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63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49324 | |
005 | 20130429183739 | |
007 | ta | |
008 | 130423s2013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6801466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3121552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659.2935 ▼2 23 |
085 | ▼a 659.2935 ▼2 DDCK | |
090 | ▼a 659.2935 ▼b 2013 | |
100 | 1 | ▼a 유재웅 ▼0 AUTH(211009)61215 |
245 | 1 0 | ▼a 국가 이미지 / ▼d 유재웅 |
250 | ▼a 개정판(2013년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3 | |
300 | ▼a xiii, 28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66-279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2935 2013 | 등록번호 111693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가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우리나라의 국가 이미지는 어떠한 수준인가? 많은 나라들이 막대한 돈을 써가며 국가 이미지를 관리하는 치열한 ‘이미지 외교’의 시대에 우리나라는 어떠한 전략과 프로그램으로 대응하고 있나? 20여 년간 국내외 정책 홍보와 국가 이미지 관리를 맡아 최전선에서 활약했던 저자가 우리나라 국가 이미지의 현 주소를 밝히고 국가 이미지 만들기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이론, 사례, 전략
국가 이미지의 단편적인 측면을 조사하고 분석한 연구는 많지만, 국가 이미지 문제를 전반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저자는 국정홍보처, 해외홍보원 등에서 20여 년간 국가홍보를 담당했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 이미지에 대한 이론, 사례, 전략 등 국가 이미지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루었다.
2013년 개정판 출간
2008년 이 책이 나온 직후 이명박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국가 이미지 제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브랜드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이 대통령은 본인이 수차례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챙길 정도로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이제 이명박 정부가 끝나고 박근혜 정부가 출범했다.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그간의 공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국가 이미지 전략을 제시하는 개정판이 나왔다. 2013년 개정판은 미시적인 수정 보완이 아니라 초판의 내용을 3분의 2이상 새로 쓸 정도로 전반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했다. 전체 분량도 늘었고, 해외 사례도 추가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유재웅(지은이)
을지대학교 홍보디자인학과 교수다. 국내외 공공 PR 분야에 있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표적인 PR 전문가로 학계와 언론계로부터 평가받고 있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23회 행정고등고시(1979)를 통해 공직에 입문했다. 공보처 홍보, 기획, 방송, 신문과장, 청와대 국정홍보 담당 과장, 국장, 국정홍보처 국정홍보국장, 홍보기획국장, 대통령홍보기획비서관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약 4년간 정부의 해외 PR 업무를 총괄하는 해외홍보원장(차관보)을 지냈다. 저서로는 ≪위기 사회 대한민국, 생생한 사례연구≫(2021), <30대 뉴스에서 PR을 읽다≫(2019, 공저), ≪PI, 최고책임자의 이미지관리≫(2017), ≪이미지 관리≫(2016), ≪한국사회의 위기 사례와 커뮤니케이션 대응 방법≫(2016), ≪위기관리의 이해≫(2015), ≪정부 PR≫(2014), ≪국가 이미지≫(2013) 등이 있다. 역서로 ≪PR이론≫(2010, 공역), ≪이미지 외교≫(2008, 공역)가 있고 다수의 논문을 SSCI급 국제 학술지 및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정부 및 각종 기관의 PR 관련 자문 및 심사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로부터 대통령표창, 근정포장, 홍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목차
목차 개정판 머리말 = ⅴ 머리말 = ⅷ 1부 국가 이미지 이론 01 세계의 이미지 경쟁 = 2 02 이미지의 정의 = 8 이미지 = 8 평판 = 11 국가 이미지 = 12 03 이미지 유형과 특성 = 19 이미지의 유형 = 19 이미지의 특성 = 20 04 이미지 구조와 결정 이론 = 24 인지론과 인지구성주의 = 24 이미지에 대한 인지론적 접근 = 24 인지구성주의 = 26 대상-결정론과 인적-결정론 = 28 이미지의 범주 = 30 05 이미지 형성 요인과 통로 = 33 이미지 형성 요인 = 33 기업 이미지 형성 요인 = 35 정부 기관 이미지 형성 요인 = 37 국가 이미지 형성 요인 = 39 국가 이미지 형성 통로 = 44 06 이미지 측정 = 47 이미지 측정 = 47 평판 측정 = 49 브랜드 자산가치 측정 = 52 국가 경쟁력 측정 = 57 IMD 세계 경쟁력 연감 = 59 WEF 세계경쟁력 보고서 = 62 국가 이미지 측정 = 70 마틴과 에로글루의 국가 이미지 측정 척도 = 71 피사로디와 파라메스와란의 원산지 이미지 측정 척도 = 71 이규완의 국가 이미지 측정 척도 = 76 오미영ㆍ박종민ㆍ장지호의 국가 이미지 측정 척도 = 77 안홀트-GfK 로퍼 국가브랜드지수 = 79 국가브랜드위원회의 국가브랜드지수 조사 = 82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조사 사례 = 86 미국, 독일, 일본 대상 한국 이미지 조사 = 86 중국, 인도, 러시아 대상 한국 이미지 조사 = 95 선진 5개국 대상 한국 인식 조사 = 97 KOTRA의 국가 이미지 조사 = 99 한국 문화 콘텐츠 소비와 한국에 대한 이미지 조사 = 101 07 국가 이미지의 효과 = 107 국가 이미지가 상품 경쟁력을 높인다 = 108 국민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국가 이미지 = 113 08 국가 이미지 연구 경향 = 115 해외의 국가 이미지 연구 흐름 = 115 국내의 국가 이미지 연구 경향 = 118 2부 해외 국가 이미지 제고 사례 연구 09 서방 선진 강국 사례 = 126 미국 = 129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29 스마트 파워 강화 방안 = 136 영국 = 141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41 이미지 외교 다각화 방안 = 144 영국의 이미지 외교 추진 사례 = 148 프랑스 = 156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56 프랑스의 문화외교 개혁 = 158 24시간 뉴스 전문 TV 채널 'France24' = 164 독일 = 168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68 '아이디어의 나라' 캠페인 = 170 10 아시아, 오세아니아 사례 = 179 일본 = 179 추진 시스템과 주요 활동 = 179 '신일본양식' 홍보 = 181 일본의 발신력 강화 방안 = 182 뉴질랜드 = 194 11 강소국 사례 = 198 노르웨이 = 198 추진 시스템 = 198 틈새 외교로 국가 이미지 제고 = 199 덴마크 = 200 3부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 방안 12 역대 정부의 국가 이미지 관리 시스템과 활동 = 210 김대중, 노무현 정부 = 212 추진 시스템 = 212 주요 활동 = 213 이명박 정부 = 216 추진 시스템 = 216 주요 활동 = 218 13 무엇이 문제인가? = 223 목표와 전략 = 223 추진 시스템 = 230 프로그램 = 233 자원 배분 = 236 평가 관리 = 238 14 발전 전략과 실행 프로그램 = 240 장단기 목표 명료화 = 240 국가 차원의 '컨트롤 타워' 위상 재정립 = 242 '선택과 집중' 원칙에 입각한 프로그램 기획 추진 = 246 소프트파워 확충과 이미지 외교 방식 적극 활용 = 248 투입 자원 내실 운영ㆍ확충과 민간 자원 협력 강화 = 254 국제방송과 인터넷, 소셜 미디어 활용 강화 = 256 리서치와 프로그램 연계 제도화 = 264 참고문헌 = 266 참고자료 = 280