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모두를 위한 예술? : 공공미술, 참여와 개입 그리고 새로운 도시성 사이에서 흔들리다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ewitzky, Uwe 최현주, 역
서명 / 저자사항
모두를 위한 예술? : 공공미술, 참여와 개입 그리고 새로운 도시성 사이에서 흔들리다 / 우베 레비츠키 지음 ; 최현주 옮김
발행사항
파주 :   두성북스,   2013  
형태사항
244 p. : 삽화 ; 22 cm
원표제
Kunst fur alle? : Kunst im offentlichen Raum zwischen Partizipation, Intervention und Neuer Urbaniat
ISBN
9788994524092
서지주기
참고문헌(p. 230-237)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Public art City and town life Art and state Art, Municipal
000 01061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750662
005 20130508131812
007 ta
008 130506s2013 ggka b 001c kor
020 ▼a 9788994524092 ▼g 93600
035 ▼a (KERIS)BIB000013145278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700.103 ▼2 23
085 ▼a 700.103 ▼2 DDCK
090 ▼a 700.103 ▼b 2013z1
100 1 ▼a Lewitzky, Uwe ▼0 AUTH(211009)56049
245 1 0 ▼a 모두를 위한 예술? : ▼b 공공미술, 참여와 개입 그리고 새로운 도시성 사이에서 흔들리다 / ▼d 우베 레비츠키 지음 ; ▼e 최현주 옮김
246 1 9 ▼a Kunst fur alle? : ▼b Kunst im offentlichen Raum zwischen Partizipation, Intervention und Neuer Urbaniat
260 ▼a 파주 : ▼b 두성북스, ▼c 2013
300 ▼a 244 p. : ▼b 삽화 ; ▼c 22 cm
504 ▼a 참고문헌(p. 230-237)과 색인수록
650 0 ▼a Public art
650 0 ▼a City and town life
650 0 ▼a Art and state
650 0 ▼a Art, Municipal
700 1 ▼a 최현주, ▼e
900 1 0 ▼a 레비츠키, 우베,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3 2013z1 등록번호 1116944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공미술의 역사와 그 토대가 되는 사회.문화, 도시.공간 이론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실례를 들어 설명한 책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공공미술은 더 이상 도시미화를 위해 공공 공간에 투입되거나 단순히 물리적으로 장소특수적 설치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를 넘어서 공공 즉 모두를 위해 민주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실천적인 성격을 본질로 삼는다.

그럼에도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나 ‘커뮤니티 아트’마저 ‘도시발전의 유연한 입지 요건’으로 흐르기도 한다. 즉 해당 지역의 성장수단이 되기도 한다. ‘모두를 위한 예술’이 더 이상 목적이 되지 않고, 미술이 그저 도시를 균질화시키거나 연출하기 위한 도구로 작용하기도 하는 현실을 저자는 ‘새로운 도시성’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폭로한다.

이 책은 공공미술의 역사와 그 토대가 되는 사회.문화, 도시.공간 이론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모두를 위한 예술이란 무엇인가. 모두를 위한 예술은 가능한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공공미술은 더 이상 도시미화를 위해 공공 공간에 투입되거나 단순히 물리적으로 장소특수적 설치를 하는 것도 아니다. 그를 넘어서 공공 즉 모두를 위해 민주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실천적인 성격을 본질로 삼는다. 그럼에도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나 ‘커뮤니티 아트’마저 ‘도시발전의 유연한 입지 요건’으로 흐르기도 한다. 즉 해당 지역의 성장수단이 되기도 한다. ‘모두를 위한 예술’이 더 이상 목적이 되지 않고, 미술이 그저 도시를 균질화시키거나 연출하기 위한 도구로 작용하기도 하는 현실을 저자는 ‘새로운 도시성’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폭로한다.

도시라는 공공 공간에 대한 여러 이론들
제임슨에 따르면 공공 공간은 포스터모더니즘과 그의 지배 수단으로서 새로운 후기자본주의적 질서 맥락에서 기능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는 강력해진 격리 현상과 함께 문화적 생산에 대해서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는 문화화 현상도 강력해진다. 슐체는 이와 관련해서 체험시장을 말하는데, 체험시장에서는 문화 영역이 무엇보다 체험지향적 수요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르디외와 르페브르 같은 이론가들은 사회적 과정들에 직접 개입하기 위해 예술가, 학자들을 위한 행동 규정을 만들어내기도 하며,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들을 탐구하였다.

개입, 참여, 소통이라는 키워드
에르크멘의 「배에 탄 배들」은 이탈리아, 일본, 터키에서 여객선을 싣고 와서 프랑크푸르트와 오펜바흐 사이를 한 달간 운항한 프로젝트였다. 승객이 입장권을 구매할 때 브로슈어를 받는데, 이 브로슈어를 받게 됨으로써 승객은 운항의 미술적 맥락을 알게 되고, 자연스럽게 프로젝트의 참여자가 된다.
보헨클라우주어는 소외 계층의 문제에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예술 실천을 하는 그룹이다. 이탈리아의 한 작은 마을에 나이 많은 시골 쥔들을 위하여 만남의 장소를 설치한다든가, 약물에 중독된 매춘부들을 위한 숙박시설을 설립하는 등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파크 픽션」은 함부르크 장크트 파울리 지역에 시민들이 직접 조성하는 공원을 위하여 시민운동단체 ‘항구부두협회’와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가한 프로젝트다. 공원 조성에 공동체가 최대한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참여적 입장을 발전시키고, 경제적 동기에 입각한 기술 만능주의적 도시계획을 극복하기 위해 주민들의 창의적 잠재성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그룹의 과제로 삼았다. 또한 이들은 카셀도큐멘타와 같은 국제적 전시에 참여하여 일반적인 언론의 관심 외에도 이를 통해 자신이 갖고 있는 상징적 자본의 가치를 증가시켰고, 이를 이용해 결국 주민을 위해 도시와 기업의 상징적, 경제적 자본에 대항할 수 있었다.

저자는 위의 세 프로젝트를 앞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실제 점검함으로써 공공미술에 대한 반성적 안목을 갖게 해주고 새로운 가치기준을 함양시켜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우베 레비츠키(지은이)

도시학과 공공미술을 연구하는 문화학자. 현재 독일 함부르크 시 다이히토어할렌 지역의 팔켄베르크 국제 미술.사진 전시관의 부관장을 맡고 있다.

최현주(옮긴이)

서울여자대학교 서양화과와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로 건너가 부퍼탈대학교(Communication Design과)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뉘른베르크미술대학교(Art and Public Space과)와 베를린예술대학교(Art in Context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본 미술협회(Bonner Kunstverein), 청계창작스튜디오, 국립창동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로 활동하였으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등의 각종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다양한 공공미술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대학 및 미술기관에서 공공미술 관련 강의 및 해외교류사업을 실행하였고 현재 서울디지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blog.naver.com/nannaart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 4
서문 = 8
1장 사회적 맥락 
 1.1 제임슨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 18
 1.2 슐체의 체험사회 이론 = 24
 1.3 드보르와 스펙터클의 사회 = 32
2장 도시적 맥락 
 2.1 성장연합과 도시정치경제 = 40
 2.2 새로운 도시성 = 48
  체험공간과 축제화 
  도시의 문화: 상징의 경제
  새로운 도시성의 예 함부르크
  '하펜시티' 프로젝트 
 2.3 새로운 도시성의 영향들 = 74
 2.4 공공성과 공공 공간 = 84
3장 공간이론과 도시 공간 
 3.1 앙리 르페브르 = 94
  도시의 위기
  공간 생산
  도시에 대한 권리와 지식인들 
 3.2 피에르 부르디외 = 110
  사회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
  지배된 지배자인 지식인들 
 3.3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 122
  콘스탄트와 통일적 도시주의
  상황주의적 공간 
4장 공공미술 
 4.1 역사적 개요 = 136
  공공 공간에서의 미술
  공공 공간으로서의 미술
  공적 관심의 미술 
 4.2 장소특수성 개념에 관하여 = 487
  〈기울어진 호〉의 철거
  새로운 공공미술
  뉴욕의 배터리파크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공공 공간으로서의 제도 
 4.3 공공 공간의 프로젝트들 = 184
  아이제 에르크멘: '배에 탄 배들'
  보헨클라우주어
  파크픽션 
5장 맺음말 
참고문헌 = 230
찾아보기 = 238
옮긴이의 말 = 24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