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적자원행정론

인적자원행정론 (2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창길
서명 / 저자사항
인적자원행정론 / 이창길 저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13  
형태사항
xiii, 612 p. : 도표 ; 27 cm
ISBN
9788918023977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53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49448
005 20130425103932
007 ta
008 130423s2013 ggkd b 001c kor
020 ▼a 9788918023977 ▼g 93350
035 ▼a (KERIS)BIB000013128870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82 0 4 ▼a 352.6 ▼2 23
085 ▼a 352.6 ▼2 DDCK
090 ▼a 352.6 ▼b 2013z2
100 1 ▼a 이창길 ▼0 AUTH(211009)95507
245 1 0 ▼a 인적자원행정론 / ▼d 이창길 저
246 1 1 ▼a Human resource administration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13
300 ▼a xiii, 612 p. : ▼b 도표 ; ▼c 27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 2013z2 등록번호 1116936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적자원행정의 개념적 차이와 현대적 해석을 추가하여 새로운 접근과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 인적자원행정의 다섯 가지 핵심적인 키워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가급적 이론적 논의에 집중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사례와 문제를 많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적자원행정의 이론 모형, 인적자원의 전략기획, 역량진단과 평가, 보수 유형과 모형, 정무직 공무원의 인사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사항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조직은 성공하고 개인은 행복한 인적자원행정을 지향하였다.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인사행정과 구분하여 책 제목도 ‘인적자원행정론’으로 하였다. 인적자원 행정은 사람 중심의 인사행정이다. 인적자원행정의 개념적 차이와 현대적 해석을 추가하여 새로운 접근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인적자원행정의 다섯 가지 핵심적인 키워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전략, 직무, 역량, 성과, 그리고 권리와 책임이다. 이 다섯 가지 키워드는 현대 인적자원행정의 핵심적인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편과 장을 나누고 전 과정에 인적자원행정의 가치가 균형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셋째, 가급적 이론적 논의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인적자원행정의 전략적 모형,공직 구성체계, 인적자원의 확보와 이동, 성과평가와 보수의 유형화, 부패와 윤리 이론 등 기존의 이론을 체계화하고 유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제도의 현황이나 다른 나라 제도에 대한 소개는 되도록 줄였다.

넷째, 다양한 사례와 문제를 많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장이 시작되기 전에 학습주제와 관련된 격언을 제시하였고, 본문 내용에는 추가 설명이나 예시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장의 마지막에는 학습포인트와 연습문제, 그리고 토의사례 및 토의과제를 제시하여 흥미로운 교재가 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교과서에서 다소 부족했던 부분은 보강하고자 하였다. 인적자원행정의 이론 모형, 인적자원의 전략기획, 역량진단과 평가, 보수 유형과 모형, 정무직 공무원의 인사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제2의 다산(茶山)’이 되겠다는 각오로 시작했지만, 책을 쓰면서 여러 번 후회했다. 진도가 나갈수록 스스로 연구의 부족함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많은 학자들의 수준 높은 연구에 고개 숙이지 않을 수 없었다. 인적자원행정을 연구하는 많은 국내외 학현들에게 감사드린다. 꼭 읽어야 하는 논문도 누락된 것이 많고, 잘못 인용하거나 해석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 매끄럽지 못한 표현도 많을것이다. 전적으로 저의 부족함 때문이다. 이 점, 넓은 마음으로 혜량해 주시길 바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창길(지은이)

저자약력 세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 동 사회과학대학장 및 공공정책대학원장 역임 전남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 석사) 미국 Cornell University, M.P.A. (Public Administration) 미국 Cornell University, Ph. D. (Organizational Behavior)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Fulbright Visiting Scholar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인적자원행정의 의의 
 제1장 조직과 사람 : 인적자원행정의 중요성 = 3
  제1절 조직인가? 사람인가? = 5
  제2절 인적자원행정의 중요성 = 12
 제2장 인적자원행정의 의의와 범위 = 25
  제1절 인적자원행정의 의의와 범위 = 27
  제2절 인적자원행정체계의 구성 = 34
  제3절 공공부문 인적자원행정의 특성 = 44
  제4절 인적자원행정 연구 및 학습 = 50
 제3장 인적자원행정의 발전과 특성 = 63
  제1절 전통적 인사행정의 태동 = 65
  제2절 인적자원행정과 인적자본행정 = 73
  제3절 인적자원행정관의 역할과 과제 = 84
제2편 목표와 전략 
 제4장 인적자원행정의 목표와 구성 = 95
  제1절 인적자원행정의 목표와 가치 = 97
  제2절 공직구성의 의의와 방식 = 104
  제3절 직업공무원제와 실적제 = 113
 제5장 인적자원행정의 전략기획 = 123
  제1절 인적자원의 전략적 관리모형 = 125
  제2절 인적자원행정 전략기획의 의의 = 136
  제3절 인적자원행정 전략기획의 내용 = 146
제3편 직무와 역량 
 제6장 직무체계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163
  제1절 직무체계와 직위의 구성 = 165
  제2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의의 = 169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균형 = 176
 제7장 직무분석과 평가 = 185
  제1절 직무분석 = 187
  제2절 직무평가 = 195
  제3절 직무설계/재설계 = 201
 제8장 역량유형과 평가 = 211
  제1절 역량의 개념과 범위 = 213
  제2절 역량의 내용과 유형 = 218
  제3절 역량의 진단과 평가 = 222
제4편 인적자원 관리과정 
 제9장 인적자원의 확보 = 241
  제1절 인적자원 확보의 의의 = 243
  제2절 인적자원의 모집 = 244
  제3절 인적자원의 선발 = 256
 제10장 인적자원의 이동= 279
  제1절 인적자원 이동의 의의 = 281
  제2절 인적자원의 수직적 이동 = 282
  제3절 인적자원의 수평적 이동 = 293
  제4절 경력개발 = 296
 제11장 인적자원의 역량개발= 313
  제1절 역량개발의 의의와 변화 = 315
  제2절 역량진단과 역량모델 = 319
  제3절 역량개발프로그램의 운영 = 325
  제4절 역량개발프로그램의 효과평가 = 328
 제12장 인적자원의 동기부여= 335
  제1절 동기부여의 의의와 중요성 = 337
  제2절 동기부여이론 = 338
  제3절 동기부여를 위한 직무환경 = 352
  제4절 동기부여와 변혁적 리더십 = 360
제5편 성과와 보상 
 제13장 인적자원의 성과평가 = 375
  제1절 성과평가의 의의와 목적 = 377
  제2절 평가지표와 평가오류 = 379
  제3절 평가의 내용과 방법 = 385
  제4절 평가자 선정 = 402
  제5절 평가결과의 종합 = 410
 제14장 인적자원에 대한 보상 = 421
  제1절 보상의 의의와 특성 = 423
  제2절 보수의 유형 = 428
  제3절 보수의 결정모형 = 437
  제4절 보상제도의 변화양상 = 445
 제15장 인적자원의 퇴직관리 = 455
  제1절 퇴직의 의의와 중요성 = 457
  제2절 퇴직의 유형 = 460
  제3절 퇴직관리의 전략 = 465
제6편 권리와 책임 
 제16장 공무원의 권리와 의무 = 477
  제1절 권리와 의무의 의의 = 479
  제2절 권리제한과 의무부과의 내용 = 483
  제3절 권리제한의 기준 및 구제 = 488
  제4절 정치적 중립과 노동기본권 = 492
 제17장 공무원의 부패와 윤리 = 507
  제1절 도덕적 역량과 이해충돌 = 509
  제2절 부패발생의 원인 = 516
  제3절 부패방지와 공직윤리 확보 = 521
  제4절 재산등록ㆍ공개 및 퇴직자 취업제한 = 527
제7편 인적자원행정의 미래 
 제18장 정무직 공무원의 인사 = 545
  제1절 정무직 공무원 인사의 의의 = 547
  제2절 정무직 공무원 인사의 범위 = 550
  제3절 정무직 공무원의 임용 = 554
  제4절 정무직 공무원의 관리과정 = 563
  제5절 정무직 공무원과 직업공무원의 관계 = 569
 제19장 인적자원행정의 미래방향 = 577
  제1절 인적자원행정의 환경변화 = 579
  제2절 인적자원행정의 미래방향 = 588
찾아보기 = 60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