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ⅲ
머리말 = ⅵ
제1장 '정치적인 것'의 특질(特質) = 1
'정치학'의 정의(定義) = 2
'국가'에 대한 이해 = 18
국가 이론들 = 23
고전적 국가이론: 계약 이론들 = 24
자유주의 학설(Liberal Doctrine) = 33
마르크스와 네오맑시스트 = 36
네오맑시스트(Neo-Marxists) = 42
다원주의(Pluralism) = 52
조합주의(Corporatism) = 58
국가와 '우파-좌파' 문제 = 64
1장을 마치며 = 73
제2장 정치학의 주요 '대구(對句)논리 및 이론'들 = 77
내재된 비교와 '설명' = 82
왜 비교하는가? = 82
어떻게 비교하는가? = 84
상관 관계와 인과 관계 = 88
주관적 측정과 객관적 측정의 문제 = 93
정치학의 주요 "대구 논리"들 = 97
구조(structure)와 기능(function) = 98
국가와 사회 = 108
제도(institution)와 문화(culture) = 111
공평성과 효율성 = 124
공평성의 문제 = 125
효율성의 문제 = 129
이상과 현실 = 134
2장을 마치며 = 137
제3장 헌법과 권력구조 = 143
의원내각제 = 146
대통령제 = 149
의회주권제 = 152
집정부제 = 153
이원집정부제 = 154
유사 정부 형태 내에서의 비교: 원형(Proto Type)과 이상형(Ideal Type) = 157
서로 다른 정부들의 유형 비교 = 158
주요 이슈들 = 164
3장을 마치며 = 174
제4장 정치과정론: 의회, 정당, 선거 = 179
의회 = 180
의회의 행정부 견제 기능 변수들 = 191
정당 = 203
정당 조직 = 214
선거 = 233
4장을 마치며 = 260
제5장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 267
여론 = 272
매스 미디어 = 277
선전 = 285
PR = 297
5장을 마치며 = 300
제6장 집단행동 = 303
집단행동이 발생하는 원인 = 310
집단행동의 확산 과정 = 319
집단행동의 결과: 성공과 실패 = 325
6장을 마치며 = 347
제7장 민주주의와 정치발전 = 355
민주주의 기능에 필요한 조건들 = 358
정치 체제 유형들과 '정치발전' = 372
정치발전과정에서의 국가 = 383
7장을 마치며 = 400
제8장 공공선택이론 = 405
이기적인 개인들의 협조 가능성 = 408
헌법적 경제학과 관료정치 = 423
의제 설정과 정책 결정 방식의 중요성 = 429
'중위 투표자' 이론 = 433
정치적 경기순환의 문제 = 439
8장을 마치며 = 442
제9장 국제정치 = 445
국제정치를 바라보는 시각들 = 448
현실주의 = 450
이상주의와 자유주의 = 457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 462
구성주의 = 467
전쟁과 외교 = 470
군축 문제 = 485
9장을 마치며 = 496
제10장 변화하는 세상과 변동이론 = 499
변동에 관한 논리와 이론들 = 502
진화이론 = 506
균형이론 = 513
갈등이론 = 518
흥망성쇠이론 = 522
10장을 마치며 = 529
참고문헌 = 533
찾아보기 = 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