
‘대학이 더 이상 자녀의 미래를 보장해주지 않는’ 막막한 현실에 나침반이 될 만한 책이 나왔다. 교육마케팅연구소 김정권 소장이 쓴 [역량, 자녀 성공의 핵심 경쟁력]이다.
김소장은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변화된 지식정보사회에 발을 맞추지 못한 교육 과정’에서 오늘의 암울한 원인을 찾는다. 과거 산업사회에서 요구된 ‘고학력의 지식 소유’는 지식정보사회에서 경쟁력을 잃었고 그 대신 이 지식을 활용하고 창조해 낼 수 있는 역량의 시대가 와있음을 일갈하면서 교육계와 학부모들에게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국가차원에서도 학력이나 학벌이 아닌 역량을 중시하는 사회·문화 환경을 조성해 2013년부터는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이 시작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NEAT, STEAM, 내신 절대평가, 혁신학교 등 교육과 입시 정책들의 많은 강조점이 ‘역량’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60년 만에 변화된 다양한 교육 입시정책들의 변화 원인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국내외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육 정책들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있다.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성공하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지식·정보·상식·텍스트·언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창의력과 이를 타인과 소통하기 위한 원활한 소통 능력을 강조한다.
두 번째로 다양한 지식, 정보, 학문간 통합하고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그리고 세 번째로 ‘자율적으로 목표를 정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기 관리 능력과 다른 사람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관계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어 저자는 ‘좋은 학원 선택 요령’을 언급하면서 학부모들이 교육기관에 대한 왜곡된 이해를 큰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학생 개인의 생애 역량을 강화시켜 교과 성적과 다양한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학원’을 선택하라고 충고하면서 학원-교수 학습시스템을 점검하라고 귀띔한다.
첫째, 학생의 교과 성적, 역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진단시스템을 갖추고 있는가? 둘째, 철저한 학습 목표에 따라서 교수 학습철학, 전략, 이론, 절차, 방법, 컨텐츠, 일정 등으로 구성되는 제대로 된 커리큘럼인가? 셋째는 교수 및 학습 이후에 학생들이 정확한 학업성과 변화와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하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학원 내외의 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가?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을 전공하고 교육산업에서 외길을 걸어온 저자의 경륜과 전문적인 식견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저자는 또, ‘자녀의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법’으로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 생애 역량 향상법, 자녀에게 적합한 학습방법 찾기, 자녀 유형별 교육기관 선택법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입시 정책을 읽는 학부모는 50점, 교육정책을 읽는 학부모는 100점.’ 생애 전반에 걸쳐 필요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과 해법을 제시하면서 내놓는 저자의 주장이다. ‘교육 장사꾼’에게 현혹되지 말고 중장기적인 교육정책에 관심을 가져야 자녀가 행복하다고 역설한다.
“새로운 입시제도의 변화가 있을 때 마다 개념조차 서지 않아 불안감을 넘어 분노가 치밀곤 했었는데 이 책을 접하면서 아이를 위해 부모로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에 대해 훤해졌다.”(아이디 yck*****). “기업에서도 역량 면접이 점점 강화되고 있는 마당에 교육 가이드가 없어 답답했는데 너무 반갑다”(아이디 dbth****)며 책을 읽어 본 학부모들의 극찬이 이어지고 있다. 저자가 교육계에 종사하면서 얻은 해박한 지식과 교육컨설팅 경험을 기반으로 교육 현장을 날카롭게 파헤침과 동시에 이에 대한 대비책을 철저하고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데서 [역량, 자녀 성공의 핵심 경쟁력]은 ‘21세기 자녀 성공을 위한 교육 지침서’로 손색이 없어 보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정권(지은이)
김정권 역량교육연구소 소장은 2008년부터 선진국형 교육 트렌드인 ‘역량(competence)’에 대해 선구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그가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해 연구하게 된 계기는 과거 지능이나 암기 위주의 산업사회적 교육방식이 도태하고, 잠재력·재능·소질 등을 중시하는 역량기반 교육방식이 새로운 교육 트렌드가 되리라 예견했기 때문이다. 그의 예견은 적중하여 교육부가 제정한 ‘2012 누리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등에서 ‘역량’이 강조되고 있으며, 초중고 과정은 물론이고 대학평가에서도 ‘역량’이 핵심평가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나아가 주요 공기업이나 대기업에서도 신입사원 선발에 역량면접, 역량기반지원서, 역량테스트 등을 도입함으로써 이제 역량은 취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평가기준이 되고 있다. 저자는 인하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국내 유명 교육기업을 두루 거쳐 왔다. 2001년 대교를 첫 직장으로 시작하여 두산동아, 토피아에듀케이션, 개념원리, 오르다코리아, 메가스터디 등에 근무하면서 국내외의 교육과정, 교육정책, 교육 트렌드와 관련한 방대한 자료와 지식을 섭렵했으며, 관련된 연구 성과를 쌓음으로써 국내 최고의 교육연구자 반열에 올랐다. 저자는 역량과 관련한 첫 연구 성과물로 2009년 한국가이던스와 함께 ‘교육직종합역량검사’를 개발했으며, 2013년에 <역량, 자녀성공의 핵심경쟁력>이라는 도서를 출간하여 역량의 개념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2016년부터 저자는 역량교육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역량기반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핵심역량누리과정연구회(유아 대상), 역량기반교육과정연구회(초중고 대상), 핵심역량교육개발원(교육관계자 대상)을 설립하여 운영 중이기도 하다. OECD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국내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아직 초기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역량과 관련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이를 통해 자라나는 세대가 지식정보사회에 걸맞는 신(新)인재로 성장하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목차
목차 Ⅰ. 60년 만에 변화된 다양한 교육, 입시정책 알고 계신가요? = 12 1. 교육쓰나미가 몰고 오는 학력시대의 종말 = 13 학력고사 세대인 나의 학창시절에도 "개똥철학"은 있었다 학력위주의 경쟁사회가 만들어낸 폐해 2. 역량중심의 국내ㆍ외 교육정책들은 이미 시작 되었다 = 24 역량시대의 시작은 인류전체의 해결과제를 위한 변화 역량기반의 교육선진국 핀란드 학생개인의 역량테스트로 전환하는 OECD PISA 교과지식을 목표가 아닌 도구로 생각하는 선진국 교육과정 입학사정관제는 세계적인 교육트렌드 반영결과 혁신학교를 통한 역량기반교육 시작 3. 지식정보화사회가 원하는 자녀의 다양한 역량 = 40 지식정보화사회에 성공하는 인재조건 절대평가화 되는 교육과 학생역량 4. 지식정보화사회가 원하는 인재상 = 50 지식정보화사회가 원하는 인재상 지식정보화사회가 원하는 T자형인재 T자형 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Ⅱ. 자녀의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기관은? = 58 1. 좋은 교육기관이란? = 59 새로운 학교운동 혁신학교 사교육의 열풍이 있었던 특수목적고 학생 개인의 적성 및 능력을 강화시켜주는 특성화고 자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자율고등학교 좋은 학원이란 어떠한 학원일까? 2. 좋은 교육자란? = 67 3. 교육기관들은 어떻게 가르치나? = 73 혁신학교의 체험과 모둠학습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수업모형 사교육의 절반인 학원의 교수-학습 현실 학원 교수-학습시스템 4종류 4세대 혁신학원의 역할과 기대 4. 좋은 교육기관을 선택하는 방법? = 115 학생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교육기관 항시 연구 개발하는 교육기관 학생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하는 컨텐츠가 있는 교육기관 좋은 교육정보를 학부모에게 전달 할 수 있는 교육기관 우수한 강사를 교육, 훈련시킬 수 있는 교육기관 체계적이고 명확한 교수-학습시스템을 보유한 교육기관 변화되는 미래에 가장 적합한 교육방향을 제시하는 교육기관 좋은 교육기관 선택을 위한 학부모평가표 5. 절대 피해야 할 교육기관의 유형은? = 138 자녀의 생애역량을 키워주지 못하는 교육기관 입시정책으로 학부모를 겁주는 교육기관 스파르타 외치면서 학생 잡는 교육기관 학생은 이해하지 못하는데 진도만 빼는 교육기관 과제를 많이 내주는 교육기관 교수-학습시스템이 없거나, 부족한 교육기관 강사가 자주 교체되는 교육기관 공부를 안 하는 교육기관 우수한 학생만 뽑는 교육기관 직원들의 얼굴이 어두운 교육기관 Ⅲ. 자녀의 역량을 키워 줄 수 있는 교육방법은? = 158 1.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단계 = 159 학벌이 아닌 역량을 물려주어야 하는 시대로의 변화 미래사회가 원하는 자녀의 생애역량에 대한 이해 국내 초ㆍ중ㆍ고 학생이 지녀야 할 생애역량의 이해 성공적인 삶을 위하여 지녀야 할 생애역량의 이해 2. 학습 성공을 위한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 = 194 1) 자녀의 생애역량 향상방법 = 194 지식ㆍ정보 습득하기 올바른 태도, 가치관 정립하기 21C 사회가 원하는 다양한 능력 강화하기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방법 2) 자녀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방법 찾기 = 218 자기주도적학습 자습 개별맞춤학습 팀제협동학습 현장체험학습 강의청취학습 3) 자녀의 유형에 따른 교육기관 선택방법 = 226 중하위권 학생의 교육기관 선택전략 학생유형에 따른 교육기관 선택전략 Ⅳ. 생애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을 위한 학부모 역할은? = 240 부모가 교육트렌드를 이해하면 자녀의 학창시절이 행복해진다 세상의 변화는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학습에 대한 부담을 학생들이 가장 많이 감당해야 하는 나라 "대한민국" 학생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올바른 지식ㆍ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하라 우수한 교육자를 찾고, 장사꾼은 멀리하라 좋은 대학이 목표가 아닌 자녀 생애역량 강화에 목표를 두어라 창의력이 있는 자녀를 키워야 한다 언어는 기본이다 개인주의가 강한 자녀를 만들지 마라 생애계획을 부모와 함께하라 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시스템을 제대로 이해하라 무엇부터 개선해야 하며 학부모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