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444camcc2200385 c 4500 | |
001 | 000045751107 | |
005 | 20130515193838 | |
007 | ta | |
008 | 130426s2013 ulk 000c kor | |
020 | ▼a 9788952768872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3152374 | |
040 | ▼a 211060 ▼c 21106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03.48/33 ▼2 23 |
085 | ▼a 303.4833 ▼2 DDCK | |
090 | ▼a 303.4833 ▼b 2013z8 | |
100 | 1 | ▼a Schmidt, Eric, ▼d 1955- ▼0 AUTH(211009)10763 |
245 | 1 0 | ▼a (에릭 슈미트) 새로운 디지털 시대 / ▼d 에릭 슈미트, ▼e 제러드 코언 지음 ; ▼e 이진원 옮김 |
246 | 1 9 | ▼a (The) new digital age |
260 | ▼a 서울 : ▼b 알키, ▼c 2013 | |
300 | ▼a 470 p. ; ▼c 23 cm | |
500 | ▼a 사람, 국가, 비즈니스의 미래를 다시 쓰다 | |
650 | 0 | ▼a Digital electronics ▼x Social aspects ▼x Forecasting |
650 | 0 | ▼a Digital electronics ▼x Political aspects ▼x Forecasting |
650 | 0 | ▼a Digital media ▼x Social aspects ▼x Forecasting |
650 | 0 | ▼a Digital media ▼x Political aspects ▼x Forecasting |
650 | 0 | ▼a Information technology ▼x Social aspects ▼x Forecasting |
650 | 0 | ▼a Information technology ▼x Political aspects ▼x Forecasting |
650 | 0 | ▼a Computers and civilization ▼x Forecasting |
650 | 0 | ▼a Technology and civilization ▼x Forecasting |
700 | 1 | ▼a Cohen, Jared, ▼d 1981-, ▼e 저 ▼0 AUTH(211009)10764 |
700 | 1 | ▼a 이진원, ▼e 역 ▼0 AUTH(211009)75584 |
900 | 1 0 | ▼a 코언, 제러드, ▼d 1981, ▼e 저 |
900 | 1 0 | ▼a 슈미트, 에릭, ▼d 1955-,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116948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116969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117023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212252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31046120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513164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116948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116969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117023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212252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31046120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3.4833 2013z8 | Accession No. 15131640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래에 가장 근접한 세계적 기업 ‘구글’의 회장이자, 현존하는 최고의 비즈니스 리더 에릭 슈미트의 첫 책. 구글의 싱크탱크인 ‘구글 아이디어’의 소장이자 최연소 국무부 자문관을 지낸 천재 지정학자 제러드 코언과 함께 쓴 이 책에서 그는 당신과 당신의 가족, 우리의 사회가 맞게 될 미래의 모습을 현실적이고도 흥미진진하게 그려낸다.
저자들은 머리말에서 2025년이 되면 전 세계 인구 80억 명 대부분이 온라인에서 활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렇게 각 개인과 그들이 몸담은 계층과 사회, 전 지구가 디지털 기술로 인해 하나로 연결되면서, 어떻게 힘이 재분배될지, 그 과정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개념과 분야는 무엇인지, 새롭게 닥칠 위험과 도전은 어떠한 것인지를 다각도로 면밀하게 전망한다.
이 책은 그간 우리가 보아오던 미래예측서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차별적이다. 저자들은 세계의 성장 지역과 낙후 지역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관련 인물(심지어 아프리카의 전투 참전병까지)을 만나 직접 보고 느끼고 취재한 내용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이야기를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들려준다. 또한 개인의 신원 문제에서부터, 테러와 혁명, 갈등 이후 국가 재건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삶과 사회를 둘러싼 크고 작은 모든 문제들을 균형 있는 시각으로 분석 및 예측하면서, 나름의 해법까지 던져준다. 현재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큰 내용도 상당 부분 찾아볼 수 있어 더욱 주목할 만하다.
“이것이 우리의 미래다!”
구글 회장 에릭 슈미트의 압도적인 통찰과 예측
“2020년 안에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이 연결될 것이다.”
얼마 전, 구글의 회장 에릭 슈미트는 자신의 구글 플러스 계정을 통해 이와 같은 견해를 밝혔다. 그는 “10년 내 새로운 디지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전 세계인 모두가 온라인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당장 굶주림 때문에 죽음의 위협을 느끼는 아프리카 난민들까지 연결된다는 것인가”라며 부정적인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우리나라와 같이 인터넷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그것이 무슨 큰일이라고 호들갑인가” 하는 다소 심드렁한 반응이 등장하기도 했다.
과연 에릭 슈미트의 말대로 세상 모든 사람이 연결된다는 게 가능한 이야기일까? 만약 그렇게 된다면, 앞으로 세계는 얼마나 엄청난 변화에 휩싸이게 될까? 그는 자신의 첫 책 《에릭 슈미트 새로운 디지털 시대》(원제: The New Digital Age)에서 이러한 모든 의문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한다.
소규모 신생 기업이던 구글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으로 키워낸 실리콘밸리의 위대한 지도자 에릭 슈미트는 구글의 싱크탱크인 ‘구글 아이디어’의 소장 제러드 코언과 함께 쓴 이 책을 통해, 전 세계 약 80억 인구가 온라인 세상에 입장하면서 당신과 당신의 가족, 우리 사회가 맞게 될 미래의 모습을 현실적이고도 흥미진진하게 그려낸다. 특히 전 지구가 하나로 연결됨에 따라 어떻게 힘이 재분배될지, 그 과정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개념과 분야는 무엇인지, 눈앞에 닥칠 위험과 도전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다각도로 분석ㆍ전망한다.
이 책은 여러 면에서 그간 우리가 보아온 모든 미래예측서의 기준을 뛰어넘고 있다. 단순히 한 가지 개념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거나 주마간산 식의 설명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기술세계의 끊임없는 진화로 인해 어떻게 우리 인생의 거의 모든 면이 바뀌었는지를 예리하게 진단해놓은 연구결과”라는 전 국가안보 보좌관 브렌트 스코크로프트의 극찬처럼, 디지털 기술이 만들게 될 미래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면밀하게 진단한다. 컴퓨터 과학자이자 세계 선도기업의 임원인 에릭 슈미트, 미 국무부 자문관을 지낸 외교 및 안보 전문가인 제러드 코언은 각자의 영역에서 오랜 시간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지식, 빛나는 통찰을 이 책의 토대로 삼았다. 여기에 세계의 성장 지역과 낙후 지역을 두루 돌아다니며 위키리크스의 창립자 줄리안 어산지부터 아프리카의 전투 참전병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인물들을 직접 만나 대화하고, 느끼고, 깨달은 내용을 더해, 지금껏 우리가 만나보지 못한 엄청난 저작을 완성시켰다. 이 책은 미 국무부 차관 로버트 졸릭의 표현대로 “새로운 연결성이 갖는 실질적인 의미를 놓고 시민과 정책수립가, 사회와 정부 사이에 벌어질 중대한 논쟁의 단초가 될 것이다.”
‘디지털 시대’란 곧
‘우리의 미래’ 그 자체다
‘휴대전화 구입은 이라크 국민이 해야 할 너무 많은 일들 가운데 가장 후순위처럼 보였다. 그러나 우리는 이라크 국민이 고달픈 현실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를 최우선 순위로 장만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pp.17-18)
저자들은 2009년 가을 이라크에서 처음 만난다. 사담 후세인 정권의 몰락 이후 6년 여간 전쟁이 지속된 이라크는 이미 물리적인 인프라가 초토화된 상태였다. 대부분의 이라크인은 음식이나 물, 전기를 제대로 구할 수 없었고, 일용품은 가격이 너무 비싸 살 수가 없었다. 심지어 몇 년간 쓰레기조차 수거되지 않고 그대로 있었다. 그렇게 처절히 병든 땅에서, 놀랍게도 그들은 어디를 둘러보건 휴대전화가 눈에 들어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가 막힌 일이었다.
에릭 슈미트가 ‘2020년 안에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이 연결될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저자들에 따르면 2010년 대지진 이후 아이티에서 역시, 단 며칠 만에 통신 기능이 복구되었다고 한다. 네트워크를 복구하는 것이 긴급구조보다 우선이었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국가로 평가받는 북한에서조차, 2012년 초까지 18개월간 전화 가입자 수가 30만 명에서 100만 명 이상으로 급증했다고 한다.
그렇다. 사람들은 이제 먹고사는 문제보다 ‘연결성’을 삶의 중요한 가치로 판단하고 있다. 연결성을 확보했느냐, 아니냐에 따라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되느냐, 아니냐가 결정되는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릭 슈미트가 말하는 ‘디지털 시대’란 더 이상 기술 분야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은 ‘우리의 미래’ 그 자체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이제 어느 누구도 연결성을 논하지 않고 미래를 이야기할 수 없는, 그리고 조만간 전 세계 모든 인구가 온라인 세계에 입장할 것이라 확언할 수 있는 진정한 디지털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우리 시대 최고의 선지자들이 밝히는
디지털 미래의 위협과 가능성
전 세계인 모두가 하나로 연결되는 세상을 그려보라. 뉴욕의 직장인은 무인자동차로 출근하거나, 홀로그램으로 회의에 참석한다. 콩고의 여성 어부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시장 수요를 파악하고 판매량을 조율하면서 필요한 만큼만 고기를 잡아 값비싼 냉장비용을 아낀다. 중동지역의 억압받는 소수민족은 ‘가상국가 체제’를 만들어 온라인상에서 국가를 이룬다. 반체제 인사들은 ‘인터넷 망명’을 통해 자유롭게 세상을 활보한다. 기술에 조예가 깊은 독재국가는 국민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 전례 없이 강력한 감시체제를 구축한다.
이 책에서 저자들이 그리고 있는 우리 미래의 모습이다. 이처럼 저자들은 개인의 신원 문제부터 테러와 혁명, 갈등 이후 국가 재건의 문제까지 우리의 삶과 사회를 둘러싼 크고 작은 모든 문제들이 어떤 변화를 맞게 될 것인지를 총체적으로 이야기한다. 새로운 디지털 시대에 관한 전대미문의 혁신적 비전으로 가득한 이 책은 우리를 기다리는 기회와 위협은 무엇이며, 어떤 미래를 만들어가야 하는지를 전체 7장에 걸쳐 균형 있는 시각으로 분석 및 예측한다.
먼저 1장에서는 무인자동차가 컴퓨터보다 흔해지고, 휴대폰이 알아서 질병을 진단한 후 의사와 약속을 잡는 등 연결성으로 인한 개인 삶의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2장에서는 학교에서 성교육보다 사생활 및 보안교육이 먼저 시작되며, 평판에 관한 보험이 유행하고, 지문ㆍ사진ㆍDNA 판독결과 등을 일컫는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활용하여 사람들을 집중 감시하는 업그레이드된 경찰국가가 탄생하는 등 연결성으로 인해 사생활이 위협받고 개인의 신원이 도용되면서 벌어지는 시민권과 언론, 국가 규제의 문제에 대해 논한다. 3장에서는 국민을 상대로 벌어지는 온라인상의 정보 필터링과 국가-기업 간의 가상연맹, 사이버 전쟁과 가상국가 수립 문제 등 새로운 시대에 국가가 맞게 될 위험과 도전과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4장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혁명 운동이 어떤 양상으로 펼쳐질지, 가상공간에서의 탄압을 혁명 세력이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지에 대해 다룬다. 5장에서는 누구나 구글 검색으로 사제폭탄을 만들 수 있게 된 세상에서 테러를 어떻게 막을 수 있을지, 가상세계에 출현하게 될 테러리스트 해커의 정체는 무엇인지 등 테러리즘의 변화에 관해 짚어준다. 6장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 펼쳐지는 가상 대학살이나 가상 괴롭힘, 범죄의 증거가 영구화되는 현실, 자동화된 전쟁의 비인간성 등을 집중적으로 파헤친다. 7장에서는 재난을 맞은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지적하는 한편,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NGO의 미래와, 파괴된 국가를 대리할 가상정부의 존재, 갈등 이후 진정 필요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현실세계의 문명과 가상세계의 문명,
둘 사이의 역동에 관한 이야기
저자들이 ‘디지털 기술로 인한 연결성의 확대’를 미래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지적하는 이유는, 그것이 국가나 기득권층의 권력을 개인에게로 이양한다는 데 있다. 저자들은 앞으로 우리가 영웅이 사라진 시대를 맞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연결된 개인이 늘어나면서 온라인상에 정보들이 넘쳐나게 되고, 그로 인해 지난날의 사소한 잘못이 속속 드러나 지도자들이 영웅의 지위를 잃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또한 국가의 부정이나 체제의 불합리에 반대하는 개인들이 가상세계에서 목소리를 내는 일이 일상화되면서, 누구나 반체제인사가 될 수 있는 환경 또한 마련되고 있다. 즉, 과거에는 소수의 정의로운(혹은 정의로운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 혁명의 선봉장에 섰지만, 이제는 체제에 분노를 느끼는 수많은 개인이 각자 일어설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개인들을 탄압하는 국가의 수법 또한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시대는 국가보다 개인에게 더 많은 권력을 쥐어주는 흐름으로 나아가고 있다. 물론 그렇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될 잡음이나 갈등은 어마어마하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가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 그쪽이라는 것에 대해, 이들은 강한 믿음을 갖고 있다.
이처럼 권력의 재분배가 역동적으로 이뤄지는 미래에, 우리의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는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까? 이들의 예측은 무조건 낙관적이지만도, 비관적이지만도 않다. 하지만 이들이 건네주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명확하다.
“우리가 예측하는 미래는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르게 움직이며 가장 흥분된 시간과 도전으로 가득 찬 멋진 신세계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에릭 슈미트(지은이)
구글 회장.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구글의 CEO로 재직한 에릭은 현재 기술적 사고의 리더십을 발휘해 CEO와 고위 경영진에게 사업과 정책 자문을 해주고 있으며, 대외 협력관계 구축, 기업 간 거래관계, 정부 지원 등 좀 더 광범위한 외부문제를 책임지고 있다. 2001년 구글에 합류하여, 실리콘밸리에서 시작해 기술 분야를 주도하는 세계적인 기업이 되기까지 회사의 성장을 도왔다. 구글에 합류하기 전 노벨과 선 마이크로시스템스에서 경영 지도자로 활동한 그는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전기공학으로 학사학위를 받았고,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컴퓨터과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통령 과학기술 자문회의 위원이자 영국 총리 자문회의 위원이며 이코노미스트 그룹Economist Group과 메이요클리닉Mayo Clinic, 칸 아카데미Khan Academy의 이사다. ‘슈미트 가家 재단Schmidt Family Foundation’을 중심으로 한 에릭의 자선활동은 해양?해양식물 연구 지원과 교육, 특히 자연과학.공학의 첨단연구와 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을 포함해 기후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제러드 코언(지은이)
구글의 싱크탱크인 ‘구글 아이디어Google Ideas’의 소장이자, 미국의 외교정책 및 국제정치 연구기구인 외교협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의 부 선임연구원이다. 스탠퍼드대학교를 졸업한 후,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대외관계 분야를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은 그는 24세 때 미 국무부의 정책기획팀에 들어가 중동, 남아시아, 대테러 작전, 21세기 국정운영 방안 등을 담당했다. 2013년에는 <타임>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들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지하드의 아이들Children of Jihad》, 《100일 동안의 침묵: 미국과 르완다 집단 학살One Hundred Days of Silence: America and the Rewanda Genocide》이 있다.
이진원(옮긴이)
경제경영 및 자기계발 분야 전문번역가. 《머니》, 《필립 코틀러의 마켓 5.0》, 《투자의 배신》, 《혁신 기업의 딜레마》 등 100권 가까운 책을 번역했다. 코리아헤럴드 기자로 언론계에 첫발을 내디딘 후 IMF 시절 재정경제부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면서 한국 경제 대외 신인도 제고에 기여하여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후 로이터통신으로 자리를 옮겨 거시경제와 채권 분야를 취재했고, 10여 년간 국제경제금융 뉴스 번역팀을 이끌다 자본시장 전문 매체인 더벨의 제휴사인 캐피탈커넥트로 자리를 옮겨 해외 투자자들에게 국내 자본시장 전문 정보를 알리는 일을 총괄했다. 현재는 외신과 출판번역 전문업체인 에디터JW의 대표로 출판 번역·기획 작업과 함께 120년 전통의 IT 전문잡지 <MIT 테크놀로지 리뷰>의 수석 에디터를 맡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9 이것이 우리의 미래다 기술이 만들어내는 엄청난 가능성 어떤 미래를 만들어갈 것인가 1 인간의 미래 = 25 효율성의 확대 더 많은 혁신, 더 많은 기회 새로운 교육경험의 탄생 점점 높아지는 삶의 질 건강 혁명의 시대 미래의 어느 날 아침 2 신원, 시민권, 보도의 미래 = 57 데이터 혁명이 선사하는 전례 없는 혜택들 실제의 나 vs. 가상의 나 위키리크스 그리고 폭로의 미래 주류언론의 위기와 대안언론의 확대 셀러브리티 언론의 탄생 암호화되는 신원, 밝혀지는 악행 서로 다른 '사생활'의 의미 점점 불안해지는 정국 파탄국가의 기회주의자들 기술은 중립적이지만 사람은 그렇지 않다 기업, 법, 사회, 개인의 대응전략 P2P 기술의 명암 경찰국가 2.0 바이오메트릭 데이터의 전략적 가치와 위험성 3 국가의 미래 = 137 인터넷의 발칸화 세 가지 필터링 집단 편집에 작용하는 힘의 논리 월드 가든과 하랄 인터넷 가상세계의 국가ㆍ기업 연합 현대판 한자동맹과 저작권 문제 가상세계에서의 국가지위 디지털 도발과 사이버 전쟁 새로운 암호전쟁 디지털기업의 스파이 전쟁 어떻게 사이버 공격을 막을 것인가 4 혁명의 미래 = 203 시작은 쉽지만… 하지만 끝내기는 더 어렵다 디지털 시대, 대중의 신뢰는 어디로 가상공간의 탄압과 견제 더 이상 봄은 없다 혁명에 대하여 5 테러리즘의 미래 = 251 새로운 범위, 새로운 위험 테러리스트 해커의 출현 사이버테러리스트가 증가한다면 인재 확보보다 중요한 것 테러리스트들의 아킬레스건 숨을 곳이 없다 마음과 생각을 빼앗기 위한 싸움 6 갈등, 전투, 개입의 미래 = 303 줄어든 집단학살, 늘어난 괴롭힘 다차원적인 갈등 갈등을 둘러싼 수많은 역동 디지털 시대의 정의란 무엇인가 자동화된 전쟁 원격조종이 가능한 무기의 시대 결국 로봇보다 인간 새로운 개입들 7 재건의 미래 = 359 커뮤니케이션이 먼저다 미래의 스타, 통신업계 원격으로 운영하는 가상정부 기회주의와 착취 NGO들의 마케팅 전쟁 혁신의 여지 작은 휴대전화 하나로 평화와 통합을 갈등 이후에 진정 필요한 것들 맺음말 = 416 미래에 일어날 일들 두 가지 문명에 관한 이야기 주 =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